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주요 이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견해 및 제언이 담긴 칼럼을 제공합니다.

기술패권 시대의 숨은 주역, 중국의 중소기업: 성장사다리 정책과 전략적 시사점

장은정 소속/직책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책연구소 / 부연구위원,법학박사 2025-08-19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최근 중국의 중소기업에 대한 육성 체계가 본격화되면서 인공지능, 첨단 신소재, 6G, 신에너지, 바이오 등 중국의 전략산업 분야에 포진한 중국 강소 기업들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미·중 기술패권 경쟁 시대를 맞아 미국의 대중국 견제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중국의 산업 경쟁력을 이끌고 있다. 특히, 2024년 기준 전정특신 기업수는 14만 개 이상이며 동년 146개의 전정특신 중소기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1) 또한 중국은 제조업 생산력 세계 1위 국가이자 ICT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을 육성하고 있다. 따라서 기술패권 경쟁시대에 지속 성장을 이끌고 있는 숨은 주역들인 중국의 강소기업의 성장 사다리 정책을 살펴보고 본격적으로 성장사다리 정책을 구축하는 우리나라에 적절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1. 2025년 중국의 핫 키워드 : 가젤기업(瞪羚企业), 유니콘기업(独角兽企业)

2025년 양회 정부업무보고에서는 중국의 경제성장 목표와 중점과제의 이행을 위해 실버경제(銀髮經濟), 경전산업(經典産業), 가젤기업(瞪羚企业), 유니콘기업(独角兽企业), 인내자본(耐心资本) 등의 다양한 정책적 키워드가 등장하였다. 그 중에서 우리가 중점적으로 살펴봐야 할 것은 바로 가젤기업과 유니콘기업 등의 성장사다리 정책에 관한 내용이다. 중국 정부는 혁신형 기업을 단계적으로 육성하고, 전문적이고 특화된 중소기업의 발전과 성장을 촉진하며, 유니콘기업과 가젤기업의 발전을 지원하여 더 많은 기업이 새로운 분야에서 가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2) 

우리가 중국의 기업성장 정책에 주목해야 할 이유는 바로 우리나라가 소상공인 성장사다리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2년 8월 정부는 우리동네 소상공인을 성장하는 혁신기업가로 육성할 계획3)을 밝히고 기업가형 소상공인의 개념4) 정립 및 브랜드5) 론칭 등을 통해 소상공인이 더 이상 작은 규모의 영세사업자로 머물지 않고 혁신성과 성장 가능성이 있다면 큰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시켜 주는 성장사다리 정책을 추진하였다. 더우기 2024년 6월 3일 발표한 「기업 성장사다리 구축방안」은 “소상공인 창업부터 중소기업 → 중견기업 → 대기업”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성장 경로를 제도화하여 경제의 역동성 회복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 같은 성장사다리 정책은 소상공인의 자생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기반 조성은 물론,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현시점에 중국이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추진 중인 단계별 성장사다리 정책(가젤기업, 유니콘기업 ‘전정특신(專精特新)’ 기업제도)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혁신형 중소기업을 전정특신 기업으로 인증하고, 이들 중 일부를 ‘작은 거인(小巨人)’으로 지정하여 집중 육성한 뒤, 최종적으로는 제조업 단일 품목 챔피언 및 글로벌 경쟁기업으로 도약시키는 단계별 성장모델을 구체화하고 있다. 중국의 이러한 정책은 단순한 생계형 영세기업을 보호하는 수준을 넘어 소상공인을 포함한 중소기업을 고부가가치 기술 산업의 주체로 육성하고 산업생태계 내 협력 네트워크의 중심축 및 내수 활성화와 공급망 경쟁에도 활용하고 있다. 이는 한국이 추진 중인 ‘기업가형 소상공인’ 정책의 제도 설계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중국의 기업 성장사다리 체계

1) 정책적 분류

우리나라의 성장사다리 정책과 유사한 개념을 중국 사례에서 찾아보면 전정특신(專精特新) 중소기업을 예로 들 수 있다. 중국의 전정특신은 ‘전문화(專)’, ‘정밀화(精)’, ‘특징화(特)’, ‘혁신(新)’을 강조한다. 즉, 생산과 서비스에서 전문성과 정밀성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제품 또는 기술면에서 특색과 혁신성을 겸비하여 세분화된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한 중소기업을 의미한다.6) 우리나라의 강소기업과 현재 정책적으로 추진 중인 기업가형 소상공인 개념과 유사하다. 

