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장에서 파악한 알제리 불법 외환시장 및 외환통제 실체

알제리 KOTRA 2017/04/14

□ 국제유가 하락 이후 지속적인 알제리 다나르화 가치 하락


  ㅇ 알제리 화폐 단위는 알제리 디나르(DM)이며 알제리의 수출입, 유가변동 등을 감안해 알제리 중앙은행이 매일 환율을 고지함.
    - 미 달러당 알제리 디나르 값은 국제유가가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한 2014년 하반기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해 옴. 
    - 2014년 9월 대비 2017년 4월, 미 달러당 알제리 디나르화는 40%가량 하락

  
  ㅇ 
2017년 4월 12일 현재 미화 1달러당 알제리 디나르(DM) 공식 환율은 110.5알제리 디나르임.

    - 한편, 블랙마켓에서 거래되는 미 달러당 알제리 디나르 값 역시 유가하락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음.

    - 알제리 블랙마켓에서 거래되는 환율은 공식 환율보다 평균 50%가량 높은 선에서 형성되는데, 최근 미화 1달러당 알제리 디나르화의 블랙마켓 환율은 175 정도임. 따라서 공식 환율보다는 비공식 환율 거래를 선호함

    - 알제리 정부는 블랙마켓에서 거래되는 연간 외환 총액을 약 340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음.
  

□ 알제리 외환 블랙마켓 현황


  ㅇ 알제리에서도 외환 블랙마켓은 법적으로 금지돼 있으며 비록 외부에 간판은 내걸지 않았지만, 도심에서 버젓이 영업을 하고 있음. 이곳에서는 미 달러, 유로화 및 주요 중동 국가들의 화폐가 거래되고 있음.


  ㅇ 블랙마켓 환전소에서는 교환하려는 양 화폐 간 매입률과 매도율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이 특징이며, 많은 금액 교환 시에는 고객에게 약간 유리한 환율을 적용해 줌.
  

  ㅇ 블랙마켓 환율도 알제리 중앙은행 고지 공식환율에 기초해 변동되나 라마단, 휴가철 등 달러와 유로화의 수요가 큰 시점에는 환율이 평소보다 크게 상승함. 외환통제 강화 이후 블랙마켓에서 거래되는 외환 규모는 크게 늘어나고 있음. 
    - 알제 국제공항에 도착하면 암달러상들이 여행객들에게 환전을 권유하기도 함.


알제리 블랙마켓과 알제리 중앙은행

external_image


□ 알제리 정부 외환통제 강화 배경


알제리 주요 거시경제 지표

구분

2013

2014

2015(추정)

2016(추정)

명목 GDP(US$ 십억)

209.7

213.5

166.8

156.2

명목 GDP 실질성장률(%)

2.8

3.8

3.9

1.4

소비자물가 상승률(%)

3.3

2.9

4.8

6.7

등록실업률(%)

9.8

10.6

11.2

12.4

수출액(US$ 백만)

64,714

59,996

36,002

26,915

수입액(US$ 백만)

54,987

59,670

50,702

44.598

무역수지(US$ 백만)

9,727

326

-14,700

-17,683

환율(AD:US$)

79.37

80.58

100.69

110.06

외환보유고(US$ 백만)

195,013

179,901

144,948

114,960

외환보유고 증감률(%)

1.8

-7.7

-19.4

-20.7

총외채(US$ 백만)

5,231

5,453

5,143

5,934

 외채증감률(%)

-4.8

4.2

-5.7

15.4

자료원: EIU(2017년 3월)


  ㅇ 알제리 정부는 고유가시대에도 외환통제정책을 실시했으나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한 무역수지 악화와 외환보유고 감소에 따라 최근 외환통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음.

    - 2014년 이전까지만 해도 무역수지 흑자국이었던 알제리는 2015 147억 달러 무역수지 적자를 보였으며, 2016년에는 177억 달러로 그 폭이 더 늘어난 것으로 추정. 반면, 외환보유고는 2013년 약 2000억 달러에서 2017년 말 1150억 달러 수준으로 급락할 것으로 추정됨.


 외환통제 내역

 

  ㅇ 모든 수입 시 알제리 중앙은행의 통제를 받아야 함.

    - 2016 3월부터 모든 L/C 개설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며, 알제리 중앙은행의 사전·사후 검토를 통해 L/C 개설이 승인돼 수입대금 송금도 가능해짐.

