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임플란트 시장동향

2023-03-21

우수한 품질 및 가성비 앞세운 한국 임플란트 브랜드 중국 시장 점유율 40% 이상 차지
중국 정부의 임플란트 조달 정책은 향후 안정적인 시장 구축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


제품명 및 HS코드


임플란트 시장동향

중국은 경제 성장과 더불어 의료 시장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으며, 임플란트 시장은 최근 10년간 높은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2013~2022년 중국에서 판매된 임플란트 제품은 연간 30만 개에서 500만 개로 증가하였으며, 10년 간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36%에 달한다.


2010년 전까지 중국에서 임플란트 제품은 비싸고 의료 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시장 규모가 크지 않았지만, 중국 국민 소득 증가하고 인구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임플란트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중국의 임플란트 보급률은 타국가와 비교하여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향후 성장의 여지가 많다. 한국은 1만 명당 600개로 전 세계에서 임플란트 보급률이 가장 높으며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도 1만 명당 100개 이상이나 중국은 1만 명당 30개에 불과하다.


일부 병원과 공급상의 담합으로 원가 대비 너무 비싸게 판매되는 임플란트 가격을 바로잡기 위해 중국 국무원, 국가의료보험국 및 각 지방의 의료보험국은 임플란트 가격 정상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해왔다. 2022년 9월 국가의료보험국은 <구강서비스 및 제품 가격관리 실시 통지(开展口腔种植服务和材料价格治理的通知)>를 통해 임플란트 제품은 향후 정부 관리감독 하에 조달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하였으며, 해당 정책에는 임플란트 가격뿐만 아니라 관련 서비스의 가격 상한선을 포함하고 있다.


임플란트 수입 동향

2013~2022년 중국 임플란트 제품의 수입규모는 계속해서 증가해 2022년 총 수입액은 6억 8,000만 달러로 2013년 대비 7배 이상을 기록했다. 다만 2022년에는 중국의 방역정책으로 수입 규모가 2021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중국 임플란트 수입제품 중 한국 브랜드는 3년 연속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22년 중국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임플란트 제품 총액은 전년 대비 28.3% 증가한 2억 7,000만 달러에 달한다.


2022년 중국은 총 371톤의 치과용 임플란트 제품을 수입했으며, 평균 단가는 킬로당 1772달러를 기록하였다. 수입 상위 10개국 중 스웨덴 제품의 단가가 가장 비쌌으며, 한국산 제품은 킬로당 1045 달러로 다른 국가의 제품 대비 좋은 가성비를 보였다.


시장 경쟁 현황

2021년 기준 중국 시장에 등록된 임플란트 브랜드는 117개이며 그중 수입 브랜드 99개, 중국 브랜드는 18개로 자국 브랜드 비중이 15%에 불과하다. 다수의 수입 브랜드 중 한국 브랜드는 시장 초창기부터 우수한 품질 및 가성비를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늘려나갔다. 2022년 기준 한국 브랜드 A사, D사는 점유율 1,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의 4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유럽 및 미국 브랜드는 첨단기술을 앞세우며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고 있지만, 개당 1만 위안이 넘는 제품을 선보이고 있어 시장 점유율은 다소 낮은 편이다. 중국 브랜드의 경우 임플란트 기술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가격 또한 한국산 제품과 비슷한 수준이어서 시장 점유율은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에도 못 미치고 있다.


국가 브랜드별 임플란트 제품의 타깃시장 및 평균 가격을 보면, 한국 임플란트 제품의 평균 가격은 3,000위안 이내이며, 주요 타깃 시장은 일반 시장으로 주요 1선 도시와 개인병원 등이다. 스위스 등 유럽 국가의 브랜드는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제품 가격은 최소 3,500위안에서 최대 1만 4,000위안에 판매되고 있다. 유럽 브랜드는 고가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기술력을 인정받아 중국 내 주요 고객은 공공의료기관 및 프랜차이즈 의료시설 등이다. 마지막으로 중국 브랜드의 경우 저가 시장을 타깃으로 하며 2,3선 도시의 정부기관 및 의료시설 등을 주요 고객으로 한다.


관세 및 수입 규정

임플란트(HS CODE: 9021.29.00) 제품의 중국 수입 최혜국(MFN) 세율은 4.0%, 한중 FTA 및 RCEP 세율은 0%이며, 수입 부가가치세율은 13%이다. 중국에서 임플란트는 제3류 의료기기에 속하며 중국에서 정식 판매 전 중국약품감독관리국(NMPA)에서 발급하는 의료기기 인증서를 취득해야 한다.


시장 전망

2022년 기준 중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14.9%로 일찍이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2033년에는 노인 비중이 20%를 초과하여 초고령화 사회 진입이 확실시 되고 있다. 또한 2050년에는 중국의 노년 인구가 3억8200만 명에 달하여 전 세계 노년층 인구의 24%를 차지할 것이며, 그에 따라 실버산업의 주요 품목 중 하나인 임플란트 제품에 대한 수요는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추세 속에 중국 정부는 노년층 대상 양질의 치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임플란트 제품 공공조달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최근 중국 정부의 관리감독 하에 조달된 임플란트 제품 가격을 살펴보면, 기존 가격 대비 50% 이상 하락한 제품도 있다. 해당 정책이 장기간 성공적으로 시행된다면 기존에 비용 문제로 임플란트 제품 구입을 망설였던 수많은 소비자가 새로운 고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의료기기협회에 따르면, 중국 정부의 조달 정책이 계속해서 유지된다면 연간 소비되는 임플란트 제품 수는 현재 500만 개에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임플란트 시장은 아직까지 수입품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그중 한국 브랜드는 높은 점유율과 우수한 품질, 적정한 가격을 바탕으로 고객의 신뢰를 계속해서 쌓아가고 있다. 향후 꾸준한 성장이 예상되는 중국 임플란트 시장에 우리 기업은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세밀하게 고객관리를 해야 하며,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중국 정부의 관련 정책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자료: 중국 상무부, 중상칭바오왕, ITC, KOTRA 우한 무역관 자체 정리자료 종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