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 트렌드
Home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中 빅테크 기업들, AI 상용화 본격 추진하며 투자 확대
유은영 소속/직책 : EC21R&C 연구원 2025-09-12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중국 대형 인터넷 기업들이 AI 분야에서 전례 없는 투자 경쟁을 벌이며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있음. 텐센트는 AI를 기존 게임·광고 사업 강화에 활용해 안정적 성장을 유지하며 기업용 AI 서비스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알리바바는 AI 클라우드 중심 전환으로 26% 고성장을 달성하고 알리페이 AI 결제 서비스 등 혁신을 추진하고 있으나, 대규모 AI 투자와 외식배달 서비스 경쟁 병행으로 재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 중국 AI 생태계 발전 현황과 투자 동향
- 중국 대형 인터넷 기업들은 2025년 들어 AI 분야에서 전례 없는 규모의 투자 경쟁을 벌이고 있음. 8월 발표된 텐센트(Tencent)와 알리바바(Alibaba)의 2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두 기업 모두 AI를 단순한 기술 도입 차원을 넘어 핵심 성장 엔진으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남. 텐센트의 AI 관련 자본 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9% 급증한 191억 위안(약 3조 7,281억 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주로 GPU와 서버 구매에 집중됨. 알리바바 역시 3년간 AI와 클라우드 분야에 3,800억 위안(약 74조 1,722억 원)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전면적 투자를 선언함.
- AI 인프라 구축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반도체 공급망 안정성이 핵심 과제로 부상함.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Canalys) 보고서에 따르면 GPU 공급 제약이 텐센트 클라우드 성장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됨. 이에 대응해 텐센트는 충분한 칩 보유량을 확보했다고 밝혔으며, 추론 칩 다변화와 소프트웨어 효율성 개선을 통해 동일한 칩으로 더 많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고 설명함. 알리바바는 자체 개발 AI 추론 칩을 출시하는 등 공급망 리스크 완화를 위한 대안을 마련해 왔음.
- AI 서비스 상용화가 본격 궤도에 오르면서 수익 모델도 다양화되고 있음. 텐센트는 GPU 임대와 API 토큰 호출 등을 통한 기업 서비스 수익 증가를 구체적으로 공개하며, AI가 더 이상 비용 부담이 아닌 수익 창출 도구로 자리잡았음을 입증함. 알리바바의 AI 관련 서비스 활용량 증가로 관련 수익이 8분기 연속 세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으며, 2분기 AI 관련 상품 수익이 알리클라우드 수익의 20%를 넘어섰음. 알리바바의 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Alipay)에서 출시한 중국 내 최초 'AI 결제' 서비스는 AI 시대 결제 생태계 혁신을 선도하며 새로운 수익원 창출 가능성을 제시함.
- 전문가들은 향후 5년 내 중국 AI 시장이 급속 확장될 것으로 전망함. 알리페이 디지털결제사업부 최고기술책임자 주린(朱林)은 AI 산업 폭발적 성장과 스마트 기기 보급에 따라 음성이나 제스처 등 자연스러운 새로운 결제 방식 비중이 50%를 넘어설 것이며, 다양한 스마트 기기 결제는 10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다고 밝힘. 이는 중국 AI 생태계가 기술 개발 단계를 넘어 대중 상용화 단계로 본격 진입했음을 시사함.
◦ 텐센트의 AI 전략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
- 텐센트는 AI를 기존 핵심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촉진제로 활용해 안정적인 성장을 창출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음. 온라인 광고 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20% 대폭 증가한 것은 'AI 기반 광고 플랫폼 최적화'의 성과라고 실적 보고서에서 명시함. AI를 광고 제작, 타겟팅, 추천 및 효과 분석에 활용하여 광고 클릭률과 전환율, 광고 투자수익률을 현저히 개선함. 이는 광고주들의 동영상 서비스, 미니앱, 위챗(WeChat) 검색 광고 투자 확대로 이어짐.
