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중국 테마파크 산업 동향과 전망

임대근 소속/직책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통번역학과 교수 2015-12-01

■ 테마파크 개요

 

- 테마파크는 특정한 오락적 수요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대규모 물리적 공간임.
  ◦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오락과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된 공간.
  ◦ 기획 목적을 위해 특정 주제 중심의 물리적 환경, 오락시설, 이벤트 등을 구성.
  ◦ 방문객이 공간 내부에서 다양한 체험을 통하여 감동과 오락을 즐기는 비일상 공간.
  ◦ ‘테마’는 영화, 캐릭터, 자연, 과학, 민속, 역사 등 다양한 범주를 포괄.

 

- 대표 사례
  ◦ 미국: 디즈니랜드, 유니버설 스튜디오 등
  ◦ 한국: 에버랜드, 롯데월드, 서울랜드, 한국 민속촌 등

 

■ 중국의 대표 테마파크

 

- 민속: 민속문화촌(民俗文化村: 선전, 하이난, 윈난, 구이린, 시안, 베이징)
- 자연: 칭칭세계(靑靑世界: 선전), 야생동물원(선전), 수족관(베이징), 해양공원(홍콩)
- 과학: 미래시대(선전), 미래세계(항저우), 티안허항텐치관(天河航天奇觀: 광저우)
- 역사: 삼국성(三國城: 우시), 수호성(水滸城: 우시), 송성(宋城: 항저우), 태평천국성(난하이)
- 축소물: 금수중화(錦繡中華: 선전), 세계지창(世界之窓: 선전), 라오베이징웨이숴징위안(老北京微縮景園: 베이징)
- 레저: 수상낙원(선전), 하궁(夏宮: 선양)

 

■ 중국 테마파크 산업의 역사와 현황

 

- 중국 최초의 테마파크는 1989년 선전시에 개장한 ‘금수중화’로 25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음.
- 특히 선전시는 ‘금수중화’ 이외에도 ‘세계지창’ 등을 잇달라 개장함으로써 중국 내 테마파크 산업을 선도해 왔음.

 

- 최근 중국 테마파크 산업은 각 도시별로 확장 일로에 있음.
  ◦ 선전시를 필두로, 베이징, 항저우, 우시 등이 잇달아 테마파크 산업 진흥을 위해 노력함.
  ◦ 2011년에는 6개 대형 태마파크가 새로 개장했으며, 주로 중소도시(칭다오, 창저우 등)에 집중됨.
  ◦ 중소도시 중심의 테마파크 산업 투자는 전통적인 관광 상품에 더해, 현대적 관광 상품을 적극 개발함으로써 내수 시장은 물론 해외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함.
  ◦ 2012년에는 100곳이 넘는 각급 테마파크가 개장했으며, 최근에는 대도시에서도 랜드마크로서 테마파크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일례로 상하이시는 2016년 5월 디즈니랜드 개장을 앞두고 있음.)

 

■ 중국 테마파크 산업의 두 가지 모델

 

- 광저우 모델
  ◦ 대표 사례: 금수중화, 세계지창 등
  ◦ 성공 요인: 지역 우위, 시장 우위
  ◦ 지역 우위: 주장(珠江)삼각주를 배후로 하는 거주민과 이주 노동자들, 홍콩 및 동남아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지역 조건 및 역사, 문화적 특징을 수반한 풍부한 자연자원 등.
  ◦ 시장 우위: 해외 문화 요인들을 과감하게 받아들이고 중국 문화를 결합함으로써 시장의 수요를 창출.

 

- 장쑤(江蘇) 모델
  ◦ 대표 사례: 송성, 미래세계 등
  ◦ 성공 요인: 지역 우위, 경영 우위
  ◦ 지역 우위: 전통적으로 오(吳)로 대표되는 지역(local) 문화 발굴을 통해 특수한 문화적 요인들을 상품화.
  ◦ 경영 우위: 과감한 투자로 문화 관광 상품을 연계하는 경영 전략 구사. 송성그룹은 중국 내 최대 민간 관광투자 그룹으로 테마파크, 레저, 생태여행, 농업관광, 호텔 경영 등을 포괄. (자산 규모는 40억 위안을 초과)


■ 중국 테마파크 산업의 발전 요인과 전망

 

