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주요 이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견해 및 제언이 담긴 칼럼을 제공합니다.

2022년 중국경제 전망과 시사점

김동하 소속/직책 : 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학부 교수 2021-11-30

1. 2021년 3분기 중국 경제 실적 및 한 해 전망

중국 국가통계국이 밝힌 금년 3분기 GDP 증가율은 4.9% 였다. 이는 시장 전망치 5.0∼5.2% 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다. 기저효과가 축소되어도 3분기에는 5%대 성장이 무난할 것이라는 것이 시장 전망이었다. 2021년 경제성장률은 1분기와 2분기 각각 18.3%와 7.9%를 나타냈지만 3분기 들어 성장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 

산업별로는 2021년도 2차산업 성장률이 2분기 7.5%에서 3분기 3.6%로 떨어졌으며, 3차산업 역시 2분기 8.3%에서 3분기 5.4%로 성장세가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2021년 1차산업 성장기여도는 2분기 0.4%포인트에서 3분기 0.5%포인트로 전분기보다 소폭 상승한 반면, 2차 산업(5.5%포인트→4.0%포인트) 및 3차산업(6.7%포인트→5.3%포인트)은 하락세를 시현하고 있다. 


2020년 1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은 –6.8%로 COVID-19 충격에 사상 유례없는 추락을 경험했다. 그라나 곧바로 3.2%로 반등에 성공했고,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4.9%와 6.5% 성장을 기록했다. 이 때문에 중국경제가 올해 '전고후저' 패턴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으나, 3분기 실적 발표 후 너무 빨리 성장 동력이 떨어지는 것 아닌가라는 우려가 나온 것이다. 

중국 내 전문가들은 금년 3분기 실적은 중국정부의 에너지소비 이중통제정책(단위당 소비 및 소비총량 지표로 에너지 소비를 통제), COVID-19의 재확산, 홍수, 부동산부문 규제 강화 등에 기인한다고 보고 있다. 


이제 한 달 남짓 남은 2021년 4분기는 기저효과를 보지 못할 전망이다. 여기에 전력난에 따른 제조업 둔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세계 물류 시스템 병목 현상, 회복되지 않는 소비 등 악재가 성장 둔화세를 고조시킬 가능성이 크다. 

3분기 소비자 물가지수는 0.8을 기록하고, 5월 1.3 이후 9월 0.7로 지속 하락하는 안정세를 보여 인플레이션 우려는 높지 않다. 다만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동월비 10.7%나 상승했다. 이는 생산 단가 상승을 의미하며 제조업의 채산성 악화를 암시한다. 실제 최근 발표된 10월 CPI는 1.5로 최근 4개월간의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세로 반전되었다. 이는 2020년 5월 이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는 PPI의 영향일 가능성이 크다. 2021년 10월 PPI 역시 13.5를 기록하여 상승 추세를 이어갔다. 

향후 중국경기를 엿볼 수 있는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6를 나타냈다. 호황 기준선(50) 밑으로 떨어진 것은 COVID-19가 창궐하던 2020년 2월 이후 처음이다. 10월에도 49.2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따라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전력 부족에 따른 제한 송전이 4분기 경제성장률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골드만삭스는 2021년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8.2%에서 7.8%로, 일본 노무라증권은 8.2%에서 7.7%로, 피치는 8.5%에서 8.1%로 하향 조정했다. 내수 소비도 좀처럼 되살아 나지 않고 있다. 3분기 소매판매액(누계)은 16.4% 증가한 걸로 나타났으나, 월별로 보면 2021년 3월 34.2%로 정점을 기록한 후, 6월 12.1%, 7월 8.5%, 8월 2.5%, 9월 4.4%로 성장세가 확연히 둔화되고 있다. 다만 10월에는 4.9%로 소폭 상승세로 반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커창 중국 총리가 연초 밝힌 2021년 경제성장률 목표 6% 이상 달성에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다만 4분기 경제성장률이 급락할 경우 그 여파가 2022년까지 이어진다는 점에서 중국정부는 미세조정 범위 내에서 통화정책 등 다양한 거시조정정책 수단을 사용할 것이다. 거시경제 지표 중 긍정적인 요인은 수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소비자물가와 실업률도 안정선을 유지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실제 10월 도시 실업률은 4.9%로 8월보다 0.2%포인트 낮아졌다. 올해 중국의 도시실업률 목표는 5.5% 안팎이다. 올 3분기까지 도시 신규 취업자는 1045만명으로 연간 목표의 95%를 달성했다. 올해 1인당 소득도 증가했는데, 3분까지 전국 1인당 가처분 소득은 2만6265위안으로 전년동기비 10.4% 증가했다. 도시가구 1인당 가처분 소득은 9.5% 증가했고, 농촌 가구 1인당 가처분 소득은 11.6% 늘었다. 