- 게임 사업에서도 AI 활용이 지속 확대되며 연속 3분기 2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음. ‘아너 오브 킹즈(Honor of Kings)’와 ‘게임 포 피스(Game for Peace)’ 등 주력 게임들이 플랫폼화를 추진하면서 AI 기술 적용을 대폭 강화함. 텐센트는 AI 도구를 광범위하게 활용하여 게임 콘텐츠 제작을 가속화하고 더욱 사실적인 가상 캐릭터를 구현하고 있음. 또한 AI 기반 마케팅을 통해 신규 이용자 유치와 참여도 제고를 실현함. 이는 개발 효율성과 사용자 경험을 직접적으로 향상시켜 게임 수익 증가로 이어지고 있음.
- AI 비서 애플리케이션 '텐센트 위안바오(Tencent Yuanbao)'를 출시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함. 1분기 대규모 마케팅 투자를 통해 월간 활성 사용자가 한때 4,000만 명을 돌파했으며, 2분기에는 사용자 확보 속도를 조절하면서도 6월 기준 2,480만 명, 복합성장률 55%를 달성함. 모바일 데이터 조사기관 퀘스트모바일(QuestMobile)이 8월 발표한 ‘AI 애플리케이션 시장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텐센트 위안바오는 AI 앱 분야에서 선두 지위를 확보함.
- 기업용 AI 서비스 확장으로 B2B 시장 진출을 본격화함. 텐센트 화상회의 서비스를 위안바오와 연계하여 출시한 'AI퉈관(AI托管)' 기능의 정식 서비스를 시작함. 사용자가 회의 일정이나 목록에서 AI퉈관을 선택하면 회의 시작 시 위안바오가 사용자 대신 미리 회의에 참석하여 지능형 회의록을 자동 생성함. 이는 텐센트가 개인용 AI에서 기업용 AI 솔루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줌.
◦ 알리바바의 AI 클라우드 중심 전환과 도전 과제
-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그룹은 올 2분기 매출 334억 위안(약 6조 5,170억 원)을 기록하며 성장률이 26%로 가속화되어 3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함. 이는 주로 퍼블릭 클라우드 사업 매출 증가에 기인함. 알리바바그룹 CEO 겸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그룹 CEO 우용밍(吴泳铭)은 기업들의 AI 관련 서비스 수요가 여전히 왕성하며, 기존 클라우드 컴퓨팅 대비 AI 기술이 클라우드 시장 집중도 향상을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함.
- 알리바바는 자사 서비스 생태계 내에서 소비자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AI 기능을 대폭 강화함. 네비게이션 앱 가오더(高德)에 AI 기능을 전면 도입했으며, 기업용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플랫폼 딩딩(钉钉)의 AI 업그레이드를 완료함. 전자상거래 플랫폼 타오바오(淘宝)도 AI 검색과 AI 광고 플랫폼을 적용하여 소비자 경험과 판매자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킴.
- 알리페이가 출시한 혁신적 AI 결제 서비스가 새로운 수익원 창출 가능성을 제시함. 9월 11일 ‘2025 인클루전 와이탄 콘퍼런스(Inclusion·外滩大会)’에서 중국 내 최초 'AI 결제' 서비스를 발표함. 이미 중국 커피체인점 루이싱(瑞幸)의 AI 주문 도우미 '럭키AI(Lucky AI)'에 적용됨. 이용자는 루이싱 알리페이 미니앱이나 루이싱 앱에서 음성을 통해 주문과 결제를 한 번에 완료할 수 있으며, AI 대화 화면을 벗어날 필요가 없음. 이는 업계 최초로 AI 서비스 내에서 주문부터 결제까지 전 과정을 연결한 매끄러운 사용자 경험을 구현한 것임.
- 한편, 알리바바는 대규모 투자로 인한 재무 부담이 도전 과제로 남아있음. 올 2분기 알리바바 순이익은 335억 위안(약 6조 5,35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함. AI 분야 고강도 투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치열한 외식배달 서비스 경쟁까지 겹치면서 2분기에 외식배달을 포함한 배송 사업 투자를 더욱 확대했기 때문임. AI 투자와 전자상거래 경쟁을 동시에 진행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인해 재무 압박이 가중됨. 골드만삭스(Goldman Sachs)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외식배달 사업만으로 올 2분기에 110억 위안(약 2조 1,450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으며, 3분기에는 외식배달을 포함한 배송 사업 손실이 310억 위안(약 6조 450억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관련 뉴스 브리핑]
[참고 자료]
이전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 | |
---|---|---|
다음글 | 中 로봇청소기 기업의 글로벌 시장 석권 | 2025-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