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산업용 센서 시장동향

2020-05-26

- 스마트 팩토리 등 사물인터넷 시장 성장과 함께 데이터 수집 및 전달 수단으로써 센서 수요 증가 -
- 중국시장 수요에 비해, 중국내 국산화가 다소 미진하여 한국기업의 수출 잠재력 큼 -


□ 상품명 및 HS Code

  ○ 물리적 환경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 센서(Sensor, 传感器)는 온도, 압력, 속도와 같은 물리적인 환경 정보의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바꿔 감지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임.

    - 센서의 종류에는 광센서, 온도센서, 압력센서, 유량센서 등이 있으며 각종 변화를 감지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과 함께 사물인터넷(IoT)의 핵심기술로 사용되고 있음.

    - 일반적인 센서는 HS Code 제90류(광학/의료 측정·검사 정밀기기)의 부분품과 부속품으로 분류됨.

    - 주요 기능에 따라 온도센서(HS Code 9025.90), 압력센서(HS Code 9026.2090), 유량센서(HS Code 9026.90)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

  ○ 주요 기능

    - 4차산업혁명 관련하여 사물인터넷 시장 발전과 함께 데이터 수집 및 전달 도구로써 센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온도센서, 압력센서, 광센서 등 센서는 기능 별로 핵심 소자가 달라지며 물리적 변화를 감지 후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기타 정보통신기술(ICT)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
□ 시장동향

  ○ 중국 센서시장 특징

    - 중국 시장조사기관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에는 약 1,688개 센서 제조사가 있으며 이중 센서 소형화·정밀화 기술인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微机电系统) 기술까지 보유한 기업은 약 50개사로 나타남.

    - 중국 전역 센서 제조사의 38%가 난퉁, 항저우, 닝보 등 장강삼각주(长江三角洲) 지역에 소재하며 그 밖에 센서 제조사는 광둥성 후이저우, 선전 등 주강삼각주(珠江三角洲) 17%, 징진지(京津冀) 지역 15%에 위치함.

    - 쳰잔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전세계 존재하는 센서는 4만8,000종으로 이 중 중국에서는 약 6,000종의 센서를 생산하고 있음.

  ○ 중국 산업용 센서 시장규모

    - 쳰잔산업연구원은 중국의 센서 시장규모는 2018년 2,000억 위안을 돌파해 2023년까지 2,703억 위안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

  ○ 센서 종류별 점유율

    - 자동차, 통신, 전자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유량센서(21%), 압력센서(19%), 온도센서(14%) 순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

.

□ 중국 정책동향

  ○ 중국의 국산화 지원 정책

    - 중국 반도체산업 육성정책과 함께 시작된 국가 집적회로 산업발전 추진강령(国家集成电路产业发展推进纲要)에 따라 집적회로(IC)설계 및 검측 기술 제조 시 필요한 핵심 기술 개발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
□ 경쟁동향

  ○ 주요 제품 및 브랜드

    - 차량 및 가전제품 등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센서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기술을 활용해 초소형 정밀설계 및 제조가 가능하며 중국내 첨단 기술 보유 기업이 많지 않기 때문에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임.

    - 쳰잔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내 센서 시장은 오므론(OMRON), 허니웰(Honeywell) 등 다국적기업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 주요 중국 현지 기업

    - 중국 내 대표적인 센서 제조기업으로 하이캉웨이스(海康威视), 고어텍(歌尔声学), 수이징광전(水晶光电), 한웨이전자(汉威电子), 스란웨이(士兰微), 진룽기전(金龙机电) 등이 있음.

    - 애플의 휴대폰 부품 공급업체로 알려진 전자부품 제조사 고어텍(歌尔声学)은 최근 일본기업과 함께 음성인식, 얼굴인식, 동작인식이 가능한 개인용 비서 로봇을 출시해 기술력을 인정받음.

    - 저장성에 위치한 수이징광전(水晶光电)은 중국 화웨이(华为)에 부품을 납품하고 있으며 광센서, LED 분야에서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 최신 제품 트렌드

    - 계측기기, 자동차, 가전기기, 로봇, 드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환경에 맞춰 센서의 기능도 변화됨.

