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주요 이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견해 및 제언이 담긴 칼럼을 제공합니다.

2023년 중국경제 어디로 가나?

전병서 소속/직책 :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 2023-02-17

중국 위기론의 배신?

2018년 미‧중 무역전쟁과 2020년 중국 내 코로나 발병을 계기로 전 세계의 반중 정서는 최악이다. 전 세계가 바라보는 중국은 경제위기, 금융위기, 부동산 위기, 정치 위기로 매우 위험한 나라다. 그래서 중국경제는 피크쳤고 중국에서 돈을 빼는 '(脫)중국'을 빨리 해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2023년 11월 이후 IMF, WB, OECD, CB 등 전 세계 주요 기관의 2023년 중국경제 전망을 보면 전 세계에서 인도 다음으로 고성장하는 나라가 중국이다. 그리고 2023년 GDP가 2022년보다 높은 나라가 중국이다. 위기의 나라 중국이 경제성장에서 배신했다.

서방의 중국 위기론에 결정적인 배신을 한 것은 돈이다. 2022년에도 위기의 나라 중국의 FDI는 사상 최대였고, 중국 증시에 외국인자금도 순 유입이었다. 특히 2023년 들어 1월 한 달간 중국 증시로 유입된 외국인 자금은 1,413억 위안으로 2022년 연간 유입액 900억 위안을 훌쩍 넘어섰다. 1월 한 달간 일평균 88억 위안이 중국 증시로 쏟아져 들어갔다.

미‧중 무역전쟁이 진행 중이지만 2022년 중국 대중 무역흑자와 전체무역흑자는 줄어들기는커녕 각각 4,041억 달러, 8,766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갱신했다. 주목할 것은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 비중이다. 미‧중 무역전쟁이 시작된 2018년 대미 무역흑자 비중은 92%였지만 2022년에는 46%로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미국 이외 지역으로부터 흑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대미 무역 거래 비중도 13.7%에서 12%로 낮아졌다. 

 중국의 미국채 보유량을 보면 2022년에 역대 최저수준으로 줄었다. 2018년에 1.2조 달러에서 2022년 8,700억 달러로 3,700억 달러가 줄었다. 데이터로 체크해 보면 '탈(脫)중국'을 미국이 한 게 아니고, '탈(脫)미국'을 중국이 하고 있다.



2023년 세계 경기의 봄날은 중국에서부터 온다

2022년 12월 코로나 방역 규제 해제로 올해 중국경제에 대한 기대가 높다. 잠재성장률이 5~5.5%로 추정되는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2022년 3%대로 내려앉았다. 중국에 생산시스템 붕괴나 금융시스템 붕괴 같은 체계적 위험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정치방역의 성격이 강한 코로나 확산 방지 목적의 정부의 이동 제한이 부동산을 필두로 내구소비재와 일상소비재 그리고 생활서비스 소비를 올스톱시켰기 때문이다.

2023년 전 세계가 경기하강 사이클에 진입하기 때문에 모두가 불안과 공포를 느끼고 있다. 하지만 경기는 선입선출이다. 먼저 경기가 하강한 쪽이 먼저 회복할 가능성이 높다. 2020년 이후 세계경기는 코로나가 만든 경기다. 코로나를 먼저 안정화한 나라의 경기가 먼저 회복했고 늦게 안정화한 나라는 늦게 회복했다.

2023년 세계 경제의 봄바람은 중국에서부터 불어올 가능성이 높다. 이번 경기사이클에서는 중국 경기가 가장 먼저 피크아웃하였고, 경기하강도 가장 빨랐던 반면, 미국은 코로나 방역이 늦어 경기회복도 가장 늦었고 경기하강도 가장 늦었다. 중국은 2022년 경기저점 통과 후 올해 경기회복 국면에 진입하고 있지만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은 경기하강 중이다.


2023년, 하반기 성장률이 높아지는 W자형 경기회복 패턴 예상

서방은 중국이 10% 성장은 반드시 지킨다고 했다가 8%, 6%, 5.5%로 성장률 목표를 계속 낮춘 것을 두고 중국 정부의 정책 실패 혹은 능력의 한계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판단이다. 중국의 성장률 목표 하향은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로 GDP 1%당 고용유발계수가 높아졌기 때문이고, 중국경제의 규모 확대에 따른 성장률의 감속 때문이다. 중국의 2023년 GDP는 2003년 GDP의 12배, 2013년 GDP의 2배다. 2023년의 GDP 1%는 2003년의 12%와 맞먹는 규모다. 2023년 중국 GDP의 5%는 한국 전체 GDP의 51%에 달하는 규모다.


