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에티오피아 의약·의료용품 동향 및 전망

에티오피아 KOTRA 2017/07/13

□ 에티오피아 의약산업 규모 및 시장동향

 

  ㅇ 에티오피아의 의약·의료용품 시장규모는 약 10억 달러(1조 원) 내외로 추산되는 가운데 공공조달 시장이 80%, 민간 시장이 2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공공조달의 경우 UN, WB 등 MDB에서 지원하는 국제입찰 프로젝트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자금조달에 전혀 문제가 없는 반면, 민간시장의 경우 제품 수입 시 더딘 L/C 개설 및 결재로 인해 공공조달에 비해 그 규모가 갈수록 축소되는 것으로 분석

 

  ㅇ 또한 에티오피아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수요대비 공급이 늘 부족한 상황임. 공공조달의 경우, 국제입찰을 통해 조달되기 때문에 실제로 에티오피아 시장에 유통되는 제품의 90% 이상은 수입산일 것으로 추정

 

  ㅇ 주로 유통되는 제품은 항생제·백신·페니실린 등 필수 의약품에서부터 각종 의료용품까지 다양하며, 가격에 민감한 에티오피아의 시장 특성으로 인해 인도산 제품이 전체 의약 수입시장의 20%를 차지

    - 통상 인도산 제품은 제너릭(Generic) 제품을 앞세워 시장진출을 확대(가격경쟁력 확보)

    - 대표적인 인도 기업으로는 Cadila, Zydus Cadila, Cipla, Ranbaxy, Ipca Laboratories, Lupin Laps 등이 있으며, 이들 기업들이 오래 전부터 에티오피아 시장에 진출해 의약품 수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의약·의료용품 수입시장 동향(HS Code 3001~3006 기준)

 

  ㅇ 최근 3년간 에티오피아의 의약·의료용품 수입은 대폭적인 성장을 기록한 가운데, 특히 2015년에는 전년대비 61%가 증가하는 등, 뚜렷한 성장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남.                  

 

연도

수입액(US$)

전년대비 증가율(%)

전체 수입시장내 비중

2014

372,580,011

2.53%

2015

600,024,207

61.0%

3.69%

2016

660,750,642

10.0%

3.93%

자료원: 에티오피아 국세관세청(Ethiopia Revenue and Customs Authority)

 

    - 2016년 기준으로 수입액은 6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전체 수입시장(2016년 기준 총 수입액은 164억 달러)에서도 의약·의료용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4%에 육박함.

 

  ㅇ 국가별 수입시장 점유율에서는 인도가 2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뒤를 이어 의약특허를 다수 보유한 네덜란드, 이탈리아, 벨기에 등 유럽 국가들과 수입규모 상위 10대 국가가 전체 시장의 92%를 차지

        

순위

수입대상국

수입액

수입시장 점유율

1

인도

 131,728,992

19.94%

2

네덜란드

 103,255,474

15.63%

3

이탈리아

 102,938,041

15.58%

4

벨기에

 90,120,218

13.64%

5

미국

 89,844,380

13.6%

6

중국

 37,547,999

5.68%

7

스위스

 19,645,668

2.97%

8

한국

 12,637,072

1.91%

9

독일

 10,981,087

1.66%

10

프랑스

 9,018,015

1.36%

자료원: 에티오피아 국세관세청(Ethiopia Revenue and Customs Authorit)

 

    - 한국은 전체 의약·의료용품 수입 시장에서 2%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최근 3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가격경쟁력에서는 인도와 중국에, 원천 기술을 보유한 유럽 국가들에도 밀리는 것으로 보아 시장의 입지가 다소 애매한 상황으로 분석됨.

 

□ 의약·의료용품 등록 절차

 

  ㅇ 에티오피아에서 외국산 의약· 의료용품을 판매할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에티오피아 식약안전청(FMHACA: Food, Medicine and Health Care Administration and Control Authiority of Ethiopia, http://www.moh.gov.et/fmhcaca)에 제품 등록을 신청해야 함.

