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철근 산업 동향 및 시사점

2024-04-16

2023년 중국 국내 철강 산업 공급과잉, 수출 증가
중국 철강 과잉생산 축소, 고품질 발전 추구할 것


중국의 철근(HS code:721420) 시장동향

철근(螺紋鋼)은 열간압연 리브철근(熱軋帶肋鋼筋)의 통칭으로 주택·교량·도로 등의 토목공사 건설에 널리 사용되며, 중요한 건축용 철강재로 주로 철근콘크리트 건축부재의 골격에 사용된다. Mysteel(我的鋼鐵網: 철강 산업 관련 데이터 서비스 기업)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의 총 철근 생산 능력은 계속 증가해 2022년에는 4억 4,800만 톤으로 증가했다. 지역별로 볼 때, 중국 북부 지역의 철근 생산 능력은 최근 4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화동 및 남부 지역의 생산 능력은 크게 확장됐다. 철근 생산 능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2021년부터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國家發改委)와 공업정보화부(工信部)는 조강(粗鋼)* 생산량 감축 계획을 동시 진행하고 있어 조강(粗鋼) 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 철근 생산량도 2021년부터 감소하면서 가동률이 60% 이하로 하락했다.
    주*: 조강(粗鋼): 제강로에서 제조된 그대로의 가공되지 않은 강철
 
현재 철강 산업의 공급 구조 개혁과 <철강 산업의 생산 능력 대체에 대한 시행 조치(鋼鐵行業產能置換實施辦法)>정책의 시행 그리고 건설 산업의 철강에 대한 수요가 지난 2년 동안 지속 감소함에 따라 2023년에는 철근 생산 능력이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다. 또한, 기존 단일 품종의 제철 업체도 생산 품종을 확장하고 있어 향후 철근 생산 능력의 지속 성장 여지는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철근 가격 동향

철근 가격은 부동산 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부동산 통제 정책 시행과 고정자산 투자성장률 하락으로 철근 가격도 상응하는 변동을 겪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에 중국 부동산 투자는 가파르게 감소하다가 코로나19가 완화됨에 따라 2020년 2분기 이후 투자액이 전년동기대비 빠르게 반등하여 철강 가격이 지속 상승하였다.

수요와 공급의 격차는 가격의 변화 추세와 대체로 역의 관계에 있다. 2021년부터 부동산 경기가 급격히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2020년 3분기부터 2021년 1분기까지 철강 공급과잉 규모와 철강 종합 가격 지수가 동시에 상승했다.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부동산을 포함한 다양한 안정적인 성장 정책(穩增長政策)이 효과를 보이기 시작하면서 단기간에 철강의 시장 수요를 촉진함에 따라 가격이 급격히 상승했기 때문이었다.

2022년에는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과 인프라 투자 증가율이 회복됐으나 부동산개발 투자 증가율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철근을 포함한 각종 철강 가격이 최근 몇 년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져 2021년 대비 12%~14%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2023년 중국 건설용 철강재 시장 가격은 상승 후 하락한 추세를 보였다. 건설용 철강재 중 철근 가격은 톤당 3,600~4,500위안에서 등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3월~5월 말에는 해외 에너지 위기가 완화되고 철강 기업의 생산 원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국 국내 석탄 제품 가격이 전체적으로 하락하면서 철근 가격도 빠르게 하락했다. 6~10월에는 등락폭이 크게 좁혀졌으며, 가격은 톤당 3,600~3,900위안으로 등락했다. 11월에는 부동산 정책이 집중 발표됨에 따라 철강 시장이 크게 진작됐으며, 이는 철근 가격 반등을 주도했다. 12월에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거시 정책에 힘입어 철근 가격은 톤당 4,100위안 선에서 등락했다.