    - L/C 개설이 승인되면 수입상은 송금액(수입액)에 해당하는 알제리 디나르화를 알제리 중앙은행에 입금 후 환전해 송금하게 됨. 따라서 L/C 개설 및 수출대금 결제까지 일반적인 다른 국가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대금결제 방식, 조, 금액 변경 (L/C amend 포함)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되고 입증자료를 제시해야 함.


  ㅇ 까다로워진 D/A, D/P 방식 

    - D/P 거래란 수입상이 현지거래은행에 수입대금을 지급하면 선적서류를 인도받게 되며, 현지은행은 즉시 수출자 거래은행에 해당 대금을 송금하는 방식이나 알제리에서는 수입상이 선적서류를 찾아 통관 후 세관으로부터 당초 신고 내역대로 정식 수입됐다는 확인서를 받아 현지 거래은행에 제출하고 다시 알제리 중앙은행의 승인을 받은 후에야 수출자 거래은행으로 수출대금이 송금됨 

    - 따라서 알제리에서는 D/P방식으로 대금 지급 시 소요되는 시간이 다른 나라들의 통상적인 경우에 비해 최소 3주 정도 더 소요되며 심한 경우 2~3개월이나 더 걸리는 경우도 있음.


  ㅇ D/A방식도 똑같은 절차가 요구됨.


  ㅇ T/T 거래는 고유가시대에도 허용되지 않았고 지금도 허용되지 않고 있음.

 

  ㅇ 신용카드 사용 금지

    - 해외는 물론이고 국내에서조차 신용카드 사용이 금지되고 있음. 따라서 인터넷 거래는 불가함.

 

  ㅇ 국내에서의 모든 거래는 자국통화만 가능. 국내에서 모든 거래 및 급여 지불 시 자국통화만 사용해야 함.

   

  ㅇ 외환송금 및 휴대반출 제한     

    - 까다로운 요건을 갖추지 못하면 외환송금이 허용되지 않으며 해외여행 시 증빙자료(항공권, 출장명령서 등)를 제출해야만 1인당7000유로 범위 내에서 외환 휴대반출이 가능함.  


  ㅇ 국내에서 모든 거래 및 급여 지불 시 자국통화로만 가능함.


  ㅇ 공항 출국 시 외환반출을 엄격하게 검색해 불법반출 시 압류함.


  ㅇ 자국화폐 알제리 디나르화의 해외 반출도 금지하고 있으며 국내공항 면세점에서는 자국화폐를 사용할 수 없음.


 외환통제 강화 이후 두드러진 현상 


  ㅇ 음성적인 외환거래가 더 활성화되고 있음.

    - 사설환전소가 많이 생겨났고 이곳을 통해 환전하는 사람들이 늘어남.

    - 외환부족 현상으로 블랙마켓에서는 알제리 디나르화의 가치가 공식 환율보다 더 크게 떨어지고 있음

   

 발생되는 부작용


  ㅇ 더욱 교묘해진 외환 반출입 


  ㅇ 언더밸류 수입 후 3국에서 수출상으로부터 수입대금 환불

  

  ㅇ 이중 주택임대차계약서 체결  

    - 외국인 상태 주택임대 시 달러와 현지화 임대차계약서를 2중으로 작성해 현지화 임대차계약서로 신고하고, 실제로 수취한 달러를 블랙마켓에서 환전해 추가 이득 취득


  ㅇ 현지인 채용 외국기업 임금을 현지화로만 지급 가능

    - 현지인 채용 시 현지화로만 지급하기 때문에 달러지급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국기업 취업 근로자는 불이익 직면

  

 전망과 시사점


  ㅇ 유가하락으로 인한 알제리 재정 악화와 무역수지 적자 누적에 따라 알제리 정부는 그동안 비축한 예산도 거의 소진돼, 2018년부터는 무역적자를 감당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도 있어 외환통제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됨.
  

  ㅇ 지속적인 저유가 기조로 인해 알제리의 무역수지 적자 누적과 외환보유고의 급격한  감소가 예상돼 알제리 디나르화의 평가절하는 이어질 전망임.


  ㅇ 아울러 자국 화폐 가치 하락에 따라 수입물가가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되며, 알제리 국민들도 수입제품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저렴해진 자국산 제품을 구입하려는 경향이 더 두드러질 것으로 보임


  ㅇ 알제리 기업과의 교역 시 알제리 정부의 외환통제정책에 반하는 상거래를 함으로써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가 요망됨(불법 외환반출입 협조 및 연루행위 지양).

 


자료원: EIU Country Report, Algeria Central Bank, KOTRA 알제 무역관 보유 자료 등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