수출은 2021년도 중국경제를 뒷받침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다. 2020년 3분기에 이전의 감소세에서 성장세로 전환된 중국의 수출과 수입은 2021년 10월 한 달에도 전년동월비 17.8% 증가하였고, 이중 수출은 20.3%, 수입은 14.5% 늘어났다. 금년도 10월까지 누계 역시 수출입은 22.2%, 수출 22.5%, 수입 21.8% 성장세를 시현했다. 실적 중 일반무역 비중은 61.7%로 전년동기비 1.4%포인트 늘어나 저부가가치형 가공무역 축소가 지속되고 있다. 민영기업 무역 비중도 48.3%로 전년동기비 2.2%포인트 늘어났으며, 전제 수출품 중 기계·전자제품 비중은 58.9%나 점유했다.

국가통계국 역시, 3분기 경제성장률을 발표하면서 거시경제 지표가 모두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회복과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금년 1∼3분기 누계 GDP는 82조3131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비 9.8% 증가했다. 종합하면, 2021년 한 해 전체를 놓고 볼 때 성장세 둔화로 보기에는 어렵다는 판단이다. 이상을 종합하면 2021년 4분기 경제성장률은 3.9%, 2021년 한 해 GDP 성장률은 8.1%를 기록할 전망이다.1)

2. 2022년 주요 리스크 요인

1) 부동산 문제

아직도 진행중인 헝다 그룹 문제는 2022년 한 해에도 부동산 투자 및 소비 분야에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2021년 9월부터 부도 위기설이 대두된 헝다그룹 등 중국 부동산 개발기업의 과도한 레버리지에 대한 우려는 이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이에 중국 정부는 건전성 규제 등을 통해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을 유도해왔다. 헝다그룹 사태는 부동산에 의존해 온 성장모델의 취약성, 누적된 부동산 개발기업의 과잉부채, 기업 한계를 초과한 정부의 규제가 동시에 맞물려 나타난 결과이다. 