2024년 1분기에는 철근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2월 말에 하락하기 시작해 3월에는 하락세가 가속화됐다. 3월 중순까지 철근 가격은 2023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정책 효과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춘절 이후 수요가 좋지 않은 것이 가격 하락의 주요 요인이다. Mysteel에 따르면, 2024년 철근 가격은 주로 톤당 3,800~4,200위안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철강 산업 수출 동향

글로벌시장에서 중국산 철강 제품의 수출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중국 철강 산업의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철강 수출 시장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화촹증권(華創證券)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철강 수출량은 총 9,120만 1,800톤으로 전년 대비 35.2% 증가했다. 철강 수출 품목 구조를 보면, 2023년 중국 철강 제품의 수출량은 모두 전년 대비 증가했다. 특히 철근 수출량은 철강 수출 전체의 30%에 달하여 전년대비 145.7% 증가했다.

2014~2016년 당시 중국 철강 수요는 적정 수준이었으나 실제 공급은 심각하게 과잉돼 내수가 공급을 뒷받침할 수 없어 중국 국내 철강 가격이 급격히 하락했다. 철강 기업은 심각한 국내 매출 손실로 인해 해외 판매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2023년 철강 수출 상황은 2014~2016년과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2023년 초, 강력한 경제 회복 기대와 철강 기업의 가동률 증가로 연초 철강 공급이 증가했으나, 실제 수요는 예상만큼 증가하지 못했다. 일년내내 원자재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철강 생산업체의 이윤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기업은 현금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생산 능력 가동률을 유지해야 했다. 이처럼 내수 부진과 과잉 공급으로 인해 철강 수출 수요는 다시 확대됐다.

2023년 중국은 철강 수출 상위 10개국*을 대상으로 총 4,730만 톤의 철강을 수출했으며, 이는 중국의 연간 전체 철강 수출량의 51.87%를 차지한다. 중국 철강 수출의 주요 대상국 구성은 비교적 안정적이다. 베트남이 한국을 대체해 중국의 최대 수출 시장이 됐으며, 중동 지역의 경우 중국 철강 수출 상위 10개국 중 5개국이 중동 국가로 중국의 주요 수출 시장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주*: 2023년 중국 철강 수출 상위 10개국: 말레이시아,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아랍 에미리트, 터키, 필리핀, 태국, 한국, 베트남


광파선물거래(廣發期貨)에 따르면, 한국은 중국의 철강 수출 주요 대상국으로, 중국이 작년 840만 톤의 철강을 한국으로 수출함에 따라 대(對)한국 수출량은 전년 대비 31.4% 증가했다. 중국의 대(對)한국 철강 수출이 증가한 이유는 한국의 수요 증가보다는 저가 대체 공급에 있다.


중국 철강 산업체인

철강 산업체인을 보면 업스트림 제조업체는 주로 ▲BAOSTEEL(寶武鋼鐵集團), ▲HBIS(河鋼集團), ▲SHAGANG(沙鋼集團), ▲ANSTEEL(鞍鋼集團), ▲JIANLONG(建龍集團) 등이 있다. 또한, 미드스트림 회사는 주로 ▲China Logistics(中國物流), ▲CYMA(武漢西馬), ▲Luzhong Logistics(魯中物流) 등이 있다. 산업 체인의 다운스트림에는 철강 무역기업이 있으며 Mysteel이 선정한 ‘2022년 중국 철강 무역 100대 기업’에 선정된 다운스트림 기업은 주로 ▲BAIGOUSTEEL(百構金聯), ▲KAI TONG Material(凯通物资), ▲주총과학무역(住總科貿), ▲HEBM(河北金屬) 등이 있다.


현재 중국은 기본적으로 5대 철강 물류권을 형성하고 있다. ▲베이징·톈진·선양·다롄·칭다오를 각각 핵심으로 하는 환발해 물류권(環渤海物流圈) ▲상하이·난징·항저우·닝보를 핵심으로 하는 장강 삼각주 물류권(長三角物流圈), ▲광저우·선전을 핵심으로 하는 주강 삼각주 물류권(珠三角物流圈), ▲우한·정저우·창사를 핵심으로 하는 중원 물류권(中原物流圈), ▲샤먼·푸저우를 핵심으로 하는 대만 해협 물류권(臺灣海峽物流圈) 등이 있다. 그중 장강 삼각주 물류권(長三角物流圈)은 규모가 가장 크며, 상하이의 중대형 무역량은 중국의 전체 성시(省市)에서 1위를 차지한다.