    - 스마트시티(Smart City)에 필요한 화재 감지 시스템, 교통통제 시스템, 안면 인식 시스템 등은 각종 센서를 사용해 네트워크를 만들어 정보를 수집하며, 중국 하이캉웨이스(海康威视), 다화홀딩스(大华股份) 등 기업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 전기공급자와 소비자간 정보교환을 통해 효율적인 전기공급과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시스템에서도 센서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

    - 최근 소형화·지능화·다양화 트렌드에 맞춰 변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바이오센서를 활용한 진단기기, 스마트폰에 부착되어 외부 접근 물체 감지, 적외선 감지 및 차단 등 실생활에서의 활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음.


□ 수입동향 및 관세율

  ○ 중국내 주요 센서 품목 수입 증가

    - GTA(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19년 중국의 주요 센서 품목 수입규모는 각각 14억 달러(HS Code 9026.20), 1억1500만 달러(HS Code 9025.90)으로 2017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2019년 중국 전체 센서 품목 수입 중 일본, 독일,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

    - 2019년 한국은 중국에 HS Code 9026.20와 HS Code 9025.90 품목을 각각 4200만 달러, 1억 달러 수출한 것으로 조사됨.

.

 ○ 품목별 관세율

    - HS Code 제90류(광학/의료 측정·검사 정밀기기)의 부분품과 부속품으로 분류되는 각종 센서 중 압력센서, 유량센서는 기본세율이 0%이며 온도세서 및 기타 센서는 한중FTA 특혜세율 0% 적용이 가능함.

.


□ 유통구조

  ○ 다국적기업의 현지법인 또는 대리상을 통한 유통

    - 제조사가 중국 현지 법인을 통해 직접 판매하거나 중간 대리상을 통해 유통되고 있음.

    - 이치이뱌오왕(仪器仪表网, www.testmart.cn) 등 소재부품 전문 온라인 B2B플랫폼을 통해 거래가 이뤄지는 경우도 많음.

  ○ 최종 사용자 수요에 따른 주문제작 후 납품

    - 일부 센서 제품은 특정 제품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수요처의 주문을 받아 제작하기 때문에 현지 법인을 통하여 중국내 거래처 수요에 대응.


□ 전망 및 시사점

  ○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에너지 등 미래 산업 전반에 걸쳐 수요 증가

    - 주변의 빛, 온도, 압력, 진동 등을 감지하는 센서는 스마트제조 등과 연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헬스케어 의료기기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음.

    - 인체와 관련된 바이오센서, 자율주행자동차 센서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중국정부는 독자 기술 개발을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기술력이 증명된 수입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고품질 소재부품 생산 중심으로 경쟁력 강화

    - 다롄 소재 센서 및 계측장비 수입상 다롄어우야계측기유한공사(大连欧亚仪表有限公司)는 한국기업은 계측장비 관련 센서 분야에 큰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내 알려진 한국 센서 제조사로 세텍(Setech), 큐리오텍(CURIOSITY TECHNOLOGY), 센서시스템기술(SENSYS) 등이 있다고 밝힘.

    - 일본 소재 센서 제조사에 부품을 납품하는 다롄 J사에 따르면 한국의 H사, Y사로부터 광섬유를 수입해 부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품질이 우수해 일본 거래처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고 밝힘.

    - 중국 J사는 센서에 사용되는 소재는 주로 중소기업이 제조하는 품목인데 중국에서는 고품질 제품 공급 기업을 찾기 어렵다고 의견을 전함.

    - 향후 센서 관련 부품소재 시장의 수요를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코로나19 이후 중국 내 사물인터넷 관련 장비 제조사의 공급망 재편을 기회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소후신문(搜狐新闻), 중국해관통관실용책자(中国海关报关实用手册), 이치이뱌오왕(仪器仪表网), 웨이커왕(维科网), KOTRA다롄무역관 자료 종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