중국은 국유기업이 GDP의 63%를 차지하는 공유경제다. 그래서 중국경제, 그리고 중국 GDP는 서방세계의 GDP와는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 공유경제에서 기업의 목적은 이익 극대화가 아니다. 사회주의 공유경제에서는 고용이 가장 중요하다. 중국경제의 중추를 차지하는 국유경제가 주도하는 중국 GDP는 고용지표라고 보는 것이 좋다. 중국이 GDP 성장 목표치를 낮추는 것은 GDP 1%당 고용유발계수가 계속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금 중국 정부는 코로나보다 청년실업을 더 무서워한다. 어느 나라든 마찬가지지만 대졸 먹물 실업자의 수가 늘어나면 사회의 불만과 불안정이 커진다. 중국은 연간 1,100만 명의 신규고용을 유지하는 데 최근 3년간의 코로나 방역으로 3년간 미취업자 수가 971만 명을 넘어섰고, 2023년에는 1,158만 명의 대졸자가 사회로 나오기 때문에 2023년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2,129만 명의 잠재 구직자가 시장에 등장한다.


GDP의 고용유발계수를 감안하면 2023년 중국은 적어도 5~5.5% 이상의 성장을 하지 않으면 문제가 된다. 중국의 경제성장 목표는 3월에 개최되는 전인대에서 국무원 총리의 신년 정부 업무보고에서 발표된다. 그러나 31개 성‧시 지방정부의 전인대는 1월에 모두 마무리되는데 이들 지방정부의 GDP 성장 목표를 보면 중앙정부의 GDP 목표를 추정할 수 있다.

역대 지방정부의 GDP 목표와 중앙정부 목표를 비교해 보면 대략 지방정부 목표 대비 중앙정부 GDP 목표는 1.1배 수준이었다. 2023년 지방정부 GDP 목표 평균치는 5.95%인데 이를 2022년 성별 GDP 가중치로 환산하면 5.63%이다. 과거의 1.1배 조정치를 적용하면 중국 정부의 2023년 GDP 목표치는 5.0% 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2023년 성장은 내수 중심 성장이다. 세계경기가 불황으로 접어들기 때문에 올해 중국 수출에 큰 기대를 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미 중국의 GDP에서 소비의 성장기여도는 65%에 달한다. 부동산과 플랫폼 소비가 내수경기 부양의 핵심 축이다. 중국은 2022년 하반기부터 그간 3년간 묶었던 부동산규제를 풀기 시작했고, 플랫폼 기업에 대한 제재도 더 이상 지속하지 않기로 했다 부동산을 건드리면 시멘트와 철강, 건자재 산업이 움직이고, 건물의 완성단계에 이르면 가구, 가전, 자동차산업이 움직인다. 코로나 3년간 중국인의 모든 일상이 인터넷과 모바일로 이루어져 플랫폼 기업의 활성화가 내수경기 회복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3개월 정도 단기 경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중국의 2023년 1월 PMI가 제조업, 서비스업 모두 임계치인 50 이상으로 반등했다. 중국의 코로나 방역 해제로 1월~2월 전 국민의 80~90%가 감염 후 회복하는 집단면역이 형성되고 3월부터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2023년 중국경제는 하반기의 성장률이 높아지는 W자형 경기회복 패턴을 보일 전망이다.



코로나로 잃어버린 3년, 중국의 대변신 제대로 봐야

사드 사태 이후 7년, 미‧중 무역전쟁 5년, 코로나 전쟁 3년을 치른 중국에 대한 우리는 여전히 한류 타령하고 중국의 보복에 분노하고 '중국은 위기'라는 서방의 레토릭에 맞장구만 치고 있다. '보는 것이 믿는 것(seeing is believing)'인데 특히 최근 3년간 중국을 가보지 못한 한국에 중국의 부정적인 측면만 크게 부각되어 있어 중국의 변화를 알지 못하고 이를 읽으려는 노력도 약하다.

아이러니지만 코로나 3년간 중국은 코로나 방역과 통제 그리고 생활물자 공급 과정에서 전 세계 인구의 1/5인 14억 인구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의 ABCDR(AI, Big Data, Cloud, Dron, Robot) 관련 실전 테스트를 진행했고 그 과정에서 전 세계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거대한 빅데이터와 IP를 구축했다. 

중국은 엄청난 경제충격과 비난을 감수하면서 코로나 기간 중 인구 1,000만 명 이상 도시 7개를 봉쇄했다. 하지만 유사시를 대비한 인구 이동 통제와 생활 물자 배송, 주민 관리와 사회관리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을 완벽하게 예행 연습했고, 그 과정에서 엄청난 데이터와 IP를 확보했다.

