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소비시장 현황과 시사점

2019-11-06

지난 2018년 중국 소비시장은 지난 역대 최대 규모를 갱신, 전년대비 9.0% 증가한 38조 987억 위안(약 5조 5,251억 달러)을 기록했다. 미중 무역분쟁 등 대내외적 악재 속에서도 국내 수요증가, 소비재 수입관세 인하 등의 효과로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에 따라 중국의 소비재 수입규모도 크게 확대됐다. 2018년 중국의 7대 소비재 수입규모는 전년대비 10.8% 증가한 1조 2,200억 위안을 기록했다. 대표적인 소비재인 승용차 수입의 경우 미국산 자동차 판매가 크게 줄어 감소한 반면, 의료보건용품 및 화장품 수입은 크게 늘었다. 지역별로는 EU로부터의 수입이 38.5%로 1위를 유지했고, 대미 수입 감소에 따라 아세안이 두 번째 수입시장으로 등극해 전체 수입의 11.4%를 차지했다. 이어 미국(11.3%), 일본(10.0%)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는 소비시장 활성화를 주요 경제성장 과제로 설정하고 다양한 소비확대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며 소비확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스마트 상품 소비 촉진, 야간 및 휴일소비 확대, 국경 간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 구체적인 정책을 통해 민간 소비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중국 소비자들의 소득증가와 소비 업그레이드 현상에 따라 소비시장에는 다양한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 첫 번째로 중국인들의 해외 직구가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2018년 온라인 직구 플랫폼을 통한 수입액은 전년대비 26.7% 증가한 1조 9천억 위안을 기록했고, 이용자 규모도 꾸준히 늘어 8,850만 명까지 확대됐다. 이들 중 90后, 95后가 45.2%를 차지해 신세대들이 해외직구 시장 확대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SNS를 활용한 소셜 e커머스 시장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웨이보(微博), 웨이신(微信), 각종 동영상 플랫폼 등을 활용한 소셜 e커머스 시장은 전년 대비 87.4% 증가한 1조 2,625억 위안을 기록, 올해는 2조 위안을 넘어설 전망이다. 아울러 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품질과 가격, 브랜드의 균형을 맞춘 소위 가성비를 강조한 온라인 PB 마켓들이 새로운 소비채널로 인기를 끌고 있다.

 

마지막으로 8억 명이 넘는 소비자가 모바일을 통해 소비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 소비는 중국 소비자들에게 이미 새로운 표준이 됐다.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의 모바일 결제비중도 확대되며 소비의 모바일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소비시장 진출을 위해 우리 기업들은 우선 新소비채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중국 내 해외직구 플랫폼, 소셜 e커머스 채널, 온라인 PB 마켓 등 새롭게 떠오르는 소비채널들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이를 활용한 진출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 주요 소비층들의 모바일 소비가 일상화 되고 있어 모바일에 최적화된 상품소개, 홍보, SNS 연동, 관련 프로모션 활동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동시에 각종 상담회, 전시회는 여전히 주요 한국제품 정보 습득채널로 조사돼 오프라인 교류를 통한 제품 홍보 노력도 함께 기울여야 한다.

 

한편 향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대중 소비재 수출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중국 유통업체와 바이어, 소비자 대상 설문결과, 화장품 외에도 영·유아용품, 식품 등 시장에서 향후 수입확대 의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유아용품의 경우 90后 등 주요 소비계층이 육아기에 들어서면서 관련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또 1인당 의료·보건 관련 지출이 확대되고 있고, 향후 중국 시장에서 의약품과 의료보건기기가 유망할 것이라고 응답한 바이어 비중도 늘어 이와 관련한 품목들의 수출도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우리는 향후 중국 내 소비 트렌드 변화에 주목하는 한편,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품목으로 소비재 수출을 다양화를 통해 중국 소비시장 점유율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