중국정부는 2020년부터 레드라인 규제를 통해 부동산 개발기업의 디레버리징을 유도했다. 2020년 8월 20일 공포된 기준을 보면, 부동산 개발기업은 ① 선수금을 제외한 자산부채율 70% 초과 금지, ② 순 부채율 100% 초과 금지, ③ 유동부채가 현금성 자산보다 배 이상 많아서는 안 된다. 헝다 그룹은 2020년 상반기에는 3개 모두를, 1년 후인 2021년 상반기에도 2개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헝다그룹 사태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중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부동산 관련 부문의 부진에 따라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이다. 헝다그룹 자산 중 미완공 주택(작년말 기준 150만 가구)은 53.8%(1.28조위안)에 달하나 당국의 대응 기조를 감안할 때 주택시장 및 건설투자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 중국정부는 헝다그룹 부동산 프로젝트를 특별관리계정으로 설정하여, 주택구매자의 지불금이 헝다그룹이 추진 중인 주택 프로젝트를 완공하는데 사용되도록 관리·감독하는 한편, 인민은행도 주택구매자의 권익을 보호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둘째, 헝다그룹 및 관련업체의 보유자산 매각, 투자심리 위축 등이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쳐 소비 회복세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지방정부의 주요 재원인 토지사용권 판매수입이 줄어들어 재정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관리 가능한 부실채권 규모, 정부의 금융시장 통제력을 감안할 때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 헝다그룹 차입금(금융부채) 규모(5,718억위안, 2021.6월)는 금융기관 전체 대출(193.9조위안, 8월)의 약 0.3%로 감내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최근 뉴스를 종합하면 중국정부는 헝다(에버그란데)그룹을 단계적으로 해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2) 월스트리트저널(2021.11.10.)에 따르면 중국정부는 헝다그룹의 자산 일부를 중국 기업에 매각해 내부 붕괴를 통제하고, 부동산 시장의 동요를 막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 해체 작업은 중앙 정부의 지휘 아래 전국 200여개 지자체가 참여해 헝다그룹이 중국 전역에서 벌여 놓은 프로젝트를 현지 기업이나 공기관에 매각하고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헝다는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총 1조9700억 위안 규모의 부채를 안고 있다. 부채가 총 보유 자산(2조3800억위안)에 육박한다. 최근 자산 매각 등을 통해 자금 마련에 나섰지만, 여전히 도산 위기를 넘어서기엔 역부족이다. 헝다그룹 위기로 수면에 드러난 중국 부동산 리스크는 2022년에도 중국정부가 직면해야 될 주요 문제 중 하나이다. 
 
2) 쌍탄(双碳) 정책과 전력난

최근 중국은 전력난으로 동남부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생산시설 가동 등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이번 전력난은 중국의 최대 석탄 수입국인 호주와의 외교 갈등으로 인한 석탄부족 현상과 206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국정부의 친환경 정책 추진이 원인이다. 중국 전력난은 겨울철 난방수요 증가와 친환경 정책기조 유지 등으로 단기간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으로, 장기화시 글로벌 공급망 및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이 불가피해 보인다. 중국경제의 핵심축인 광둥성, 저장성, 장쑤성 등을 중심으로 전력공급 제한조치가 발효 중이다. 이들 지역은 2020년 기준 중국 GDP의 27.4%를 차지하는 수출기지로 전력난이 지속되면 거시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이번 전력난은 호주와의 외교 갈등으로 인한 석탄 교역 중단과 중국내 석탄 부족에 따른 화력 발전량 저하가 표면적 원인이다. 중국은 연간 석탄 수입량이 세계 최대(2020년 3억407만톤)로 전력생산의 2/3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로 석탄 발전이 감소 추세여서, 2011년 77.8%에서 2021년 67.6%로 10년간 10%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반면, 세계경기 복원 과정에서의 수출 등 경제활동 증가로 2021년 8월까지의 연간 누적 전력소비량이 전년비 14.7% 증가한 것도 전력난 가중요인이다.3)

앞서 호주가 COVID-19 조사를 촉구하자 중국은 호주산 물품에 대한 수입중단 조치를 단행하였고, 이에 중국 석탄수입량의 1/4을 차지하는 호주산 석탄 수입(2019년 7696만톤)이 중단되면서 전력 파동이 시작되었다. 호주산 석탄수입은 2020년 4분기부터 급감해 2020년 12월 이후 전무한 상태이다. 게다가 2021년 9월 미국 주도의 안보파트너십인 AUKUS(미·영·호주)에 호주가 가입하고 핵잠수함 개발을 지원하기로 함으로써 양국간 냉각 기류는 내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다만 최근 보도(홍콩명보·연합조보)를 보면 중국이 금년 10월에 호주산 석탄 279만 톤(이중 70% 이상은 발전용) 수입을 재개한 것으로 알려졌다.4)

탄소중립 추진과정에서 지방정부 조치도 영향을 주고 있다. 중국정부는 쌍탄정책 즉, 2030년 탄소배출 피크와 206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각 성별로 에너지단위당 소비와 소비총량 목표치를 배정했다. 중국정부는 지난 8월 각 성별 중간점검 결과를 발표하면서, 20개 지역이 목표 미달임을 환기하고, 광둥성, 장쑤성, 푸졘성 등에 경고를 보냈다. 이에 각 지방정부가 3분기 이후 평가등급 개선을 위해 제조업 공장가동 조절 및 송전 제한 등의 대처에 나섬에 따라 중국 전력수급에 영향을 준 것이다.  