중국은 2018년부터 세계 최고의 나라와 무역전쟁을 했지만, 중국의 대미 무역 거래와 무역 흑자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국은 지금 세계 최대 자동차 소비국이 되었다. 2022년 미국의 자동차 구매량은 1,429만 대, 중국은 거의 2배에 가까운 2,685만 대였다. 작년 중국은 전년 동기 대비 54.4% 증가한 311만 대를 수출하며 독일(261만 대)을 제치고 자동차 수출량 2위에 올랐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발돋움한 중국에서 중국계 자동차업체의 시장점유율은 2020년 36%에서 2022년 47%로 2년 동안 11%포인트 상승했다. 독일계 브랜드 점유율은 26%에서 21%로, 일본계 점유율은 24%에서 20%로 하락했다. 주목할 사실은 2013년 10%를 넘었던 한국의 점유율이 2020년에 3.8%로, 2022년에는 1.7%로 추락했다는 것이다. 한편, 중국은 2022년 전 세계 1,030만 대 전기차 시장에서 689만 대를 구매해 68%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중국 전기차업체 BYD는 순수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에 이은 세계 2위로 부상했고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포함하면 세계 1위가 되었다. 

또한 중국은 지금 세계 1위의 스마트폰 가입자 수를 가진 세계 최대 스마트폰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다. 한국은 애플이 중국에서 공장을 빼느니 마느니 하는 데에만 관심이 있지만 애플은 여전히 중국 시장에서 14%대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고 한국업체의 중국 시장점유율은 0%대로 추락해 이젠 흔적을 찾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미‧중이 반도체 전쟁을 하고 있지만 2022년 중국은 전 세계 반도체의 31%를 소비하는 세계 최대 반도체 소비시장이다. 2023년 1월 미국 정부 주도로 미국과 일본, 네덜란드가 반도체 장비의 대중국수출 규제에 합의했지만 해당 국가 기업들은 속앓이하고 있다. 중국이 세계 3위 반도체 장비 구매 국가로 부상한 탓에 중국 시장을 포기한다면 매출의 30% 정도가 줄어들고 장비시장 전체로 심각한 공급과잉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복수는 힘 있는 사람이 하는 것이다.

한중은 애증(愛憎)의 관계이다. 6.25전쟁 때 중국은 한국을 공격했으나 70여 년 지난 지금은 한국의 최대 교역대상국이 되었다. '안미경중(安美經中)'은 끝났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오지만, 정치적 레토릭과 경제적 실리는 철저히 구분해야 한다. 

한국의 우방은 언제나 미국이다. 한국은 옛날에도 앞으로도 중국과 안보를 같이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의 총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4%나 되기에 향후 5~10년 안에 중국을 대체할 시장을 찾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감정과 돈벌이는 별개다. 

2023년 들어 한국은 대중 무역적자 때문에 고민이다. 돈 잃고 마음 좋은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돈을 잃은 이유가 상대의 핍박과 보복 때문인지, 본인의 경쟁력 약화 때문인지, 상대에 대한 오판 때문인지를 봐야 한다. 여전히 미국의 5배, 한국의 3배의 속도로 성장을 하고 있는 중국을 두고 중국 경제 성장의 종말론, 중국 철수론과 관련해서는 냉정하고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복수는 억울한 사람이 아닌 힘 있는 사람이 하는 것이다. 미‧중 간 경제, 기술 전쟁에서 미국이 중국의 발목을 잡아줬음에도 중국의 약점만 쳐다보고 욕만 하고 있는 것은 더 이상 아무 의미가 없다. 40여 년 전 미국과 일본에서 배운 기술을 중국에 팔았으나 중국 경제 성장으로 이제 그 약발이 다했다고 주저앉아 좌절하고만 있으면 진짜 망한다. 앞으로 중국에 없는 기술, 상품, 서비스를 만들지 못하면 한국 입장에서 중국의 고속 성장은 그저 ‘그림의 떡’이자 ‘배 아픈 사촌의 땅’일 뿐이다.

한국에 앉아서 유튜브와 언론으로만 중국을 배우면 위기론자가 되지만 중국에 직접 가서 보면 실리주의자가 된다. 극중(克中)하려면 지중(知中)이 먼저다. 80년대 우리가 극일(克日)하려고 일본과 일본어를 배운 것처럼 중국에 대해 억울하고 분한 것이 있다면 먼저 중국을 알아야 한다.

미‧중 기술 전쟁 과정에서 미국이 중국의 발목을 잡아준 절묘한 시기에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중국의 기세를 따돌리고 이참에 한국의 판을 크게 키우는 전략을 제대로 세워야 한다. 정확한 판단 없이 불쑥 내질렀다 뒷감당 못 해 쩔쩔매는 대중 정책, 중국과의 전쟁에서 한국의 최종병기가 될 반도체 같은 전략산업 육성정책을 재벌의 수익사업 정도로 인식해 정쟁의 도구로 몰아가는 우를 범하면 안 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