중국의 소상공인·소기업 성장 사다리 정책적 분류
출처 : 저자 정리

중국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소상공인을 보호의 대상이 아닌 성장의 주체로 인식하고 있으며 성장 단계별로 혁신형 중소기업 → 전정특신 중소기업 → 전정특신 작은 거인 기업 → 제조업 품목 챔피언 기업으로 구분하여 단계적 육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중국 정부의 공식 인증체계에 따른 정책적 분류이다.

2) 개념적 분류

중국판 ‘포브스(Forbes)’로 일컬어지는 후룬연구원7)은 전 세계의 유망 스타트업 기업을 기업 가치와 성장성을 기준으로 ‘유니콘기업’, ‘가젤기업’,‘치타기업’으로 구분하여 기업 리스트를 발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분은 정책적 구분이 아니라 기업의 성장속도와, 혁신성, 시장 영향력을 기준으로 나눈 개념적 분류로 볼 수 있으며 공식적인 분류 기준이 아닌 민간 투자 중심의 용어이다.

중국의 소상공인·소기업 성장 사다리 개념적 분류
출처 : 저자 정리

3. 중국의 유형별 기업 성장사다리 정책

1) 전정특신(專精特新) 기업 정책

2011년 중국의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8)’는 중국 제조업의 선진국과의 격차를 좁히고 혁신적이며 유능한 중소기업 육성9)을 위해 「중국 산업발전과 산업정책보고(中国产业发展和产业政策报告(2011))」 및 「12.5 중소기업규획(“十二五”中小企业规划)」을 발표하였고 여기에서 처음으로 전정특신 기업의 개념이 제시되었다.10) 그리고 2012년 4월 26일 국무원은 「소형 영세기업의 건전한 발전 지원에 관한 의견(国务院关于进一步支持小型微型企业健康发展的意见)」을 발표하고 전문성, 정밀성, 특징성, 혁신성을 갖춘 소규모 영세기업의 발전 지원을 밝혔다. 이후, 중국 정부는 소기업·소상공인을 포함한 강소기업과 대기업의 공동 발전을 위한 정책들을 잇따라 발표하였다.11)

전정특신(專精特新)기업 관련 정책
자료: 저자 정리

2) 가젤기업 정책

가젤기업은 기술혁신 역량과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으로 빨리 달리면서 높은 점프력을 갖고 있는 영양류인 가젤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구체적인 정의를 살펴보면 가젤 기업(Gazelle firm)은 고용 또는 매출이 3년 연속 20% 이상 증가하는 고성장 기업을 말한다.12)

2003년 중국의 베이징 중관촌에서 ‘가젤 프로젝트’를 처음 시작했고, 점차 지방 하이테크 산업단지에서 사용되면서 가젤기업이란 용어는 시장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올해 양회에서 중국 정부가 가젤기업 육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함에 따라 시장의 기대감이 커져가고 있다. 이는 반도체·신소재·신에너지·AI 등 분야의 가젤기업 육성을 통해 제2, 제3의 DeepSeek를 만들어 글로벌 시장 경쟁에 대응하고자 하는 중국 정부의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13)

<지역별 가젤기업 관련 정책>
출처 : 장은정, “2025년 중국의 핫 키워드와 소상공인에 대한 시사점”, 소상공인 ISSUE FOCUS, vol.02, 2025.5.

3) 유니콘기업 정책

유니콘기업은 벤처투자를 유치하면서 기업 가치를 약 10억 달러(한화 약 1조 원) 이상으로 평가받은 비상장 스타트업을 의미하며 상장 전에 상상할 수 없는 성과를 올렸다는 점에서 가상 동물인 유니콘에 비유되고 있다. 비상장 기업을 의미하기 때문에 인수합병(M&A)이나 상장한 경우에는 유니콘 기업에서 제외됨에 따라, 유니콘 기업의 현황은 글로벌 경제에서 창업 및 벤처 생태계를 보여주는 주요 지표로 인식된다.15)

2023년 9월, 베이징시 과학기술위원회, 중관촌 관리위원회 등 11개 부처는 「유니콘 기업의 육성과 서비스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조치(关于进一步培育和服务独角兽企业的若干措施)」를 발표하여 유니콘기업이 국내외 자본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2024년 7월 30일,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가젤기업과 유니콘기업의 발전을 강력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하였고16) 올해 3월 양회에서는 가젤기업과 같이 유니콘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함을 밝혔다. 

