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숙취해소음료 시장동향

2021-05-20

- 중국 음주인구는 약 4억5000만 명, 잠재적 시장가치 높아 -
- 중국의 숙취해소 산업 발전기간은 짧고, 진입단계 -


상품명 및 HS 코드

숙취해소음료(HS code: 220299)

시장동향

최근 중국인들이 건강, 면역증진에 대한 관심 및 소비구조의 변화 등으로 중국의 숙취해소제품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2020년 중국 음료 시장의 매출액은 5,734억 위안이다. 음료제품의 경우 크게 1) 생수 2) 탄산염 3) 주스 4) 차 5) 기능성음료로 구분할 수 있으며 2020년 기준 기능성음료 부문의 매출은 448억 위안으로 전체 음료 시장의 7.8%를 차지하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코로나 영항으로 2020년 중국 기능성음료 시장은 -5.2% 대의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으나 향후 5년간 평균 7.9%의 증가율로 2025년까지 시장 규모는 654억8,000만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수입 동향

2020년 중국의 기능성음료(HS Code 220299기준) 수입액은 약 6억901만 달러로 전년에 비해 5.6% 증가하였으며, 수입된 기능성음료 제품 중 대만산은 1억1,000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한국산이 1억900만 달러, 미국산 1억300만 달러, 일본산 5600만 달러, 태국산 4200만 달러 순위이다.



특히, 한국산 기능성음료 제품은 최근 연속 3년 동안 연평균 28.1%라는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의 음료수입국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입대상국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현재 1위인 대만과의 격차는 별로 크지 않은 상황이다.



경쟁 동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조사자료에 따르면 중국 현지 편의점·한인마트·슈퍼마켓 방문 및 티몰·타오바오·징둥 등 온라인 플랫폼 조회결과 경쟁제품 15개 중 6개는 유리병 포장, 5개는 알리미늄 캔 포장, 3개는 플라스틱 병 포장, 1개는 파우치 포장으로 유통 중이다.



중국 내 유통제품의 경우, 제품 기능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홍보하고 있으며 주로 ‘숙취 해소’, ‘간 보호’, ‘항산화 작용’, ‘두통 완화’ 등의 문구를 사용하여 제품의 숙취해소 기능이 뛰어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일반소비자들의 구매기준으로는 1. 숙취해소 2. 음료의 맛을 중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통구조

기능성음료 제품 유통구조는 대부분 오프라인 매장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소규모 상점(Independent Small Grocers)을 통한 유통비율이 가장 높고 최근 5년 동안 50%대 높은 점유율을 유지해왔고 그 다음으로 슈퍼마켓을 통한 판매다. 아직까지 전자상거래 유통구조의 점유율은 높지 않지만, 오프라인 보다 다양한 제품을 보유하고 있어 제품 간 기능이나 가격을 비교하기가 용이하며 온라인 구매에 친숙한 젊은 층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비중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관세율과 수입인증

주요 숙취해소음료 제품의 HS코드는 220299이며, 현재 한국으로부터 수입 시 4.2%의 수입관세(2021년 기준)와 13%의 증치세가 부과된다. 그리고 한중 FTA 양허 품목 중 하나이고 2021년 MFN세율은 5%, APTA세율은 4.2%, 한중 FTA세율은 24.5%이며 이 중에서 ATPA세율 적용 권장한다. 또한 2034년 한국산 해당 HS코드 제품 수입 시 “0%” 관세 적용한다.



그리고 유의사항으로는 식품참가제, 영양강화제 사용시 유의해야 하며 식품첨가제, 영양강화제 등을 사용할 경우에 반드시 관련 국가 표준에서 허용한 것을 첨가해야 한다.

시사점

중국의 숙취해소음료 시장은 한국에 비해 숙취해소음료에 대한 인지도가 낮으며, 문화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으로 크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매년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주류시장과 높아지는 중국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보았을 때, 중국의 숙취해소음료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중국의 숙취해소음료시장은 진입단계초입이며, 중국 내 숙취해소음료시장 내 높은 점유율을 가진 1위가 없는 상황으로 진입장벽이 높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므로 가격이나 질적으로 경쟁력을 가진 제품이 현재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내 진출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접근성이 높은 편의점, 마트에 진출하는 것이 좋은 시장 개척방법으로 보인다. 한국 내 숙취해소음료의 경우, 소비자와의 접점이 많은 편의점이나 슈퍼에서 파는 경우가 많으며 중국 내 숙취해소제에 대한 인식이 아직 낮은 편이라 가급적 소비자와의 접점이 높은 곳에 진출하면서 인지도를 높이는 편이 좋은 것으로 보인다.



자료: Euromonitor, 한국무역협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티몰, KOTRA 선양 무역관 자료 종합

게시글 이동
이전글 코로나 이후 중국의 가전 유통 트렌드 2021-05-27
다음글 고속 성장하는 중국 웹툰 시장 2021-05-20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