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유니콘기업(20) 中 B2B 신선식품 온라인 플랫폼 ‘메이차이왕’

CSF 2020-10-29

中 B2B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플랫폼 메이차이왕, 
인터넷 기술 바탕으로 중국 농업과 요식업 공급사슬 변혁 주도   

올해 갑작스럽게 발생한 코로나19가 사회 변혁을 촉진하면서 요식업계의 구매와 운송, 저장, 관리, 제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의 디지털화 고도화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업체를 대상으로 한 B2B 사업을 하고 있는 신선식품 공급업체 ‘메이차이왕(美菜网)’에 커다란 기회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됨. 


- 중국 신선식품 업계의 경쟁사인 허마셴성(盒马鲜生), 딩둥마이차이(叮咚买菜), 메이르유셴(每日优鲜) 등 업체가 고객을 대상으로 한 B2C 사업을 주로 하고 있는 것과 달리, 메이차이왕은 기업 대상의 B2B 신선 신품 공급업체라는 포지셔닝을 설정함.

- 2014년 베이징(北京)에서 창립한 메이차이왕은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중국 전국 1,000만 곳에 육박하는 음식점에 식자재를 공급하고 있으며, 2018년 9월 시리즈E 투자 유치 과정에서 기업가치가 70억 달러(약 8조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평가됨. 

- 또, 중국의 부호전문 연구기관인 후룬(胡润)연구원이 발표한 ‘2020년 후룬 글로벌 유니콘 기업 순위’에 따르면 메이차이왕의 기업가치는 이미 500억 위안(약 8조 5,200억 원)에 달함.

중국의 신선 식품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메이차이왕은 인터넷과 디지털화 플랫폼 등 기술을 바탕으로, 중국의 현대적 농업과 요식업 공급사슬을 변화시키고 농산품 공급사슬의 혁신과 고도화를 촉진하고 있음.


- 창립부터 현재까지 메이차이왕은 ‘중국의 농업을 변화시켜 8억 농민을 위한 행복을 도모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전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신선 식품 공급사슬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해 1,000만 영업점과 1억 소비자에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비전을 제시, 여러 조치로 기업 고객의 핵심 수요를 만족하고 있음.

- 류촨쥔(刘传军) 메이차이왕 최고경영자(CEO)는 “2019년 4분기 매출액이 이미 140억 위안(약 2조 3,570억 원)을 넘어서 요식업 공급체인 분야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밝힘. 

- 현재 온라인 분야에 몰두하고 있는 류촨쥔 CEO는 사실 중국 최고의 자연과학 연구기관으로 꼽히는 중국과학원(中国科学院)에서 우주과학 석사 학위를 받은  공학도임.  

- 하지만 중국에서 농업이 발달한 산둥성(山东省) 이멍(沂蒙) 산간 지대에서 태어난 그는 산간 지역 농민의 농산물 판매가 쉽지 않다는 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음. 산간 지역 농산물의 품질은 우수하나 운송이 불편해 판매 정체로 재고가 쌓이는 현상을 보면서 류촨쥔 CEO는 이러한 상황을 바꿔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됨.   

- 그는 중국 농업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요식업’에 포커스를 두었음. 그는 “방대하고 안정적인 규모를 갖췄는지 여부가 중국 농업을 변혁할 수 있는 관건이며, 중국의 농업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지렛대를 가지고 있다면 중국 농업의 대문을 열 수 있는 열쇠를 가진 셈”이라고 언급함.

-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의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중국 요식업 시장 규모는 4조 6,000억 위안(약 774조 원)을 돌파함. 중국 요식업에서 통상적으로 재료 비용이 30%라고 할 때, 요식업 공급사슬 규모가 최소 1조 3,800억 위안(약 232조 원)에 이른다는 분석도 나옴.

- 요식업계의 방대한 주문량을 한데 모아, 규모의 경쟁력을 내세워 저렴한 비용, 우수한 품질의 상품을 안정적으로 조달해 공급한다는 게  메이차이왕의 사업 구상임 . 


대다수의 요식업계 공급업체와 달리 메이차이왕의 주요 고객은 중소 업체에 집중됨.


- 중국의 요식업 100대 기업이 요식업 전체 매출의 5.04%인 2,000억 위안(약 34조 원)을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 약 95%에 해당하는 약 4조 1,000억 위안(약 690조 원)의 매출을 중소 음식점이 기여하고 있음.

- 하지만 중소 업체 고객은 연간 도태율이 30%에 육박해 계속해서 새로운 고객을 발굴해야 한다는 점과 고객 충성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가성비에 대한 지나친 요구가 B2B 플랫폼의 생존을 어렵게 한다는 점이 메이차이왕이 직면한 도전으로 지목됨. 

- 이 같은 여러가지 도전으로 메이차이왕은 산지에서 직접 공수한 농산물을 업체에 제공하는 산지직송 측면의 역량을 강화함. 

· 우선은 규모면에서 메이차이왕은 중국 내 농산물 거래 유통 단계가 매우 긴 상황에 대응하여, 산지에서 직접 공수하여 공급하는 비율을 절반 이상으로 늘렸음. 대다수 상품 품목에서 중간 유통 단계에서 나가는 비용을 절약하면서 소비자에 이익이 돌아가도록 함. 업계에서는 신선식품 B2B 플랫폼 가운데, 메이차이왕이 중국 식자재 공급사슬 분야에서 처음으로 시장점유율 10%를 돌파하는 기업이 될 것으로 보고 있음.    

