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 트렌드
Home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中 알리바바 AI 안경 ‘콰커’ 공개...길 찾고 결제하고 쇼핑까지
유은영 소속/직책 : EC21R&C 연구원 2025-08-01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중국 AI 안경 시장이 2025년 188.5%의 폭발적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중국 AI 안경 시장은 화웨이가 AI 음성 안경 부문에서 76.6% 점유율로 선두를 차지하고 있으며 로키드는 AI 촬영 안경 부문을 독점하고 있음.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알리바바가 최근 ‘퉁이톈원’ 대형 모델을 기반으로 가오더맵, 알리페이, 타오바오 등 핵심 서비스를 통합한 '콰커 AI 안경'을 공개함. 알리바바의 시장 진입은 중국 AI 안경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 중국 AI 안경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구조적 변화
- 중국 시장조사기관 런투(RUNTO)에 따르면, 중국 AI 안경 시장이 2025년 전년 대비 188.5%의 폭발적 성장률을 기록하며 31만 4,000대 판매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올해 1~2월 중국 온라인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AI 안경 판매량은 2만 3,000대를 기록하여 전년 동기 대비 80.4% 증가함. 이는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소비자들의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른 결과임.
- 중국 AI 안경 시장은 기술 복잡도와 기능에 따라 AI 음성 안경, AI 촬영 안경, AI+AR 안경의 3단계 구조로 분화되고 있음. AI 음성 안경이 전체 시장의 60%를 차지하며 주력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으나, AI 촬영 안경이 28.1%로 급성장하면서 시장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 AI+AR 안경은 12% 수준이지만 기술 성숙도에 따라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큰 분야로 평가됨.
- 가격대별 시장 세분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 AI 음성 안경은 1,000~1,500위안(약 19만~28만 원), AI 촬영 안경은 1,500~2,000위안(약 28만~38만 원), AI+AR 안경은 3,000위안(약 57만 원) 이상의 3단계 가격 구조를 형성함. 기술 비용 절감과 시장 경쟁 심화로 AI 음성 안경과 AI 촬영 안경의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 화웨이(Huawei), 샤오미(Xiaomi), 로키드(Rokid), 엑스리얼(XREAL) 수십 개 업체가 AI 안경 시장에 진입하면서 업계 전반에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음. 화웨이는 AI 음성 안경 분야에서 76.6%의 압도적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1,500~2,000위안 중고급 가격대를 장악하고 있음. 샤오미가 투자한 스타트업 슈퍼헥사(SUPERHEXA)에서 론칭한 AI 음성 안경 제환(界环)은 1,000위안 이하 보급형 시장을 성공적으로 공략하였음. 한편 로키드는 AI 촬영 안경 분야에서 90% 이상의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였음.
◦ 알리바바의 전방위 생태계 통합 전략과 기술적 차별화
- 알리바바(Alibaba)는 2025 세계인공지능대회(WAIC)에서 자체 개발한 첫 번째 AI 안경인 '콰커 AI 안경(夸克AI眼镜)'의 연구개발 과정을 공개하였음. 이는 알리바바의 ‘AI To C(소비자향 AI) 전략이 소프트웨어 생태계에서 다양한 형태의 하드웨어로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함. 알리바바는 올해 초 AI 애플리케이션 '퉁이(通义)'를 스마트정보사업군에 편입시키고 기존 티몰(Tmall) 사업팀과 콰커 제품팀을 융합 운영하여 AI 안경 등 신규 하드웨어 방향의 사업을 모색해왔음.
- 콰커 AI 안경의 핵심 경쟁력은 알리바바 생태계의 전면적 통합에 있음. 자체 개발한 ‘퉁이톈원(通义千问)’ 대형 모델을 기반으로 가오더맵(高德地图)의 내비게이션, 알리페이(Alipay)의 시각 인식 결제, 타오바오(Taobao)의 가격 비교 서비스, 페이주(飞猪)의 출장 스케줄 관리 등 알리바바의 핵심 서비스가 기본 탑재됨. 특히 가오더맵과 공동 개발한 안경 전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자전거나 도보 이동 시에도 정확한 시각적 길안내를 제공해 실용성이 높음.