    - 에티오피아 의약· 의료용품 제품등록 매뉴얼은 첨부 1 참조

 

  ㅇ 통상 제품등록은 현지 에이전트(바이어, 유통기업, 수입회사 등)을 통해서 진행되며, 제품등록 시 필요한 서류로 현지 에이전트와의 계약서를 요구

 

  ㅇ 주의할 점은 FMHACA에 제품등록 신청 시, 신청에서부터 제품 등록까지 걸리는 기간은 당초 계획보다 지연되기 때문에 넉넉하게 기한을 설정할 필요가 있음.

    - FMHACA의 매뉴얼에 따라 신청서류를 구비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도 그렇지만, 서류 검토에 소요되는 기간은 약 1년 내외로 알려져 있음. 국제인증을 취득하지 않은 제품의 경우에는 FMHACA의 공장실사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품 등록이 더욱 지체되는 상황 발생

    · 국제인증으로는 EU의 GMP, 미국의 FDA 및 WHO PQ 리스트에 포함된 제품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공장실사가 면제되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FMHACA의 공장실사를 거쳐야 하는데, 공장실사 일정이 언제쯤 잡힐지를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임.

 

  ㅇ 제품등록 시 소요되는 비용으로는 GMP, FDA 등 국제인증 보유제품에 대해서는 공장실사가 면제되기 때문에 약 3000달러, 공장실사를 할 경우에는 2만~3만 달러로 추산

    - 또한 각 제품당 등록비용은 500달러이며, 매 5년마다 제품등록 갱신 시에도 비용 소요

 

□ 공공조달 입찰 참여

 

  ㅇ 에티오피아의 의약·의료용품 공급의 80%는 에티오피아 의약품조달원(PFSA: Pharmaceutical Fund and Supply Agency,www.pfsa.gov.et)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에티오피아 국내외 의약·의료용품 공공조달 프로젝트의 입찰도 PFSA에서 모두 담당

    - 에티오피아 의약·의료용품 공공조달 입찰 프로젝트 참여 방법 및 절차는 첨부 2 참조

 

  ㅇ 한편 의약·의료용품 공공조달 프로젝트 입찰시에는 입찰코자 하는 제품이 반드시 에티오피아 식약안전청(FMHACA)에 우선 등록이 돼야 하기 때문에, 우리 기업의 입장에서는 제품 선 등록이라는 절차로 인해 프로젝트에 쉽게 참여하기가 어려운 상황

    - 반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제품 후에는 향후 유사 프로젝트 입찰에 손쉽게 참여할 수 있고, 내수시장(1억 명) 진출 가능성도 엿볼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검토 필요

 

□ 시장진출 기회 및 위협요인

 

  ㅇ 가격에 매우 민감한 시장으로서 민간 시장 보다는 공공조달 시장진출 타깃팅 필요

    - 국민소득이 1000달러도 못미치는 상황에서 민간 시장에서 우리 기업이 중국 및 인도 기업들과 경쟁하기에는 엄연히 한계가 존재

    - 한편, 공공조달 시장 참여 시에도 FMHACA 제품 선 등록 등 까다로운 절차와 장기간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를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됨(특히 민간시장의 경우 L/C 거래가 주를 이루고 있어 제품 등록 후에도 더딘 대금 결재로

인해 더 큰 어려움이 존재).

 

  ㅇ 열악한 물류여건, 통신사정으로 인해 현지 파트너와의 원활한 업무협력에 한계 존재

    - 지부티-에티오피아 간 육로운송 소요시간은 평균 2일이었으나 2017년 10월부터 지부티-아디스아바바간 철도 운행 시 물류비용 및 운송시간에 대한 부담이 크게 줄어들 전망

    - 한편 잦은 통신서비스 장애로 인한 현지 파트너와의 원활한 업무교신 저해는 현재 에티오피아와 거래 중인 우리 기업들에도 큰 애로사항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애로는 쉽게 해결되지 않을 전망

 

  ㅇ 또한 까다롭고 장기간이 소요되는 제품등록 진입장벽으로 인해 초기 진출이 쉽지 않기 때문에 우선적으로는 원료 수출 등으로 진출 가능성 검토 필요

    - 현재 에티오피아에서 생산되는 의약·의료용품의 원료 중 95%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현지 공장에서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 및 포장용기 등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됨.



자료원: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자료 종합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