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정보

전문가정보

이름 강택구
소속/직책 한국환경연구원 / 연구위원
전문분야 중국환경, 동북아정치
학력 한림대학교 사회학 학사
한림대학교 정치학 석사
칭화대학교 국제정치 박사
경력/저술활동

[경력 사항] 

- 2011~현재(2022.07 기준) 한국환경연구원(前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 2009 ~ 2011 인하대 국제관계연구소 연구교수

2007 ~ 2009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 “중국 대기정책결정 분석과 한중협력의 시사점,” 『입법과 정책』, 제13권 1호, (2021.04.30).

- 정기웅, 강택구, “신남방정책과 대(對)ASEAN 환경협력,” 『글로벌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2020.09).

- 정기웅, 강택구, “동북아 환경협력을 위한 인식공동체의 확장과 환경교육,” 『글로벌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2019.12).

- “중일 환경협력 분석을 통해 본 한중 환경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 『동서연구』, 제31집 2호, (2019.06).

- Taek Goo Kang, Giwoong Jung, Soohwan Hwang, “After Breaking the Deadlock: Extending Cooperation with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rough Natural Disaster Management,” 『국제관계연구』, 제24권 제1호, (2019.06).

- 심창섭·이승민·강택구, “세종특별자치시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한국지방정치학회보』(2018)

- 이정석·조일현·강택구, “자기 및 집단 효능감을 통한 환경 친화적 행동 촉진에 대한 연구,” 『입법과 정책』, 제7권 제2호, (2018.08).

- 강택구·윤정호, “전환기 한·중 환경협력의 진단과 전략,” 『중국지역연구』, 제4권 제2호(2017.12).

- 조성권·장노순·박상현·강택구, “국제 신뢰구축의 수단으로 글로벌 새마을운동의 추진과 의미,” 신안보연구 통권 188호 (2016 여름).

- “지속가능발전과 새마을운동 ODA 사업 연계 모색,” 『국제지역연구』, 제20집 4호, (2016), pp. 35~58.

- 이정석·임준형·강택구, “환경갈등을 바라보는 한국 신문사들의 시각과 정책적 함의,” 『입법과 정책』, 제7권 제2호, (2015.12), pp. 149~173.

- 강택구·조정원,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와 섬유업의 대응 현황: 중국 주재 현지 및 한국 업체를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제17집 1호, (2015), pp. 157~189.

- 박상현·강택구·이정석, “대북 환경협력 추진을 위한 남북한 협력과 국제기구 활용,” 『국제지역연구』, 제18집 5호, (2015), pp. 253~276.

- “권역별 환경협력에 대한 중국의 정책 비교,” 『중소연구』, 제38집 1호, (2014), pp. 139~169.

- 강택구·김예경, “중국과 중앙아시아 관계: 미국에 대한 소프트밸런싱 전략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16권 2호, (2012), pp. 121~146.

- 강택구·한석희, “중국의 대미인식과 대외전략 논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지역연구』, 제15집 2호, (2011), pp. 51~68.

- “Assessing China’s Approach to Regional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Australia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Vol.64, Is.4 (August, 2010), pp.406~431.

- “제2차 북핵 위기 이후 중국의 대북 정책: 압박과 유인간의 딜레마,” 『국제지역연구』, 제13권 4호, (2010), pp. 3~22.

- 강택구·김재한, “휴전과 국경 안정화: 중인 국경 운용을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제28집 3호, (2010), pp. 209~232.

- 한석희·강택구, “동아시아공동체 형성과 중국의 인식: EAS에 대한 정책적 함의,” 『한국정치학회보』, 제43집 1호, (2009), pp. 283~300.

- “중국과 상하이협력기구: 다극화 제약요인과 차선책,” 『국가전략』, 제14권 1호, (2009), pp. 65~87.

- “동아시아 지역 내 강대국간 경쟁과 세력전이: 21세기 중국의 대일정책,” 『국제정치논총』, 제48집 2호, (2008), pp. 7~31.

- “중국의 다자협력과 통일 한반도 전략,” 제주평화연구소 편, 『동아시아 다자협력의 제도화: 통일 한반도를 대비한 다자협력 전략』, (도서출판 오름, 2012), pp. 101~138.

- “中國參與六方會談: 斡旋角色與前景,” 『當代亞太』 (北京) No. 146, (2007年 2月), pp. 30~35.

- “中國地區多變安全協作的動因,” 『國際政治科學』 (北京) No. 5, (2006年 4月), pp. 1~27.

- “韓國: 想收戰時作統控制權,” 『世界知識』 (北京) No. 1427 (2005年 12月 16日), pp. 26~27.

- “韓國政府爲何對立强硬日本,” 『世界知識』 (北京) No. 1417 (2005年 6月 1日), pp. 32~3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