중국의 대표적인 철강 기업의 철강 생산·유통 현황을 보면, 철강 생산량이 가장 많은 기업은 BAOWU(寶武鋼鐵集團)으로 2022년 철강 생산량이 1억 1,994만 톤에 달했다. 철강 유통 및 물동량(吞吐量)이 비교적 높은 기업은 HBIS(河鋼集團), SHAGANG(沙鋼集團) 등이 있으며 그중 SHAGANG(沙鋼集團)이 자체 건설한 부두의 연간 철강 물동량은 8,000만 톤, HBIS(河鋼集團)는 2,900만 톤이다.


중국 철강 산업 관련 정책

철강 산업은 중국 경제발전의 토대이자 현대강국 건설을 위한 강력한 버팀목이며, 동시에 대규모 탄소 배출 산업이기도 하다. 이처럼 철강 산업은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은 철강 산업의 에너지 절약 및 배출 감소를 지속적으로 촉진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발표했다. 2023년 8월,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 발전개혁위원회(發展改革委) 등 7개 부처는 공동으로 <철강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작업 계획(鋼鐵行業穩增長工作方案)>을 발표하여 기술 혁신 및 혁신 조치, 철강 소비 업그레이드, 공급 능력 향상, 선도 기업 육성 등 4가지 주요 조치를 명확하게 시행했다. 이어 2023년 10월 공업정보화부는 <철강산업 스마트 제조 표준 시스템 구축 지침(2023년판)>을 발표해 2025년까지 비교적 완전한 철강산업 스마트 제조 표준 시스템을 구축하고, 총 45개 이상의 철강 산업 스마트 제조 분야 표준을 개발할 것을 제안했다.


시사점

2023년 11월 25일 LGMI(蘭格集團, 중국 철강 산업 기업에 철강 정보를 제공한 서비스 플랫폼)의 류타오란(劉陶然) 회장은 현재 철강 산업이 ▲과잉생산 ▲내수 부진 ▲수출 증가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2024년 중국 철강 산업이 손실 국면을 회복할 수 있을지의 여부는 철강 가격의 회복 및 철강 기업의 생산 원가 절감 가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철강 산업의 공급 구조 개혁 심화, ▲철강 과잉생산능력 축소, ▲중국 철강 산업의 전환 및 업그레이드 촉진을 위해 철강 기업이 양으로 승부하는 광범위한 개발 방식을 버리고 철강 산업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하고 생산량을 통제하는 것이 2024년 철강 시장의 주요 트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3월 31일(현지시간) 중국 철강협회는 자국 철강기업 대상 ▲저가 투매 금지, ▲악성 경쟁 중단, ▲안정적 시장 질서 유지 등을 골자로 하는 권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이처럼 2024년에는 신규 철강 과잉생산능력 축소 정책 및 시장 경쟁 심화의 영향으로 중국 국내 철강 공급은 소폭 감소, 수요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NISCO(南京鋼鐵)은 KOTRA 난징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국내 조강 공급은 축소 기조에 있어 작년 중국 철강 수출량은 크게 증가했지만 평균 수출 가격이 크게 하락해 기업의 수출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지 않았고 철강 제품의 수출 수익이 낮아 수출이 계속 성장할 확률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남경철강은 “앞으로 스마트 제조와 친환경 저탄소 신산업 발전을 위해 한국 관련 기업과의 협력도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료: Mysteel, WIND, 광파선물거래(廣發期貨), 중국 해관, 쳰잔산업연구원(前瞻產業研究院), KOTRA 난징 무역관 자료 종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