- 알리바바 스마트정보사업군 단말 업무 책임자 쑹강(宋刚)은 멀티모달 AI 능력의 구현을 지원하기 위해 콰커 AI 안경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시스템적으로 재구성했다고 설명함. 퀄컴(Qualcomm) AR1 플래그십 칩과 저전력 보조 프로세서의 듀얼 칩 설계를 채택하여 AI 상호작용, 착용감, 디스플레이와 영상, 배터리 지속시간 등 핵심 영역에서 돌파구를 마련하였음. 콰커 AI 안경은 기존 제품들이 가진 착용 불편함, 짧은 배터리 지속시간, 약한 AI 상호작용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둠.
- 알리바바는 자체 생태계 융합 외에도 글로벌 선도 안경 브랜드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 유통 채널, 서비스 및 C2M(Customer to Manufacturer) 맞춤형 제조 능력을 통합하여 사용자 경험을 제고하고자 노력함. 콰커의 이미지 인식 질의응답 기능과 업무 지원 기능도 최적화되어 AI 안경이 음악 재생과 촬영 중심의 단순한 엔터테인먼트 기기를 넘어 종합적인 개인 비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음. 알리바바의 콰커 AI 안경은 제품 개발이 완료된 상태이며 연내 정식 출시될 예정임.
◦ 글로벌 AI 안경 경쟁과 알리바바의 시장 선점 전략
- 글로벌 AI 안경 시장에서 경쟁이 가열되고 있음. 메타(Meta)는 ‘레이-밴 메타(Ray-Ban Meta)’ 스마트 안경으로 수백만 개의 판매 실적을 올렸으며, 최근 스포츠 브랜드 오클리(Oakley)와 공동으로 신제품 ‘메타 오클리(Meta Oakley)’를 499달러(약 69만 원) 가격으로 출시하여 북미, 호주 및 일부 유럽 국가에서 판매를 시작함. 소셜미디어 기업 스냅(Snap)도 6월 초 내년에 ‘스펙스(Specs)’라는 스마트 안경을 출시한다고 발표함.
- 쑹강은 AI 안경이 차세대 인간-기계 상호작용의 '감각 중추'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인류의 또 다른 '눈'과 '귀'가 되어 개인 데이터량의 급격한 폭발을 촉발할 것이라고 설명함. 또한 모든 시나리오를 커버할 수 있는 선도적인 AI 능력이 바로 알리바바가 갖추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함.
-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2025년 전 세계 스마트 안경 판매량은 1,205만 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그 중 결제 기능이 탑재된 AR 안경의 침투율이 3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됨. 화웨이는 자사 AI 안경 ‘비전 글래스(Vision Glass)’를 위챗페이(WeChat Pay) 분할 정산 시스템을 접속시켜 오프라인 결제를 지원하며, 샤오미는 스마트 안경을 샤오미 지갑과 연동하여 결제 생태계 시나리오를 지속 확장하고 있음.
- 알리바바의 시장 진입은 중국 AI 안경 시장의 전반적인 성장을 가속화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스마트폰의 QR코드 결제 보급 경로를 참고할 때, 업계에서는 관련 소비 시나리오 시장 규모가 2025년 500억 위안(약 9조 6,430억 원)을 돌파하고 기기 활성화율이 65%까지 상승하여 2024년의 42%를 크게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관련 뉴스 브리핑]
[참고 자료]
이전글 | 中 저출산 쇼크: 출산율 1.0에 유치원 매일 50개 폐원 | 2025-08-01 |
---|---|---|
다음글 | 中 자동차 국유기업 재편 완료...전기차 경쟁력 강화 포석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