- 경제 발전과 소득 증가로 인한 내수 시장의 수요 확대
  ◦ 중국 도시 거주민의 수입이 100위안 증가할 때마다 30%는 물질 소비, 30%저축, 40%는 문화 활동에 소비한다는 통계가 있음.
  ◦ 현재 중국 테마파크 연간 입장객 수는 약 1억 명 안팎으로 추산. 이러한 추세라면, 2020년에는 연간 입장객 수가 2억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

 

- 해외 관광객 유치를 통한 수요 증대
  ◦ 2020년 중국은 세계 최대 관광지로 부상, 매년 1억 4천만 명 안팎의 해외 관광객을 흡수할 것으로 전망. 이는 전 세계 관광객의 8.6%에 해당.
  ◦ 테마파크는 주요 관광자원으로서 해외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주요 상품 중 하나.
  ◦ 다만 테마파크의 발전을 위해서는 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프라(교통, 숙박시설 등) 구축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

 

- 중국적 특징과 세계적 모델을 겸비한 테마파크의 활성화
  ◦ 단기적으로는 중국 테마파크 산업이 경쟁 국면으로 들어설 것으로 보이나, 장기적으로는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음.
  ◦ 중국의 전통 문화적 색채를 가미한 특징적 테마파크를 통해 관광, 문화 상품으로 활성화함으로써 문화 산업의 주요 사슬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
  ◦ 자연경관, 레저, 문화체험의 삼자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테마파크의 발전이 가속화될 전망.
  ◦ 세계적으로 테마파크를 선도하고 있는 미국의 테마파크 산업 및 경영 모델을 받아들여 중국화할 필요가 있음.
  ◦ 2016년 개장 예정인 상하이 디즈니랜드 등의 경영이 성공 모델 정착 여부가 향후 중국 테마파크 산업의 향배를 가를 예정.

 

■ 중국 테마파크 산업의 한계와 과제

 

- 고투자, 고자본, 고위험
  ◦ 개별 테마파크 투자규모는 수천만~수억 위안을 상회.
  ◦ 고자본 투자만큼 수요 창출에 실패할 경우, 경영 실패 가능성 상존.

 

- 관광형 테마파크의 과다
  ◦ 중국 테마파크는 관광형 테마파크가 다수.
  ◦ 오락 및 참여형 테마파크의 수량은 극소.
  ◦ 이로 인해 재방문율 저조, 연간 성수기가 짧은 편으로 경쟁력 제고에 한계.

 

- 중국 테마파크 산업의 과제
  ◦ 분명한 ‘테마’와 위치 선정 필요: 테마와 위치는 문화적, 시장적 요인 등에서 상호 결합할 필요.
  ◦ 창의적인 설비 기획 필요: 자연경관과 문화경관, 오락 설비 등이 결합된 창의적인 설비 기획 필요.
  ◦ 참여형 이벤트 기획 필요: ‘테마’와 연계된 참여형 이벤트의 상시 제공 필요.
  ◦ 부가 상품 기획, 생산 필요: ‘테마’ 연계형 부가 상품(캐릭터 등)의 기획 및 생산 활성화 필요.


■ 한국 테마파크 산업에의 시사점

 

- 중국 진출
  ◦ 한국 업계도 이미 중국 테마파크 산업에 관심을 갖고 진출하고 있음.(예: 롯데, 2018년 청두시에 주상복합타운 건설, 마트 및 테마파크 건설 예정 등)
  ◦ 중국 내 테마파크 산업은 현재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주요 지역의 사업 진출 및 신규 개장이 활성화.
  ◦ 입지 선정 시 기존 대도시(선전, 상하이, 베이징 등)와 테마파크 활성화 도시(항저우 등)를 피하고, 대도시의 위성 도시나 2급 도시 등을 선택할 필요.
  ◦ 내수 시장과 해외 관광객을 동시에 유치할 수 있는 입지 선정 필요.
  ◦ 중국적 특수성과 세계적 보편성을 결합한 체험형 프로그램 개발 필요.
  ◦ 한국적 시스템을 활용한 서비스의 질적 수준 제고 필요.

 

- 방한 중국 관광객 유치
  ◦ 비중국적 요소를 과감하게 활용한 세계적 수준의 환경 및 프로그램 제공 필요.
  ◦ 한국적 서비스 강화로 방문객에 대한 서비스 관리 강화로 재방문율 제고 필요.
  ◦ 부가 상품 개발로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 필요 등.


■ 참고문헌
- 「2015-2020年中國主題公園行業全景調硏與發展戰略硏究咨詢報告」
- 鐘士恩 등, 「中國主題公園發展的回顧、評價與展望」
- 深圳艾特凡斯智能科技有限公司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