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월간특집-산업편] 핵심 산업으로 자리잡은 중국의 ‘신(新) 인프라’

CSF 2021-10-29

□ ‘신(新) 인프라’란, △ 5G 인프라 △ 특고압 △ 도시 간 고속철도 및 도시 궤도 교통 △ 신에너지차 충전소 △ 빅데이터 센터 △ 인공지능 △ 산업인터넷 등을 뜻함.

◦ 2018년 중앙공작회의에서 처음으로 ‘신 인프라’의 개념을 제시함. 이후 당중앙과 국무원이 신 인프라를 중시하기 시작하면서 관련 정책과 로드맵이 더욱 명확해지고 있음.

◦ ‘신(新) 인프라’는 경제사회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는 핵심적인 부분으로, 신 인프라 건설을 통해 경제사회의 디지털 전환을 실현하고, 신업태, 신산업, 신경제를 육성하여 새로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음. 또한, 향후 중국 경제사회 발전 흐름과도 맞물려 있으며, 부족한 부분을 보완함으로써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여겨짐. 더 나아가 중국의 질적 발전 실현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   

◦ 2020년 중국은 산업인터넷, 빅데이터 센터, 5G, 인공지능 등 신 인프라의 핵심 분야에 약 1조 위안(약 184조 원)을 투자함. 
- 투자 비중을 보면, △ 빅데이터 센터는 52% △ 5G 인프라는 27%, △ 산업인터넷은 11% △ 인공지능은 10%임. 
- 투자액을 보면, △ 빅데이터 센터는 2020년~2022년 동안 총 1조 5,000억 위안(약 276조 원) △ 산업인터넷은 2020년~2050년 동안 총 6,500억 위안(약 120조 원) △ 5G 인프라 건설은 2019년~2026년 동안 2조 6,000억 위안(약 479조 원) △ 인공지능은 2020년~2023년 1,000억 위안(약 18조 원)임. 

◦ 산업인터넷 투자액은 1,400억 위안(약 26조)을 넘음.
- 공신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중국 산업 인터넷 산업 경제 규모는 2조 1,000억 위안(약 386조 원)에 이름. 
- △ 현재 매년 건설 중인 대형 산업인터넷 플랫폼 프로젝트는 500개 이상, 각 플랫폼 투자액은 약 1억 5,000만 위안(276억 원)~2억 위안(약 368억 원)정도이며, △ 2020~2025년 산업인터넷 분야의 누적 투자액은 6,500억 위안(약 12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됨. 


◦ 인공지능 투자액은 1,200억 위안(약 22조 원)을 넘음.
- 2014~2019년 중국의 인공지능 누적 투자액은 약 3,950억 위안(약 73조 원)이었으며, 그중 2019년 투자액은 931억 위안(약 17조 원)이었음.
- 거점도시를 보면, 베이징, 선전, 상하이가 중국 인공지능 업계 발전을 이끌고 있음. △ 징진지(베이징·톈진·허베이) △ 웨강아오대만구 △ 장강삼각주의 인공지능 기술력도 향상 중임.


◦ 인공지능 세부 투자 영역을 보면, 2019년 컴퓨터 비전과 AI(인공지능) 업계에 대한 투융자가 가장 많았으며, 각각 24%와 21.6%였음. 그다음으로 자연어 처리와 딥러닝 기술은 16%, 14%에 달함. AI 칩, 데이터베이스, 자율주행, 바이오인식 기술이 그 뒤를 이음. 
- 2022년까지 중국의 인공지능 투융자 규모는 1,200억 위안(약 22조 원) 이상일 것으로 예상됨. 

◦ 중국 3대 이동통신사가 발표한 4G 기지국 건설 주기 등 관련 데이터를 보면, 5G 기지국 건설은 2021~2023년 절정에 이를 것으로 예측됨. △ 2019~2026년 전국 기지국 건설 누적 투자액은 2조 6,000억 위안(약 477조 원)에 달할 것임. △ 2024~2026년은 5G의 응용 영역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사물인터넷 응용, 법인용 애플리케이션은 5G 응용 혁신의 중점이 될 것이며 간접 투자는 5조 위안(약 916조 원)이 넘을 것으로 보임.


◦ 2019년 정부공작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징 등 10개 지역에서는 인공지능 발전과 산업인터넷 건설에 속도를 높였음. 또한 랴오닝, 헤이룽장, 장쑤, 푸졘, 안후이, 허난, 쓰촨, 광시 등 8개 지역에서는 5G 상용화를 위해 대대적인 조치를 취했음. 

