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세미나] 중국 희토류 기업간 통합 승인 및 전망

오종혁 소속/직책 :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중국지역전략팀 전문연구원 2022-01-18

☐ 2021년 12월 23일 국무원은 중국 알루미늄그룹1), 우쾅(五矿)그룹2), 간저우(赣州) 희토그룹3)과 중국 강옌커지4), 요옌커지5) 등 5개 기업을 통합한 중국 희토그룹(中国稀土集团) 설립을 승인6) 
- 중국 희토그룹은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가 대주주(지분율 31.21%)로 참여하며, 중국 알루미늄그룹, 우쾅그룹, 간저우희토그룹이 각각 20.33%, 중국 강옌커지, 요옌커지가 각각 3.9%의 지분을 소유
ㅇ 통합된 5개 기업의 생산능력은 2021년 기준 중희토류 1만 2,950톤, 경희토류 4만 8,500톤이며, 중국내 생산량의 각각 68%, 32.6%에 해당7)


☐ 중국은 첨단산업에서 필수적인 희토류의 산업 주도권을 갖고자 기업간 인수합병을 지속 추진해왔음.
- 희토류는 전기차 모터 외에도 풍력 및 태양광 발전 등에 사용되는 영구자석 제작에 필수적으로 사용
- 중국은 2020년 전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58%를 차지8)하고 있으나 그동안 낮은 산업집중도로 인하여 가격주도권을 갖지 못하였음.9) 
ㅇ 2020년 기준, 중국 외 미국(15.8%), 미얀마(12.5%), 호주(7.1%). 마다가스카르(3.3%) 등에서도 희토류를 생산10) 
- 금번 통합으로 중국 희토류 산업은 네이멍구 지역의 북방희토그룹과 남부지역의 중국 희토그룹 중심으로 재편됨.11)

☐ 탄소중립 등의 영향으로 향후 그린산업에서 희토류 사용 증가가 예상되며, 중국정부가 환경오염 및 자국수요를 이유로 생산 및 수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 중국 첸잔(前瞻)연구원에 따르면 2026년 중국 희토류 생산량은 17만 톤으로 예상되며, 전기차 및 영구자석 등의 사용 수요증가로 중국 내 수요도 15만 5,000톤에 달할 전망12)
ㅇ 2021년 12월 22일 기준, 희토류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3.2% 상승13)


- 자국수요 대응 및 중국정부의 희토류 산업 관리 감독이 강화로 수출량 감소가 예상되며, 향후 무역분쟁시에 이를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도 존재

ㅇ 중국정부는 2021년 1월, 희토류 산업 관리 강화 목적으로 희토류 관리조례 초안을 발표하였으며, 2021년 3월에도 희토류 등 국가 전략성 자원, 광종에 대한 감독관리 강화 추진14)
ㅇ 중국 학자들은 중국이 미국을 포함한 그 동맹국에 대항하여 지정학적 영향력 발휘하기 위해 희토류 등 핵심 광물 공급 확보 위한 협의체 조성 필요성을 제기15) 
- 한국도 희토류 소재 부품의 대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으로 수입처 다변화와 탈희토류 기술 개발이 필요 


--
1) 국유자산관리위원회 산하 기업(지분 100%), 주사업영역은 희소금속 및 비철금속의 제련, 가공 등  
2) 국유자산관리위원회 산하 기업, 희토류 산화물, 희토류 금속, 희토류 가공 무역, 중국 최대 이온흡착형 희토류 분리 가공기업
3) 장시성(江西省) 간저우시 인민정부 출자 기업
4) 中国钢研科技集团有限公司(China Iron & Steel Research Institute Group), 국유자산관리위원회 산하 기관, 금속제련 분야 종합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 기관
5) 有研科技集团有限公司(General Research Institute for Nonferrous Metals), 국유자산관리위원회 산하 중앙기업, 비철금속 분야 종합 연구개발 및 기술산업 육성 기관
6) 「又一新央企来了 中国稀土集团正式成立」(2021.12.23.), 『人民网』.
7) 희토류는 란탄(Lanthanum)계열의 17개 원소를 의미하며,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경(light)희토류와 중(heavy)희토류로 구분됨. 경희토류는 중국 외 지역에도 매장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나 중희토류는 광상 대부분이 중국 남부지역에 존재함, 「有色行业周报:稀土整合获批 重视估值体系重构的历史性机遇」(2021.12.27),『新浪财经』.
8) USGS(https://www.usgs.gov), ‘Rare Earths Statistics and Information(2021)’.
9) 희토류는 채굴 후 분리제련 과정에서 방사능 물질 등이 발생하여 1990년 대 들어 점차 중국 외 국가에서 생산을 하지 않았으며, 중국은 꾸준히 생산을 확대해 2010년에는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97%를 차지하기도 하였음. 하지만 2010년 중국이 일본과 센카쿠열도(중국식 조어도) 분쟁으로 인해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고 자원 무기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일부 국가에서 생산을 재개하였음. 
10) USGS(https://www.usgs.gov), ‘Rare Earths Statistics and Information(2021)’.
11) 북방희토그룹은 중국내 경희토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함. 「中国稀土集团正式成立」(2021.12.23),  界面新闻』.
12) 「2022年中国稀土行业市场现状与发展趋势分析 向精细化、高纯化方向发展【组图】」(2021.12.13), 『新浪财经』.
13) 「中国稀土集团正式成立」(2021.12.23),  界面新闻』.
14) 「自然资源部:强化对稀土等国家战略性资源重要矿种的监管(全文)」(2021.3.26.) https://finance.sina.com.cn/china/gncj/2021-03-26/doc-ikknscsk1711093.shtml
15) 「중국학자들 "희토류 등 핵심 광물 공급망 강화해야"」(2022.1.2), 『연합뉴스』.
게시글 이동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