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급증하는 中 소비재 수입, 주목할 만한 트렌드 변화는?

2022-11-29

소득수준 향상, 정부의 강력한 소비확대 의지 등으로 소비재 수입규모 급증
인구구조 변화,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소비시장은 연령별, 성별, 소득계층별로 세분화


급증하는 중국 소비재 수입

코로나19 확산, 미중 무역갈등 등 대내외적 악재 속에서도 국내 수요 증가, 소비재 수입관세 인하 등의 효과로 중국의 소비재 수입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딜로이트(Deloitte)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소비재 수입은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해 전년대비 9.9% 증가한 1조 7300억 위안(약 327조 230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중국 전체 수입의 10%를 차지하는 수치다. 올 상반기 소비재의 수입액 상승도 눈에 띈다.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해 수입 규모가 1조 위안(약 189조 1500억 원)을 넘어섰다.


중국인들의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1인당 지출 규모 크게 상승하고 있는 것이 소비재 수입확대의 가장 큰 이유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3만 5128위안(약 664만 원)으로 전년대비 9.1% 증가했다. 이와 함께 1인당 소비 지출액도 크게 증가해 전년대비 13.6% 늘어난 2만 4100위안(약 456만 원)을 기록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소비시장의 활성화를 주요 경제성장 과제로 삼고 다양한 소비확대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며 소비확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그 일환으로 수입 상품의 시장 진입 장벽을 지속적으로 낮추며, 관세 인하 조치를 연이어 발표해 전체 평균 수입관세율을 2017년의 9.8%에서 2021년 7.5%로 하향 조정했다. 또한 중국은 소비확대를 위해 국경간 전자상거래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B2C를 중심으로 중국의 국경 간 전자상거래가 빠르게 확대하고 있으며 지난해 전자상거래를 통한 수입액은 171억 달러를 기록해 2016년(39억 3000만 달러)에 비해 3.3배 증가했다.


중국 수입 소비재시장의 새로운 물결

중국 정부의 강력한 소비 확대 의지와 지속적인 소득증대로 소비재 수입이 확대되는 가운데 중국 소비시장은 고령화와 세 자녀 정책에 따른 인구구조의 변화와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자들의 생활패턴 변화 등으로 새로운 트렌드를 나타내고 있다.


1) 소비시장의 우먼파워

중국에서 여성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가 갈수록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영향력 확대는 소비 분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른바 ‘그녀의 경제(她经济)’가 주목받고 있으며, 중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2021년 해외직구 플랫폼 티몰글로벌을 이용한 소비자 중 72%가 여성이며, 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매출은 전년도에 비해 두 자릿수로 성장했다. 특히 1, 2선 도시에 거주한 여성들이 자신에 대해 아낌없는 투자를 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어 수입상품 소비를 이끄는 큰 손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녀의 경제가 모든 소비 분야에서 떠오르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그녀들이 주도하는 분야로는 패션, 미용, 육아용품 등이다.


2) 소비의 주역으로 부상한 90허우, 00허우

현재 중국 소비시장은 1990년, 2000년 이후 태어난 90허우, 00허우 세대가 소비 주력군으로 부상하고 있다. 티몰글로벌에 따르면 90허우, 00허우의 수입 상품 소비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난해 이들의 수입상품 구매가 전체 수입품 소비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어릴 때부터 경제성장으로 인한 풍요로움을 누리며 자라온 90허우, 00허우 세대들은 가격이 비싸더라도 품질이 더 좋은 상품을 선호하고 ‘나만의 스타일’을 표방하며 자기의 개성을 표출하기를 원한다. 그들은 수준 높은 생활을 영위하는 것을 추구하며 하이테크 화장품, 색조 화장품 소비에 거침없이 지갑을 연다.