문제는 전력난에 따른 효과가 중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미친다는 점이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과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 최종수요를 위해 해외 중간재를 수입하여 생산된 생산물 중 중국에서 조립·가공되는 비중은 11%(2018년)에 달한다. 또한, 아시아 최종수요를 위해 중국에서 조립·가공되는 비중은 34.2%에 달해 중국의 전력난은 우리 기업들의 공급망에 심각한 영항을 끼칠 것이 우려된다.5)
  
3) 그림자금융과 지방정부 채무

중국금융안정위원회에서는 ‘그림자금융(Shadow Banking System)이란 은행시스템 외부의 실체 또는 행위가 관여된 자금중개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림자금융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면, ① 신용중개활동이 은행감독시스템 외부에 존재, ② 복잡한 거래구조와 높은 레버리지, ③ 제한적 정보공개, ④ 리스크 측정 곤란, ⑤ 높은 집중환매압력(리스크 노출시 군중심리 작동)을 꼽을 수 있다. 

중국의 특성은 이에 더해 ① 은행 중심, ② 원금 보장형 위주, ③ 규제회피를 꼽을 수 있다. 이는 은행 자산이 전체 금융 자산의 90%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금융환경을 반영한다. 따라서 그림자금융의 자산·부채(자금원, 고객)도 은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투자가 제한(부동산개발, 오염유발기업 등)되거나 신용 위험이 높은 고객에 대한 대출이 주를 이룬다. 또한 고위험 상품을 팔기 위해, 리스크 발생시 재매입을 약정하거나 원금을 보장한다. 아울러 감독규정의 회색지대를 활용하거나 인가 받지 않은 금융업 분야에 대한 변칙 영업(대출을 투자자산으로 둔갑)을 시도한다.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중국은 태생적으로 그림자금융이 탄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2000년부터 은행 시스템 외부에 신용중개활동이 등장했다. 그림자금융이 급증한 시기는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후이다. 내수진작을 위한 대규모 통화공급으로 유동성이 증가하였고 금융회사의 대출관련 규제가 완화되었다. 이후 택지조성, 인프라 건설비용 증가로 지방정부 융자플랫폼을 중심으로 그림자금융 부채가 증가하게 된다. 이들은 지방정부 산하 도시건설투자공사, 개발공사, 자산경영공사 등으로, 부동산‧인프라 개발을 위한 자금조달 통로로 활용되었다. 최근에는 인터넷금융상품, P2P 등 인터넷대출이 그림자금융의 새로운 유형으로 등장했다. 

이에 중국정부는 2017년초부터 그림자금융 감독 미비점을 보완하고 미인가, 불법금융활동에 대한 본격적 단속을 시작했다. 이후 그림자금융은 증가세를 멈추었다. 2019년말 기준 중국내 광의의 그림자금융은 84.8조위안으로, GDP의 86%, 은행업 총자산의 29% 이다. 협의의 그림자금융은 39.14조위안으로 전체 그림자금융의 46.2% 수준이다.6)

중국정부는 그림자금융을 금융 리스크의 주범으로 인식하고 규제를 지속 강화하고 있다. COVID-19에 따른 기업 자금 경색, 저신용기업의 자금난에도 불구하고 중국정부는 규제를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다. 이는 그림자금융이 정부정책에 반하는 분야(부동산개발, 에너지 과소비, 오염유발 등)의 자금 통로로 이용되고 있다는 인식에 기반한다.7)
 
