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히알루론산 시장동향

2023-11-06

히알루론산 원료 최대 생산국이자 수출국
의료·미용·식품 분야로 적용 확대에 따라 시장 기회 확대

기본정보 및 시장동향


필러라고도 불리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보습성이 뛰어나 분야별로 다른 수준의 기술력을 요구하나 주로 의료,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 분야에서 많이 사용 중이다. 보습성, 점성·탄성이 뛰어나고 인체 거부반응이 거의 없다는 점 등 장점에 따라 조직수복, 피부미용 분야에 많이 활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식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히알루론산 원료시장이다. 코로나19가 발발했던 2020년에만 주춤하며 성장세가 둔화됐을 뿐, 2018년 이후 시장규모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규모는 2018년 30억 위안 규모에서 2022년 40억 위안 규모로 성장했고, 2025년에는 약 53억 위안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판매량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는바, 연간 판매량은 2018년 430톤에서 2022년 650톤까지 증가했고, 2025년에는 985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경쟁동향

중국은 히알루론산 원료 최대 생산국이자 판매국으로 전세계 시장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그 중 Bloomage Biotech(华熙生物)는 최대 공급기업으로 전 세계 원료시장 중 약 43%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그 외 Focus Chem(焦点生物), Fufeng Group(阜丰生物), Amhwa Biopharm(安华生物)까지 중국 기업이 2~4위를 차지했고, 4대기업의 시장점유율은 73%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기업으로는 일본기업인 Kewpie, 체코기업 Contipro, 프랑스 기업 Givaudan 등이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① 의료용

그러나 원료시장에서 중국기업이 큰 점유율을 차지한 것과 달리, 의료용 제품을 개발해 활용하는 시장 부문에서는 중국기업의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판매수익 기준 LG가 24.2%, Allergan 18.6%, Humedix 14.3%, Q-med 10.9%로 68%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4~6위에 위치한 중국 기업은 23.8%의 점유율로 아직은 다소 낮으나, 기술발전 및 품질제고에 따라 시장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MEIK(爱美客)는 물광주사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고, Bloomage Biotech(华熙生物)는 보충제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한국, 일본, 구미 등 선진국 대비 중국 의료시장에서의 히알루론산 보급률은 5% 미만으로 아직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018년 약 36억 위안에 불과했던 시장규모는 2022년 83억 위안으로 132% 성장했다. 아울러 시장은 성장세를 거듭하여 2024년에는 126억 위안까지 확대될 것으로 iiMedia는 전망했다.


② 화장품용

히알루론산은 보습, 양생, 항노화, 소염 등 다양한 기능을 지니고 있어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도 사용된다. “히알루론산 피부보호 화장품 추세백서(玻尿酸护肤品趋势白皮书)”는 중국 히알루론산 피부미용 화장품 시장규모는 2021년 732억 위안이었고, 2026년에는 78% 성장한 1,306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히알루론산을 함유한 화장품 브랜드는 많으나, 그 중 중국기업 중 비교적 두각을 보이고 있는 기업으로는 Bloomage Biotech와 Freda(福瑞达)가 있다. Bloomage Biotech가 보유한 BioHyalux(润百颜), QuadHA(夸迪), MedRepair(米蓓尔), 그리고 Freda가 보유한 Rellet(颐莲), Dr.Alva(璦尔博士) 등 브랜드는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③ 식품용

중국시장에서 히알루론산은 의료 및 화장품 분야에서 주로 활용됐고, 식품용으로는 2008년부터 보건식품 원료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다만 당시에는 크게 주목받지는 못했고, 정부는 2021년 1월 7일 국가위생건강위 심사를 통해 일반식품에도 첨가해도 된다는 비준을 내렸다. 이 이후부터 히알루론산이 유제품, 음료, 주류, 초콜릿제품, 사탕, 냉동식품 등 일반식품에 보다 널리 활용되기 시작했다.

히알루론산이 함유된 기능성 식품이 보편화됨에 따라 칭화대학 등 기관에서도 식용 가능한 히알루론산 제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이미 “건강중국 2030(健康中国2030)” 규획을 통해 히알루론산의 사용범주를 보다 확대하고 식용 히알루론산 산업의 발전을 장려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관련 시장규모도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수입동향

중국은 히알루론산의 글로벌 최대 생산국이자 판매국이며, 가격 경쟁력도 지니고 있어 수출을 위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1년 수입액이 186억 달러로 정점 기록 후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 1~8월 수입액은 전년 동기대비 17.8% 감소한 91억 4,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여전히 수입도 적지 않게 이뤄지고 있는 바, 이는 의료 분야에서 만큼은 중국 소비자들이 외국브랜드를 선호하고 외국브랜드의 히알루론산 주사가 시장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 최대 수입대상국은 일본이었으나, 對프랑스 수입 꾸준한 증가세와 최근 2년 對일본 수입 감소세로 프랑스가 최대 수입대상국으로 올라섰다. 한국 역시 2위 수입대상국에서 프랑스의 약진으로 현재는 3위로 한단계 내려왔고, 최근 2년 연속 對한 수입액이 큰 감소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규제 및 유통구조

화장품 및 식품의 재료이기는 하나 화장품이나 식품 자체 제품으로 분류되지 않아 별도의 수입인증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의료용은 고순도(純度)의 고품질 제품을 요구하기 때문에 수입 시 국가약품감독관리국 약품심사센터(CDE)에 “의약용 보조재 등기(药用辅料登记)”를 신청해야 하고 심사를 통과해야만 수입이 가능하다. 특히 외국 기업은 중국 내 기업에 등기 관련 사항을 위탁하여 약품심사센터 홈페이지(www.cde.org.cn)를 통해 관련제품 정보 및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심사가 통과된 후, 항구의 약품감독관리부문에 원료약비준증명문서와 원산지증명, 포장명세서(装箱单), 화물인도지시서(提运单), 출하점검보고서(出厂检验报告书) 등 자료를 제출하고 수입약품통관신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히알루론산의 유통 채널은 사용처에 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의약용인 경우, 고순도·고품질의 원료를 수요로 하기 때문에 주로 수요기업이 직접 공급계약을 맺는 경우가 많고 기존 공급처와 장기계약을 체결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일부 기업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요처와 직접공급 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시장에 공급하는 경우도 있다.

전망

기술의 발전에 따라 히알루론산이 의료와 미용, 화장품, 식품 분야 외에도 정형외과, 안과 등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고, 보다 많은 산업과 분야로 확장되면서 수요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국은 원료생산에서 큰 강점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실제 활용에 있어서는 소비자들이 외국기업의 제품을 선호하는 현상이 많이 보이고 있다. 특히 식품 분야는 아직 개발된 제품의 종류도 적어, 고품질 수입산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또 수요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수요증가와 시장의 확대로 비즈니스 기회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시장에 대한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해 보인다.




자료: 즈옌자문(智研咨询), huaon.con(華經情報網), iiMedia데이터센터(艾媒數據中心), 중국해관총서, 한국무역협회, i-tong(易通网), chinabaogao.com(观研报告网), chinairn.com(中研网), Frost&Sullivan, KOTRA 광저우무역관 종합정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