베이징의 「유니콘 기업의 육성과 서비스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조치
(关于进一步培育和服务独角兽企业的若干措施)」
출처 : 关于进一步培育和服务独角兽企业的若干措施

4. 중국의 단계별 기업성장사다리 정책에 대한 시사점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한국은 2022년부터 ‘기업가형 소상공인’을 새로운 정책 목표로 설정하고 브랜드화, 기술개발, 민간투자 연계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 성장 단계별 분류 및 체계화 미흡, 둘째, 인증제도 및 연계정책 부재, 셋째, 협력생태계 기반 부족, 넷째, 제도적 지속가능성 및 법제화 미흡

우리가 안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중국의 전정특신기업 및 가젤·유니콘 기업 모델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우리에게 제공한다.

1) 성장단계별 지원체계의 법제화

중국처럼 소상공인을 기술역량과 시장성과에 따라 분류하고, 이에 따른 정책 지원을 제도화해야 한다. 즉, ‘창의형 → 혁신형 → 고성장형 → 글로벌 진출형’ 등 소상공인의 성장단계에 따른 구분과 정의를 구체화하고, 각 단계별로 필요한 정책 수단(예: R&D, 세제, 인증, 판로, 해외진출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도록 법률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2)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 정비

전정특신 기업과 유사한 역량을 갖춘 기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간 R&D 공동사업, 공급망 연계, 해외 공동진출 등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공동 성장 프로젝트’나 ‘상생형 기술협력 클러스터’ 등의 개념을 구체화 하고 이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3) 기업가형 소상공인 인증제도 및 성장 평가체계 도입

일정한 기술력, 성장성, 혁신성, 고용창출 역량 등을 갖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기업가형 소상공인 인증제도’를 도입하고, 해당 인증을 받은 소상공인에게는 조달 우대, R&D 우선 지원, 금융 지원 등의 혜택이 지속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이는 중국의 ‘전정특신 인증제도’와 유사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
*각주
1)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9SIL6XD(코트라 "중국 사업 기회, 15만개 '전정특신기업'과 협력하라"), 검색일 : 2025.7.30.
2) 「2025年国务院政府工作报告」 “梯度培育创新型企业,促进专精特新中小企业发展壮大,支持独角兽企业、瞪羚企业发展,让更多企业在新领域新赛道跑出加速度”, 2025.3.
3) 중소벤처기업부,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가형 소상공인을 육성하여 유망 소상공인이 기업가형 소상공인으로, 이후에는 ‘우리동네 인기(스타)벤처’로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중장기 :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가형 소상공인육성)」, 보도자료, 2022.8.25.
4) 기업가형 소상공인은 법적으로 정의된 용어가 아닌 중소벤처기업부의 정책적 용어이다. 2022년 중소벤처기업연구원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책연구소에서 공동으로 연구한 「기업가형 소상공인 활성화 방안 연구」에 따르면 기업가형 소상공인을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기업가정신 또는 장인정신 기반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혁신하는 소상공인”으로 정의하고 있다. 장은정,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을 위한 해외사례 검토”, 소상공인·시장 ISSUE&NEWSPAPER, 2023, 8면.
5) 라이콘(Lifestyle & Local Innovation uniCORN)) 즉, 유니콘을 지향하는 라이프스타일 & 로컬 분야 혁신기업을 말한다.
6) 장은정,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을 위한 중국의 전정특신(專精特新) 기업법제에 관한 고찰- 우수 중소기업의 점진적 육성 및 관리를 위한 잠정 방법(优质中小企业梯度培育管理暂行办法) 분석을 중심으로 -, 한·중관계연구 제9권 3호, 2023., 128면.
7) 후룬연구원(胡潤硏究院)은 중국의 재계정보 전문 조사기관으로, 중국 부자 순위와 유니콘 기업 순위 등을 발표하며. '중국판 포브스'로 널리 알려져 있다.
8) 1998년 정보산업부로 설립되어, ′2008년 3월 국무원 직속 부서로 중국공업신식화부로 명칭이 변경됨, 산업계획 및 산업정책, 표준 제정 등 수행
9) 谢洁,. “国内“专精特新”中小企业战略升级研究“, 中小企业管理与科技, 2023, 7.20. 171면.
10) 朱雪晴. “”专精特新”企业创新现状分析及应对措施“, 租售情报, 2023.6.25, 41면.
11) https://mp.weixin.qq.com/s?__biz=MjM5MzkzNTk0MQ==&mid=2656344691&idx=1&sn=ba2e68744d8a63f92c4fd8a496c66f25&chksm=bd2f5d598a58d44fbc89f9f68886d69f5e6f7c76f4b1d0854c1936d0fb904a2118bbc857db75#rd(北大法宝), 검색일 : 2025.6.18.
12) 권오형, 문종범, 김인섭, “수퍼 가젤형 기업의 특성과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제15권 제2호, 2012, 48면
13) 杨啸林, ““瞪羚企业”:“弯道超车”的惊人爆发力“, 经济与管理科学, 2025, 84면.
14) 「深圳市有力有效支持发展瞪羚企业、独角兽企业行动计划(2025—2027年)」, 2025.3.3.
15) http://webzine.koita.or.kr/202111-strategy/%EC%9C%A0%EB%8B%88%EC%BD%98-%EA%B8%B0%EC%97%85%EC%9D%84-%EC%9C%84%ED%95%9C-%ED%8A%B9%ED%97%88%EA%B2%BD%EC%98%81%EC%A0%84%EB%9E%B5(유니콘 기업을 위한 특허경영 전략), 검색일 : 2025.6.18.
16) https://baike.baidu.com/item/%E7%8B%AC%E8%A7%92%E5%85%BD%E4%BC%81%E4%B8%9A/22449491(独角兽企业政策指导), 검색일 : 2025.6.18.