· 상품 품목 및 품질 검사 측면에서는 2만 개의 SKU(Stock Keeping Unit, 재고 단위 관리)1)를 보유하고 있는 메이차이왕은 완전한 식품안전 관리·통제시스템을 구축함. 품질 검사팀 구축과 양성, 상품의 시장 진입과 샘플 검사, 상품 수매와 품질 검사, 유통 전과정 추적에 이르기까지 각 방면에서 상품의 품질을 보장함.   

- 우수한 품질과 저렴한 가격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메이차이왕에 대한 인지도도 부단히 높아져, 현재는 수백 만개의 업체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메이차이왕이 당초에 구상한 대로 중국 농업의 변화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달걀 품목을 예로 들면, 메이차이왕은 1년에 70억 개가 넘는 달걀을 판매하고 있는데 이미 확보한 방대한 수요를 통해 양계장의 상품 등급 분류를 촉진하여 효율을 크게 높였고, 양계장에 금융 서비스도 제공함. 

- 업계 내부적으로 보면, 메이차이왕의 달걀 판매량은 판매 규모 2~10위 업체를 모두 합한 양보다 많아 달걀 가격 형성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 메이차이왕의 달걀 구입 가격은 도매 가격보다 2% 가량 저렴한 것으로 전해짐.

-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제외하고도 메이차이왕은 고객의 수요에 맞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일례로 달걀의 경우, 양계장에서부터 무균 달걀,  일반 달걀, 세척한 달걀, 세척하지 않은 달걀 등 고객의 수요에 따라 맞춤형 주문이 가능함. 

- 산지 직송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창고 배치가 매우 중요한데, 이와 관련해 메이차이왕은 다년간 역량을 축적해 왔음. 중국 전역에 150개 창고저장센터를 두었고, 창고 면적은 570만 평방미터(㎡, 약 172만평) 에 달하며 일일 소포 처리량이 약 600만 개에 달하는 집약적인 공급 사슬 역량을 갖췄음. 

- 뿐만 아니라 올 9월 25일 메이차이왕이 주최한 ‘중국 요식업 공급사슬 신 생태계 대회(中国餐饮供应链新生态大会)’에서 류촨쥔 CEO는 ‘공급사슬 개방’ 계획을 발표함. 시장화 경영 방식을 통해 공급사슬의 계약이행 역량과 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공급사슬 비용을 개선하며, 업계 진입 장벽을 구축하여 메이차이왕의 두 번째 성장엔진을 신선식품 소매 기업에 제공해 업계 발전에 힘을 실어준다는 구상임. 즉, 협력 파트너에 메이차이왕의 경쟁력과 전문적인 기능을 개방해 윈윈(win-win)을 실현한다는 목적임.

· 류촨쥔 CEO는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매우 큰 변화가 생겼다. 기존에 협력해 본적이 없는 큰 고객이 접촉을 해왔다는 점”이라며 “심지어는 신선식품 대기업이 연락해 왔고 일부 오프라인 소매업체도 맞춤형 상품 가공에 대한 수요를 언급했다”고 소개함. 따라서 향후 메이차이왕은 기존의 중소 음식점과 가게를 중심으로 한 요식업 배송 사업과 대형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한 전문적인 공급사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가지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임.

한편, 코로나19로 인한 요식업계 변혁 요구가 높아지면서 신선식품 온라인 플랫폼도 발전에 추진력을 얻고 있음.

- 관련 통계에 따르면, 중국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전체 일일 이용자 수(DAU)는 평상시 800만 명이 안되는데, 춘제 기간에는 1,000만 명, 명절 이후에는 다시 1,200만 명을 돌파하며 증가율이 60%에 달함. 중국 정부가 농산물 유통시설과 시장 구축, 농업의 공급측 구조 개혁을 강화하고 농산물 콜드체인 물류 구축과 농산품 표준화 수준을 높이는 등 신선식품 업계를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2011~2019년 중국의 신선식품 시장 거래는 안정적으로 증가해, 2020년에는 신선식품 시장 규모가 2조 3,100억 위안(약 390조 원)에 달하며 연평균 14.16%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임.    

-하지만 메이차이왕의 수익성 전망이 그다지 밝지 않다는 전망도 나옴. B2B 사업을 하고 있는 메이차이왕의 고객인 요식 업계가 코로나19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업종 중 하나이며, 메이퇀(美团), 어러머(饿了么) 등 식자재 공급에 뛰어드는 업체가 늘어나면서 향후 수익성 여부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임.

<참고자료 : 텅쉰왕(腾讯网), 이어우(亿欧),  첸잔왕(前瞻网), 정취안르바오왕(证券日报网) 등>

-----
1) SKU(Stock Keeping Unit) : 상품 관리·재고 관리를 위한 최소 분류 단위로, 재고품이 선반에 진열될 때의 단위란 데에서의 호칭임. 또는 재고 관리(在庫管理) 코드를 의미하며, 개별적인 상품에 대해 재고 관리 목적으로 추적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 관리 코드를 말함. 

게시글 이동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