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북경사무소

KIEP 북경사무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에서 각종 중국 자료를 요약하여 심층 분석 및 시사점 제공합니다.

[북경사무소] 2025 중국국제서비스무역교역회(CIFTIS) 개최 및 관련 정책 동향

KIEP 북경사무소 2025-10-08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9월 10일부터 4일간 중국 베이징에서 서비스 무역의 전시, 교류, 상담, 협력을 위한 플랫폼인 중국국제서비스무역교역회(이하 'CIFTIS')가 개최됨.
- 서비스 무역은 상품이 아닌 운수, 통신, 해상보험, 금융, 여행, 건설 등의 서비스업이 국경을 넘어 거래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함.
- CIFTIS는 중국 상무부와 베이징시 정부가 공동 주최하는 박람회로 올해는 ‘디지털 인텔리전스1)가 이끄는, 서비스 무역의 혁신’이라는 주제로 서비스 무역 고위급 회담 및 전시가 진행되었으며 AI, 핀테크, 녹색 저탄소 등 첨단 분야를 주제로 한 특별 전시관도 마련되었음.
 ◦ 2023년에는 '녹색 저탄소'를 주제로, 2024년에는 '글로벌 서비스, 공유하는 번영'을 주제로 개최됨.

■ 이번 CIFTIS의 주요 특징으로는 △신기술 특화 전시 △디지털 위안화 홍보 △산업 보고서 발표가 있음.
- [신기술 특화 전시] '스마트'를 핵심 키워드로 전시를 구성하였으며, AI, 6G, 휴머노이드 로봇, 스마트 제조 등의 첨단 기술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 분야를 선보임.
 ◦ 'AI+교육' 구역에서는 ‘징와(京娃)’2) 시리즈의 맞춤형 AI 학습 보조 시스템, AI 교육 과정 패키지 등의 인공지능 기반 교육 솔루션이 집중적으로 전시됨.
 ◦ 베이징시 문물국은 관람객의 나이, 언어 등 개인 특성에 맞춘 'AI 디지털 가이드 서비스'를 선보임.
 ◦ 또한, 5G 기술을 활용해 해외 여행객들이 얼굴 인식과 여권 스캔으로 빠르게 출입국 심사를 마치고, ‘슈퍼 SIM 카드’를 통해 대중교통, 쇼핑 등에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체험 전시가 진행됨.
 ◦ 이 외에도 차이나 모바일은 '저고도+'3)를 민간에 적용하여 물류 드론이 산간 지역 노인들에게 무료로 식사를 배달하는 장면을 공개함.
- [디지털 위안화 홍보] 중국은행, 교통은행(交通银行) 등 다수의 금융기관이 디지털 위안화의 인지도를 제고하기 위해 '디지털 위안화 하드월렛'4) 홍보 부스를 운영하였으며, 일상 소비 및 국경 간 무역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을 주로 홍보를 진행함. 
- [산업 보고서 발표] △2025 글로벌 서비스 무역 포용 발전 동향 △2024 중국 서비스 무역 발전 △2025 디지털 무역 발전 및 협력 △2025 중국 서비스 무역 발전 지수 등 다수의 서비스 무역 관련 보고서가 발간됨. 
 ◦ 보고서에서는 세계 경제 둔화 속에서도 상반기 세계 무역 규모가 대폭 증가했음을 강조하는 한편, 미국의 통상 정책 불확실과 지정학적 긴장 고조 등으로 하반기에는 무역 성장률이 더딜 것으로 전망함. 
 ◦ 아울러 서비스 무역의 발전이 단순한 산업 성장에 그치지 않고,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고용을 확대하며, 공공 서비스 개선과 빈부 격차 완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함. 
 ◦ 금년도 CIFTIS 보고서에서는 기존 CIFTIS에서 다루지 않았던 지정학적 리스크, 글로벌 불균형, 고용 및 사회 안정과 같은 보다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이슈들을 포함함으로써 차별화됨.

■ CIFTIS 개최 후 중국 상무부는 서비스 수출을 본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9월 24일 9개 부처5)와 공동으로 △금융·세제 지원 확대 △디지털·신산업 기반 강화 △국제 경쟁력 제고를 중심으로 한 13개의 “서비스 수출 촉진을 위한 정책조치”를 발표하였음. (표 1. 참조)
- [금융·세제 지원 확대] 서비스 무역 기금 조성, 수출 영세율6) 적용, 수출신용보험 확대, 신용보강 정책 정밀화 등 금융·세제 측면에서의 민간 투자 유도 및 기업 부담 완화를 도모
- [디지털·신업태 기반 강화] 디지털·친환경 서비스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데이터 국경간 이동 촉진 및 규범화, 클라우드 컴퓨팅 및 국제 데이터 센터 설립 등을 통해 서비스 수출 기반을 마련
- [국제 경쟁력 제고] 외국인 인재 유치, 입국 비자 정책 완화, 해외 전시 브랜드 육성, 법률·분쟁 자문 확대 등을 통해 기업의 해외 진출을 다각도로 지원

