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임플란트 시장동향

2021-09-03

- 중국 임플란트 시장 전망 양호-
- 한국, 중국 임플란트 주요 수입국 중 선두 -

상품명 및 HS Code

시장 동향 및 규모

중국의 경제발전과 1인당 가처분소득 증가 및 고령화에 따라 치아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도가 높아져 치과 의료서비스 시장이 계속 확장하는 추세이다.  이에 발맞추어 치과 기구시장도 급성장하기 시작,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치아 교정과 임플란트의 평균 증가율은 각각 35% 및 24% 로 치과기구 시장에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치과 의료서비스 분야에서 임플란트는 치아 결핍 문제에 대한 가장 좋은 회복 방식으로 여겨진다. 국민의 소비 능력 향상, 치과의사 공급 증가 및 고령화 수요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중국 임플란트 수요량이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쳰잔(前瞻)은 2012년부터 임플란트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고 임플란트 개수가 18.3만 개에서 2020년에 380만 개로 21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020년까지 진행했던 7차 인구센서스 데이터에 중국 60세이상 인구수가 2.6억명이 넘어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고령화 심화로 치아 결핍 인구 비율이 늘어나 임플란트 수요량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중국 내 임플란트 시장 침투율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스트라우만(Straumann)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선진국 임플란트 침투율은 일반적으로 100-200개/만 명, 침투율이 가장 높은 한국과 이스라엘이 600개/만 명을 기록했으나 중국은 2020년 기준, 25개/만 명으로 많이 낮은 침투율로 나왔다.

중국 임플란트 시장 침투율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소 중 전문의사 부족이 주요 원인 중의 하나다. 중국은 100만 명당 배치된 치과의사가 137명 밖에 안 됐으나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은 100만 명당 500~1500명의 치과의사가 배치된다. 임플란트 자격을 갖추는 의사도 치과의사 중의 11%만 치지는 상황이다. 이에 비해 한국이 임플란트 침투율이 가장 높은 것은 국내 치과의사의 80%가 임플란트 자격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임플란트 생산업체들과 치과의사협회의 협업을 통해 중국 내 학술 보급 및 의사 교육을 강화시켜 더 많은 치과의사가 임플란트 자격을 얻을 수 있고 중국 임플란트 시장의 발전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태평양 증권 연구보고에 따르면, 진료비 1만 위안/개 기준, 중국에서 35~54세의 임플란트 침투율이 5%~10%, 55~64세의 임플란트 침투율이 1%~2%, 65세 이상(65세 포함)의 임플란트 침투율이 1%~2%를 적용하면 임플란트의 잠재 시장규모는 1,500억 위안에서 3,000억 위안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 동향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도 불구하고 중국 임플란트 수입액은 2019년 약 3억7695만 달러에서 2020년 4억 429만 달러로 7.3%를 증가했고 2021년 1월~5월 기간에도 상승하는 추세를 이어가며 전년 동기대비 142.5%를 증가한 2억 4684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19년, ‘20년에 스웨덴, 독일, 이스라엘, 스페인 등 국가의 수입증감률이 마이너스 수치를 기록했으나 한국과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2021년에도 여전히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1년 1월~5월 기준, 중국은 일본에 대한 임플란트 수입증가율이 233.4%로 1위를 차지했으나,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일본 수입액의 2배에 육박했다.


경쟁 동향

중국 내 임플란트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을 보면 90%이상 수입 브랜드로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유럽 브랜드인 노벨(Nobel), 스트라우만(Straumann)이 2000년대 초반에 중국 시장에 진출했고 2가지 브랜드만으로도 시장 점유율이 32%를 기록했다. 유럽은 다른 지역보다 임플란트를 개발하기에 빠르고 많은 임상실험 데이터를 보유하여 중국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높다. 그러나, 대부분 브랜드의 임플란트 단가가 9,500 위안 이상으로 주요 중국 고급품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가성비가 높아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한국 임플란트는 개당 6,500~9,000 위안으로 50%이상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 로컬 브랜드가 늦게 출발해 시장 점유율이 많이 낮지만 2020년까지 15개 업체가 임플란트 연구생산의 자격을 취득했다. 베이징 BLB(莱頓), 장쑤성 TRAUSIM(創英), 쓰촨성 HUASHI(華西), 산동성 WEGO(威高) 등 중국 주요 로컬 브랜드를 이루며 단가가 4,000~6,000 위안을 기록했다.


유통 구조

임플란트 시술은 자격을 보유하는 병원에서 전문적인 의사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시술임으로 임플란트 주요 판매 경로는 중국 각 지역 공립병원, 사립병원, 전문치과병원 등이 있다. 중국에 임플란트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주로 대리상을 통해 병원에 유통된다. 생산업체가 직접 병원에 판매 및 납품할 경우(공장직영)은 생산업체의 판매원가가 크게 늘어나 직영방식의 비중이 크지 않다.


관세율 및 신고 서류

2021년 임플란트(HS Code:9021.29) MFN 세율은 2%이고 일반 세율은 17%, 한중 FTA 협정 세율은 2019년부터 면제되었다. 통관 신고하기 전에 제품 품명, 브랜드 유형, 수출혜택, 브랜드명(중문 포함), 재질, 모델, 의료기기등록번호(보유時), GTIN,CAS 등 서류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


시사점

중국 로컬 임플란트 브랜드는 한국 임플란트에 비해 가성비가 뛰어나지 않으나 업체들이 지속적으로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면서 단가를 인하시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현재 유럽 업체는 중국 공립 병원 및 인지도가 높은 사립 병원에 공급하고, 한국 업체는 1선 도시의 사립 병원을 주요 바이어로 수출하고 있고 있으며 중국 로컬 업체는 치열한 경쟁을 피하기 위해 2, 3선 도시의 병원을 타겟으로 하여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시장 점유율 확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국 업체는 중국 임플란트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소비요인중 하나인 가성비를 유지하면서 중국 2, 3선 도시에 진출 준비하며 중국 임플란트 전문의사가 부족하여 제품 수출 외에, 향후 의료기술과 의사 수출을 병행하는 것도 좋은 수출 전략이 될 것이라는 견해도 존재한다.

2021년초에 중국인민대회 대표 이소리(李小莉) 대표가 <임플란트 재료비 규범화 및 치료비, 서비스비를 의료보험 청구 의견>을 제출했다. 이소리 대표는 “건강한 중국 2030계획”의 실현과 국민의 구강건강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국가에서 관련 규범을 제정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첫 번째, 임플란트 관련 비용 표준화,  두 번째, 임플란트 품질, 전문의사 수준에 관한 감독 및 관리 시스템 마련, 그리고, 생산연구업체에게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 강화, 마지막으로 임플란트를 의료보험의 청구 항목에 추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소리 대표의 의견을 실행하게 되면 중국 임플란트 수요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쳰잔(前瞻), 태평양 증권(太平洋證券), 한국무역협회, 화징산업연구원(華經産業硏究院), kelete(開立特口腔), 미가(美佳), 중국의료구매(中國醫采罔), 중국 자유무역국 서비스(中國自由貿易區服务),  KOTRA 하얼빈무역관 자료 종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