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브리핑
Home 뉴스 브리핑
매일 중국에서 발행하는 언론사의 최신 뉴스를 요약·번역하여 제공합니다.
뉴스브리핑
[정책 분석] 中 정부, ‘인공지능+’ 실시의견 발표
2025-08-27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중국 국무원이 ‘인공지능+’ 행동 심화 실시의견을 발표하며 2035년까지 3단계 목표를 제시함.
◦ 중국 ‘인공지능+’ 정책의 핵심 내용과 목표
- 26일, 중국 국무원(国务院)은 「인공지능+ 행동 심화 실시의견」을 발표하며 3단계 목표를 제시함. 2027년까지 6개 핵심 분야에서 AI 융합을 실현하고 차세대 스마트 단말 보급률 70% 초과를 달성함. 2030년에는 보급률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AI 경제를 주요 성장동력으로 육성함. 2035년에는 AI 경제와 AI 사회 발전의 새로운 단계에 전면 진입함.
- 과학기술, 산업발전, 소비품질 향상, 민생복지, 정부역량, 국제협력 등 6개 분야별 세부 실행계획을 마련함. 과학 분야에서는 과학연구용 대규모 AI 모델 구축과 기초연구 플랫폼의 AI 전환을 추진하며, 산업 분야에서는 제조업 전 요소의 스마트 연결과 설계·시제품·생산·서비스·운영 전 과정 AI 도입을 가속화함. 정부 분야에서는 도시 운영의 스마트화 수준 향상을 추진함.
◦ 인공지능 산업 전면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접근
- 이번 정책은 처음으로 1·2·3차 산업 전 분야 AI 전환 방향을 제시함. 농업 분야에서는 AI 기반 품종개발 체계 혁신과 재배·축산 등 농업 영역 스마트 기술 확산을 지원하며, 제조업에서는 전 요소의 스마트 연결과 설계·시제품·생산·서비스·운영 전 과정 AI 활용을 가속화함. 서비스업에서는 기존 디지털 기반 인터넷 서비스를 AI 중심의 차세대 서비스 방식으로 발전시켜 현대 서비스업의 스마트화를 추진함.
- ‘인공지능+’는 10년 전 ‘인터넷+’와 차이를 보임. ‘인터넷+’가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정보 전달과 생산 효율성 향상에 집중했다면, ‘인공지능+’는 ‘인터넷+’ 기반 위에 인지 및 판단 능력을 추가하여 '정보 연결과 확산'에서 '지식 활용과 창조' 단계로 발전시키고자 함.
[관련 정보]
이전글 | 글로벌 자동차 지형 변화...中 BYD·지리 급성장 vs 日 혼다·닛산 추락 | 2025-08-28 |
---|---|---|
다음글 | [중화권] 홍콩 ‘가오차이퉁’, 연간 1.2%p 경제성장 견인 | 202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