[참고문헌]
권오형, 문종범, 김인섭, “수퍼 가젤형 기업의 특성과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제15권 제2호, 2012.
장은정,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을 위한 해외사례 검토”, 소상공인·시장 ISSUE&NEWSPAPER, 2023.
장은정,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을 위한 중국의 전정특신(專精特新) 기업법제에 관한 고찰- 우수 중소기업의 점진적 육성 및 관리를 위한 잠정 방법(优质中小企业梯度培育管理暂行办法) 분석을 중심으로 -, 한·중관계연구 제9권 3호, 2023.
중소벤처기업부,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가형 소상공인을 육성하여 유망 소상공인이 기업가형 소상공인으로, 이후에는 ‘우리동네 인기(스타)벤처’로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중장기 :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가형 소상공인육성)」, 보도자료, 2022.8.25.
谢洁,. “国内“专精特新”中小企业战略升级研究“, 中小企业管理与科技, 2023, 7.20.
朱雪晴. “”专精特新”企业创新现状分析及应对措施“, 租售情报, 2023.6.25.
杨啸林, ““瞪羚企业”:“弯道超车”的惊人爆发力“, 经济与管理科学, 2025.
「2025年国务院政府工作报告」 “梯度培育创新型企业,促进专精特新中小企业发展壮大,支持独角兽企业、瞪羚企业发展,让更多企业在新领域新赛道跑出加速度”, 2025.3.
「深圳市有力有效支持发展瞪羚企业、独角兽企业行动计划(2025—2027年)」, 2025.3.3.
https://mp.weixin.qq.com/s?__biz=MjM5MzkzNTk0MQ==&mid=2656344691&idx=1&sn=ba2e68744d8a63f92c4fd8a496c66f25&chksm=bd2f5d598a58d44fbc89f9f68886d69f5e6f7c76f4b1d0854c1936d0fb904a2118bbc857db75#rd(北大法宝), 검색일 : 2025.6.18.
http://webzine.koita.or.kr/202111-strategy/%EC%9C%A0%EB%8B%88%EC%BD%98-%EA%B8%B0%EC%97%85%EC%9D%84-%EC%9C%84%ED%95%9C-%ED%8A%B9%ED%97%88%EA%B2%BD%EC%98%81%EC%A0%84%EB%9E%B5(유니콘 기업을 위한 특허경영 전략), 검색일 : 2025.6.18.
https://baike.baidu.com/item/%E7%8B%AC%E8%A7%92%E5%85%BD%E4%BC%81%E4%B8%9A/22449491(独角兽企业政策指导), 검색일 : 2025.6.18.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9SIL6XD(코트라 "중국 사업 기회, 15만개 '전정특신기업'과 협력하라"), 검색일 : 2025.7.30.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