3. 2022년 경제 성장 전망

금년에 불거진 여러 리스크에 대응한 중국정부의 안정적 경제운영이 예상되며 이에 따라 2022년 중국경제는 전년도보다 성장세가 축소된 5.5% 이내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들 리스크 중에는 미중 간 갈등에 따른 정치경제적 리스크도 포함된다. 한편, 절상증권에 따르면 중국정부는 2022년 성장 목표치를 5.5%로 설정할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정부는 적극적인 경기 대응에 나설 전망이며, 이미 중국정부가 14·5 규획에서 목표로 제시한 2035년까지의 성장률 달성을 위하여 연평균 4.73% 이상 성장(14·5규획 ‘건의’에 따른 추산)을 도모할 것으로 판단된다.8)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2.4-2.20) 전까지 중국정부는 제로감염자(病毒清零) 정책을 펼칠 전망인 바, 이에 따른 생산 차질 및 소비심리 위축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월 1일 춘절을 전후한 춘절 효과(설날을 전후하여 약 2주간 생산시설 휴무)까지 고려할 경우, 2022년 1분기 경제성장은 4% 이하로 축소될 전망이다. 

헝다 사태에서 보듯이 2022년 한해 부동산 투자는 위축 될 수 밖에 없어서 매년 고정자산투자를 견인했던 주택 및 상업용 건물에 대한 투자는 축소될 전망이다. 반면, 14차 5개년 경제개발 계획의 2차 연도에 따른 디지털 경제 관련 산업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UBS China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왕타오(汪涛)는 2022년 중국경제가 5.4%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CPI는 2% 수준에 머무를 전망이다. 또한 2022년 수출증가율은 10%로 하락할 전망이며, 부동산 판매액과 착공액은 10%, 부동산 투자액도 5% 이내로 축소될 전망이다.9) 다만 중국정부가 ‘공동부유(共同富裕)’를 향후 경제 아젠다로 제시한 바, 주민소득증대를 위한 각종 정책이 소비를 뒷받침 할 것으로 예측했다. 왕타오는 중국정부가 에너지 중 비화석연료 소비 비중을 2020년 16%에서 2025년 20%로 책정한 바, 이에 따른 수력, 풍력, 공업설비 개조 등 관련 기초 인프라 분야에 100조 위안 이상의 투자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 한 해 중국경제는 ‘쌍탄(雙碳) 정책’의 영향을 받을 예정이다. 중국은 2030년까지는 이산화탄소 배출 최고치를 달성하고,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에 중국은 14·5규획 기간 내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탄소를 배출하는 산업구조를 개선하려는 계획을 실행 중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금년도 전력난의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이 쌍탄(이중 탄소) 정책 때문이다. 


호주와 외교적 갈등 때문에 석탄 수입도 줄어들었지만, 서서히 석탄 사용을 줄이겠다는 계획도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2021년 7월 15일 국가통계국의 류아이화 국장은 ‘쌍탄 정책’ 목표가 석탄 공급에 불안을 야기하거나, 전력난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탄소중립이 필연적 요구라고 답했다.10) 그는 탄소중립을 통해 실현될 녹색성장으로 새로운 수요가 만들어지고, 새로운 산업이 생겨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지적은 중국 에너지 문제는 2022년 한 해에도 지속될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이와 관련하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산업구조 전환에 따라 제조업 특히 공업분야 투자는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즉 에너지 절감형 산업설비에 대한 투자가 정부 주도로 확대될 전망이다. 

COVID-19 사태에 따른 물류난 및 공장가동 축소로 인해 금년까지 나타났던 선진국의 소비재 수요와 개발도상국의 소비재 공급 간의 불균형은 2022년 들어서 점차 해소될 전망이다. 따라서 중국 외 국가에서 더 많은 소비재가 생산되어 선진국으로 유입될 것이며, 이로 인해 중국의 2022년도 수출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내수(소비)는 주민소득 증가로 플러스 요인이 있으나 COVID-19 방역에 따른 제약 요인 역시 상존하여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기는 힘들 전망이다. 이에 절상증권은 2022년 소매판매액 증가율을 6.9%로 예측했는데, 이는 2021년 1~10월 소매판매액 증가율이 14.9% 임을 고려할 때, 절반 가까이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2022년 한 해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7.8%로 전망되었으며 이중 제조업, 기초 인프라, 부동산은 각각 11.1%, 4%, 5.4%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절상증권은 전망했다.11)