3) 실버세대의 등장

중국은 1999년부터 고령화 사회로 진입해 이미 20년 동안 고령화 사회가 진행돼 왔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60세 이상 인구는 2억 67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8.9%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노인 인구가 2억 명을 넘은 국가이며, 2035년에는 60세 이상 인구가 4억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소비시장에서 실버세대가 신규 소비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못하게 되자 노인들의 온라인 쇼핑이 많이 증가했다. 티몰글로벌에 따르면 지난해 60허우(1960~1964년 출생자), 65허우(1965~1969년 출생자) 세대의 수입상품 구입금액은 각각 전년도에 비해 27%, 56% 급증했으며, 1960년 이전 태어난 노인들의 수입상품 구매가 전년대비 16% 늘어났다. 특히 실버세대의 구매력 향상과 더불어 건강·미용에 대한 관심도 증가해 노인분유를 비롯한 영양식, 안티에이징을 비롯한 스킨케어 등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4) 영유아용품 소비의 증가

점점 낮아지는 출산율과 달리 중국의 영유아용품 시장은 계속 확장되고 있다. 영유아 식품, 의류, 각종 케어용품 판매가 모두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관련 품목 수입도 전반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중국인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영유아용품 소비 고급화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경제적으로 여유롭고 교육 수준이 높은 80허우, 90허우 부모들이 자녀에 아낌없이 투자하려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특히 젊은 부모들이 온라인을 통한 소비와 정보습득에 익숙하며, 영유아용품의 안전성, 전문성을 꼼꼼히 따지는 경향을 보인다. 그들이 영유아용품 구매 시 품질의 우수성이 보장되고 과학적 전문성이 검증된 국제 브랜드를 선호한다. 또한 아이에게 최고의 것을 주고 싶어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아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식주 전반에 걸쳐 프리미엄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젊은 부모들이 신규 혁신 제품을 쉽게 수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티몰글로벌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산 영유아 조제우유, 저알레르기 분유 등 신규 제품군의 매출은 각각 전년대비 236%, 87% 급등했다.


5) 1인 가구의 등장

최근 몇 년새 중국에서 1인 가구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새로운 소비 주역으로 부상했다. 그들은 엔터테인먼트, 취미생활 등 자신을 위한 투자에 지갑을 여는 것을 꺼리지 않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영향으로 야외 활동과 공공장소 출입이 제한되면서 집에서 쉽게 즐길 수 있는 실내 운동, 오락기구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티몰글로벌에 따르면 지난해 가정용 게임기, 무선 이어폰, 마사지기계의 매출은 각각 311%, 825%, 20% 급격히 성장했다.


한편, 1인 생활에 따른 외로움, 사회생활로 인한 피로를 해소하기 위해 반려동물을 키우는 싱글족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반려동물 관련 소비 또한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기능성 사료나 반려동물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약품과 영양보충제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으며 개성을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반려동물 목욕용품, 장난감, 의류 등의 판매도 급증하는 추세다.


6) 건강과 자기만족을 지향하는 소비의 증가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일상이 장기화되면서 사람들과의 만남이 줄고 그 대신,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자신의 건강과 행복 등 '나를 위한 소비'가 점차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향수, 향초, 양주 등 자기만족 상품군의 매출이 많이 증가하며, 독특한 감성과 빈티지 매력을 자랑하는 필름 카메라도 젊은 층 사이에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지역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해외여행을 물론 국내 관광지 등을 찾기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인들이 도심 공원이나 근교에서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운동으로 눈을 돌린다. 스키, 낚시, 스케이트보드, 캠핑 등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며 관련 제품의 매출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시사점

중국은 14억 명에 육박하는 거대한 소비층을 보유한 세계 최대 시장이다. 중국인의 소득수준 향상과 정부의 강력한 소비 확대 의지로 내수규모의 팽창세가 두드러지고 인구구조 변화와 코로나19로 인한 생활패턴의 변화 등으로 소비시장은 연령별, 성별, 소득계층별로 세분화되고 있다.

중국 소비시장의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국 사회와 문화의 다양성, 시대별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중국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소비층별로 공략을 다양한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자료: Deloitte, 티몰글로벌, 중국신문망(中国新闻网), KOTRA 선양 무역관 자료 종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