표 1. '서비스 수출 촉진을 위한 정책조치'의 주요 내용
자료: '서비스 수출 촉진을 위한 정책조치'(关于促进服务出口的若干政策措施) 내용을 표로 정리

■ 중국은 상품 무역 중심의 기존 성장 모델에서 벗어나 서비스 무역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고, △제도 개선 △신기술 기반 강화 △글로벌 협력 확대 등을 중심으로 정책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됨.
- 주광야오(朱光耀) 전 중국 재정부 부부장은 향후 서비스 수출 촉진 및 외국인 소비 확대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하여 서비스 수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고 밝힘.
 ◦ 이외에도 인공지능, 바이오의약품15), 디지털 경제 등 신흥 분야의 서비스 수출을 확대하고, 연구개발, 컨설팅, 전자상거래 등의 서비스 수출을 촉진하여, ‘디지털 서비스 무역’과 ‘인공지능+서비스 무역’ 등 신업태 개발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힘.
- 정웨이(郑伟) 중국서비스아웃소싱연구센터(中国服务外包研究中心) 연구원은 이번에 발표된 조치가 데이터의 국경 간 이동을 촉진하고 규범화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 클라우드 서비스 등 새로운 수출 성장 동력을 육성하고, 중국 서비스 산업의 핵심 경쟁력 형성을 촉진할 것이라 강조함.
- 이처럼 중국이 서비스 무역의 성장을 위한 제도 혁신과 국제 협력 강화를 병행함과 동시에 서비스 산업 전반의 구조적 전환도 함께 추진할 것으로 기대됨.

자료정리: 중국인민대학교 국제관계학원 국제관계 석사과정생 이서연
(leeseoyeon@ruc.edu.cn)


---
*각주
1) 디지털 기술(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처리하고 활용하는 능력 또는 그 자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및 시스템을 의미함.
2) 베이징시 교육위원회가 인공지능과 초중등 교육의 융합을 추진하기 위해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명칭임.
3) 드론이나 UAM(도심항공교통) 등 저고도 공역에서 이루어지는 항공 기술을 물류, 관광, 응급의료, 환경 감시 등 다양한 산업에 융합하는 개념임.
4) 중국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인 디지털 위안화(e-CNY)를 저장하고 결제할 수 있는 물리적 장치. 즉,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전자화폐 카드나 기기를 가리킴.
5) 상무부, 중앙인터넷정보판공실, 재정부, 인민은행, 해관총서, 세무총국,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국가지식재산권국, 국가외환국
6) 수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부가가치세(VAT) 세율을 0%로 적용하여, 매입 시 납부한 세금을 전액 환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
7) 서비스 무역 및 신산업 육성을 위해 중국 정부가 민간 투자와 연계해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성 기금.
8) 금융거래에서 채무자의 신용도를 높이기 위해 제삼자의 보증, 담보 제공, 보험 가입 등의 수단을 통해 채권자의 신용위험을 줄이는 장치
9) 외국에서 들여온 물품이 세금을 내지 않은 상태로 일정 구역에 보관되거나 운송되는 제도.
10) 외국 기업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관세 부과를 보류하거나 면제해주는 구역
11) 기업이 여러 계열사나 지사 간 자금을 하나로 모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금융기법으로, 기업 내 여유 자금을 모아 부족한 곳에 공급하여 외부 차입을 줄이고 이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12) 특허, 상표, 저작권 등 지식재산이 가진 경제적 가치를 돈으로 환산해 평가하는 과정.
13) 국가가 자국 산업 보호 및 육성을 위해 특정 분야에서의 외국인 투자나 수출을 제한하기 위한 정책으로 금지·제한 항목만 명시해 그 외는 모두 허용하는 제도. 
14) 사용자가 직접 하드웨어나 인프라를 소유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서버, 저장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빌려 쓰는 IT 서비스 방식
15)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세포·조직·호르몬 등을 이용해 개발된 의약품으로 ‘생물의약품’이라고도 불리며 보건위생상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의약품을 가리킴.

[참고문헌]
「2025年中国国际服务贸易交易会达成各类成果超900项」,北京日报, 2025-09-15.
「共享开放合作机遇 共促服务贸易升级(走进服贸会)」,人民日报,2025-09-15.
「前7个月我国服务进出口总额同比增长8.2%」,新华网, 2025-09-05.
「共享开放合作机遇 共促服务贸易升级(走进服贸会)」,环球网, 2025-09-15.
「服务贸易为全球经济发展注入更多新机遇」,中国经济时报, 2025-09-15.
「商务部等9部门印发《关于促进服务出口的若干政策措施》的通知」,中华人民共和国商务部, 2025-09-10.
「促进服务出口压减负面清单我国服务贸易跑出自主开放“加速度”」,上海证券报, 2025-09-10.
「9部门发文促进服务出口国际数据服务业务等获重点支持」,中国产业经济信息网, 2025-09-29.
「9部门出台13条政策措施促进服务出口」,光明网, 2025-09-25.
게시글 이동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북경사무소] 중국 AI 반도체 기업의 현황 및 전망 2025-09-2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