4. 시사점

첫째, 헝다 사태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 문제는 ‘공급-수요-금융’ 3자의 정상 궤도 진입을 최종 목표로 한 거시경제정책 조정(적정 공급량을 뒷받침할 완화적 통화정책, 실수요에 근거한 부동산 대출제한 등)이 시작될 전망이다. 이런 맥락에서 2022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및 2022년 시진핑 주석의 연임여부 결정을 앞두고 안정 성장을 강조하는 중국정부가 부동산정책 기조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위기에 직면할 부동산 기업들의 단계적 구조조정을 유도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른 일시적 부동산 투자 둔화로 인해 전방 산업(가전제품, 가구, 상업서비스, 금융)과 후방산업(철강, 비철금속, 건설기계, 도료, 유틸리티)에 대한 영향이 예상되는 바, 중국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둘째, 최근 중국을 둘러싼 거시경제 환경을 분석해 보면, 2022년 중국경제는 수출, 투자, 소비 중 어느 한 부문에 집중적으로 자원을 투입하기 어려운 상황인 바, 14·5규획 기간(2021~2025) 중국의 경제성장 연평균 목표치(5% 이내) 기조 하에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셋째, 수출을 소비로 대체하는 중국 경제성장 프레임에 대비해야 한다. 중국의 GDP 대비 수출 비중은 2006년을 정점으로 하락하는 추세이다. 동 비중은 2006년 36.2%에서 2019년에는 18.4%까지 하락했다. 쌍순환기 중국의 경제정책은 내수 중에서 투자보다는 소비확대, 그리고 소비 중에서는 서비스업 확대에 주력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의료, 관광, 교육, 회계, 법률, 금융 등 사업서비스 육성에 주력할 것이다. 해외에서 이루어지는 상품구매를 중국 내에서 소화함으로써 일정 수준의 소비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 최근 하이난 섬을 면세지역으로 지정하고, 면세한도도 10만 위안으로 상향 조정한 것이 그 예이다. 

넷째, 디지털 경제 및 쌍탄 정책과 관련된 분야에서 사업 기회를 포착해야 할 것이다. 14·5규획 기간 중국정부는 산업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산업화에 투자를 증대시키겠다고 수차례 확인한 바 있다. 또한 본고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내년도 부동산 분야 투자를 축소된 반면, 쌍탄 정책 수행을 위한 공업분야 개조사업은 대대적으로 투자가 전개될 것이기 때문이다.   

- 마침 -


-----
1) 国家统计局 (2021.10.18.), 国家统计局 (2021.11.15).
2) Wall Street Journal (2021.11.10.), China's Plan to Manage Evergrande: Take It Apart, Slowly.
3) 이원호(2021), 중국 전력난의 배경과 향후 영향, Weekly KDB Report(2021.10.18.), KDB 미래전략연구소. 
4) YTN(2021.11.24.), 전력 부족 중국, 호주산 석탄 수입 재개. https://www.ytn.co.kr/_ln/0104_202111241119577070
5) 강내영 외(2020.8),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우리의 대응-중국을 둘러싼 공급망 분석을 중심으로, Trade Focus (2020-28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6) 중국 금융당국은 은행시스템 외부의 자금중개활동 전체를 ‘광의의 그림자금융’으로, 이중 시스템 리스크 유발 가능성이 높거나 적극적 신용중개 관련 활동을 ‘협의의 그림자금융’으로 구분한다. 
7) 금융감독원 북경사무소(2020.12.25.), 「중국 그림자금융 현황과 전망」. 
8) 시진핑 주석은 “2025년까지 고소득 국가에 이르고, 2035년까지 중국 GDP 또는 1인당 주민소득이 2배 성장할 것(新华网.2020.11.3.)”이라고 언급했는데, 이를 근거로 추산하면 15년 동안(2021~2035년) 연평균 4.73% 이상의 성장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세계은행(2019)에 의하면 고소득 국가는 1인당 GNI가 1만 2,536달러 이상이다. 2019년 중국의 1인당 GDP가 10,276달러(70,892위안, $1=6.8985)를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2035년까지 1인당 GDP 2만 달러를 넘어서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COVID-19로 인해 저성장을 기록한 2020년 GDP를 기점으로 삼지 않을 경우, 실제 중국정부의 목표치는 연평균 4.73%보다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김동하. 2021.1.11.).
9) 汪涛(2021.11.10), 2022-23年中国经济展望:房地产下行和防疫之中稳增长. 首席经济学家论坛.
10) 中新经纬(2021.7.15.) 国家统计局谈“双碳”经济效应:绿色转型创造巨大市场需求. 
11) 浙商证券(2021.11.8.), 2022年宏观经济分析与大类资产展望:先立后破,产业突围, 未来智库. 