◦ 2020년 정부 공작 보고서에 따르면, △ 상하이는 새로운 정보 인프라 건설 가속화 및 산업 고도화를 통해 5G 네트워크를 확대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예정임. △ 후베이는 5G, 산업인터넷, 콜드체인 물류 등 신 인프라 건설을 가속화할 예정임. △ 네이멍구는 5G 통신 응용 및 빅데이터,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산업을 배치할 계획이고, △ 산시는 새로운 정보기술,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신흥 산업 발전을 가속화할 계획임. 

◦ 2020년 각 성은 신 인프라 사업을 중점적으로 전개하고 있음. 3월 산둥성 발개위가 발표한《2020년 중점건설사업계획》을 보면, 2020년 성 중점 사업이 1,230개, 투자총액은 5조 9,000억 위안(약 1,078조 원)이며, 그중 도시 간 궤도, 5G 통신 등 인프라 건설에 투자가 집중됨. 

◦ 신 인프라 관련 기술이 성숙해지고 있음. 
- 5G는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고, 5G기지국과 핵심 네트워크 설비 기술의 연구개발(R&D) 및 산업화가 성숙해지고 있음. 
- 인공지능 관련 핵심 기술인 △ 기계학습 △ 자연어 처리 △ 컴퓨터 비전 등이 성숙해지고 있음. 
- 산업인터넷은 핵심기술의 고도화, 융합·적용 분야의 확대, 산업 생태계의 성숙이 이루어지고 있음. 관련 공룡기업도 전략적 협력과 투자·인수합병 등의 방식으로 산업인터넷의 응용과 발전을 추진하고 있음. 
- 빅데이터는 이미 국가전략으로 자리 잡음. 현재 중국은 8개의 빅데이터 종합시험지역이 있으며, 빅데이터 관련 신기술, 신업태, 신모델이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음. 
- 신에너지차는 국가전략차원으로 격상됨. 현재 신에너지차 산업은 원재료 공급, 배터리, 차량용 컨트롤러 등 핵심 부품의 연구개발과 생산부터 완성차 설계·제조 그리고 충전 인프라와 같은 부대시설까지 완벽한 산업사슬을 갖추고 있음. 

◦ 각 성과 직할시가 모두 정부공작보고에서 신 인프라를 언급했으며, 관련 행동방안과 계획을 발표했음.  


◦ 일례로, 광둥성은 신 인프라 분야에 일찍부터 투자해옴. 
- 광둥성 공신부 통계에 따르면, 광둥성은 일찍부터 사물인터넷 발전을 위해 노력해옴. 2014년 말 광둥성은 사물인터넷 산업의 시장 규모가 2,400억 위안(약 44조 원)에 달했음. 중국에서 사물인터넷 산업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 2022년 사물인터넷의 센서, RFID 등 핵심 산업의 총 규모가 2,000억 위안(약 37조 원)에 이르고 관련 산업 규모는 7,000억 위안(약 128조 원)에 달할 것이며, △ 2025년에는 3,000억 위안에 이르고, 관련 산업의 총 규모는 1조 위안(약 183조 원)을 넘을 것으로 예측됨. 
- 사물인터넷의 경우, 2025년까지 국제적인 영향력을 갖춘 산업인터넷 네트워크 인프라 및 산업 체계를 가장 먼저 구축할 계획임. △ 2022년 산업 인터넷 핵심 산업 규모는 1,100억 위안(약 21조 원), 관련 산업의 총 규모는 4,000억 위안(약 74조 원)을 넘을 것이며, △ 2025년에는 1,500억 위안(약 27조 원), 관련 산업의 총 규모는 6,000억 위안(약 110조 원)을 넘을 것으로 예측됨. 
- 인공지능의 경우, △ 2017년 광둥성의 인공지능 핵심 산업 규모는 약 260억 위안(약 5조 원)이었으며, 로봇 및 스마트 장비 등 관련 산업 규모는 2,000억 위안(약 37조 원)을 넘어섬. 인공지능 핵심 산업 및 관련 산업 규모가 전국에서 가장 큼. 광둥성 정부는《광둥성 신(新) 인공지능 발전 계획》을 특별히 제정하며 인공지능과 경제, 사회, 산업의 융합 발전을 촉진함. △ 2022년 인공지능 핵심 산업 규모는 450억 위안(약 8조 원)에 육박하고, 로봇 및 스마트 장비 등 관련 산업 규모는 3,000억 위안(약 55조 원)을 넘어서며, △ 2025년에는 550억 위안(약 10조 원)을 넘고, 관련 산업 규모는 4,000억 위안(약 74조 원)을 초과할 것으로 보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