참고문헌

강내영 외(2020.8),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우리의 대응-중국을 둘러싼 공급망 분석을 중심으로,「Trade Focus (2020-28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국제금융센터(2021.11.2.), 주요 투자은행의 세계경제 및 주요국 성장률 전망 (2021.10월말 기준).
금융감독원 북경사무소(2020.12.25.), 「중국 그림자금융 현황과 전망」. 
김동하(2021.1.11.), 중국 14차 5개년 규획 내 경제분야 특징과 시사점, INChinaBrief Vol.391, 인천연구원.
이원호(2021.10.18.), 중국 전력난의 배경과 향후 영향,「Weekly KDB Report」, KDB 미래전략연구소. 
한국은행 북경사무소(2021.10.22.),「China Weekly」. 
한국은행 북경사무소(2021.10.29.),「China Weekly」.  
KIEP(2021.11.11.), 2022년 세계 경제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Vol. 21 No. 18. 
国家统计局(2021.10.18.), 前三季度国民经济总体保持恢复态势. http://www.stats.gov.cn/tjsj/zxfb/202110/t20211018_1822960.html
国家统计局(2021.10.18.), 国家统计局新闻发言人就2021年前三季度国民经济运行情况答记者问. 
http://www.stats.gov.cn/tjsj/sjjd/202110/t20211018_1823003.html
国家统计局(2021.11.15.), 10月份经济运行总体平稳持续恢复. 
http://www.stats.gov.cn/tjsj/zxfb/202111/t20211115_1824482.html
招商证券(2021.11.4.), 2022年宏观经济展望:潮落、人聚, 未来智库. 
https://www.vzkoo.com/read/833cf44702d831f032a5ab64101b3200.html 
浙商证券(2021.11.8.), 2022年宏观经济分析与大类资产展望:先立后破,产业突围, 未来智库. 
https://www.sohu.com/a/500553802_407401 
中信证券(2021.11.10.), 2022年宏观经济展望:领先一步, 未来智库. 
https://www.vzkoo.com/read/fb9e70de8a76f5091f2d4e0778903955.html 
华安证券(2021.11.2.), 2022年宏观经济展望:转型、回归与再平衡, 未来智库. 
https://baijiahao.baidu.com/s?id=1715299582283665182&wfr=spider&for=pc  
汪涛(2020.11.25.), 2021-2022年中国宏观经济展望, 财新网. https://opinion.caixin.com/2020-11-25/101632136.html
汪涛(2021.11.10), 2022-23年中国经济展望:房地产下行和防疫之中稳增长. 首席经济学家论坛. 
https://www.sohu.com/a/500352998_465450
中新经纬(2021.7.15.) 国家统计局谈“双碳”经济效应:绿色转型创造巨大市场需求. 
https://baijiahao.baidu.com/s?id=1705324015013711187&wfr=spider&for=pc
Wall Street Journal (2021.11.10.), China's Plan to Manage Evergrande: Take It Apart, Slowly.
YTN(2021.11.24.), 전력 부족 중국, 호주산 석탄 수입 재개. https://www.ytn.co.kr/_ln/0104_202111241119577070
国家统计局 国家数据 (https://data.stats.gov.cn)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