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주택 인테리어 시장

2022-03-15

맞춤형 인테리어 수요 증가와 인테리어 종합 솔루션 업체 등장
중국 주택 인테리어 시장은 독과점 시장보다는 ‘완전경쟁시장’에 가까워
친환경/프리미엄 인테리어 자재, 기업 평판, 논스톱 서비스는 현재 트렌드



시장현황

1998년 중국이 주택시장을 대대적으로 시장화하면서 2020년까지 중국의 부동산 산업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기존에 정부 및 조직 차원에서 주택을 실물 분배하던 것을 중단하고 주택을 상품화하고 거래할 수 있게 하자 주택 개혁초기였던 1980년 불과 1억 평방미터였던 연평균 주택건설 면적은 1999년 5억 평방미터로 5배 성장하였다.


주택개혁에 따른 건설 붐으로 부동산개발업, 건설업, 임대업, 인테리어업 등 중국의 부동산 산업도 비약적으로 성장해왔다. 이중 중국의 주택 인테리어 시장규모는 2012년 15,157위안에서 2021년 28,227위안으로 86%성장했다. 2020년 중국의 주택 인테리어 시장 규모는 26,163억 위안(한화 약 492조 원)으로 전년대비 12.4% 성장했다. ‘2021년 중국 주택 인테리어 산업 연구보고’에 따르면 2025년이 되면 시장 규모가 37,817억 위안(한화 약 712조 원)까지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중국 주택 인테리어 시장은 아래와 같은 발전단계를 거쳐왔다.



인테리어 업체현황

중국건축장식협회 통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중국 건축인테리어 업체 수는 약 10만 6,000개사로 10년 연속 감소세에 있다. 또한 중국의 주택 인테리어 시장은 독과점 시장보다는 ‘완전경쟁시장’에 가깝다. 연매출액 기준 가장 큰 업체도 50억 위안을 넘기지 못하며 이는 전체 시장의 1%에도 못 미친다. 이는 근본적으로 중국의 넓은 국토에 기인하나 또 한편으로는 현재 중국 주택 인테리어 시장에 통일된 인테리어 표준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실제 관련 조사자료를 살펴보면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형 인테리어 업체’ 수가 전체의 60-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을 돌아다니며 수주하는 업체 비중은 20-30%, 프랜차이즈형 인테리어 업체의 비중은 10%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저장성 항저우(杭州)시의 경우 셩두(圣都), 중보어(中博), 밍핀(铭品) 세 업체가 전체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주택 인테리어 시장 소비분석  

(1) 연령분포 및 인테리어 동기

중국 리서치 전문기관 iResearch에 따르면 중국 주택 인테리어 시장의 주요 소비연령대는 26-45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중국 주택 인테리어 소비자 중 26-35세가 36.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36-45세가 31.2%로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뒤로 46-55세(19.4%), 56세 이상(11.1%), 25세 이하(1.5%)가 차지하며, 전체적으로는 젊을수록 인테리어 소비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소비자의 67.9%에 달하는 26-45세를 대상으로 인테리어 동기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1위는 주택이 너무 낡아서(22.8%), 2위는 코로나19 이후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싶어서(18.6%), 3위는 미적기준의 변화(17.5%), 4위는 임대주택 환경 개선(14.1%), 5위는 자녀교육에 적합한 거주환경 제공(12.1%), 6위 기타(14.9%) 순이었다.

(2)  인테리어 진행방식

중국의 인테리어 방식은 크게 턴키 방식(인테리어 업체에 일임), 반셀프 방식, 완전셀프 방식으로 나뉘어져 있다. 턴키 방식으로 진행할 시 소비자는 전체적인 인테리어 콘셉트와 주자재만을 결정하고 그 외 설계, 견적, 시공, 일부 가구 선정 등은 모두 업체에 맡기게 된다. 턴키 방식은 현재 대도시 소비자가 가장 많이 선택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시간이 절약되고 품이 덜 드나 비용이 비싸고 인테리어를 맞춤형으로 진행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셀프 방식에서 소비자는 인테리어 콘셉트와 주자재 외에도 부자재, 가구 등을 주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소비자가 보다 주도적으로 인테리어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상대적으로 불투명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반셀프 방식은 대도시와 중소도시를 포함한 중국 전역에서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다.

완전셀프 방식은 소비자가 시공을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를 담당하게 된다.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고 인테리어를 주도적으로 할 수 있으나 시간과 품이 많이 들고 건축자재, 시공방식, 원가구조 등 인테리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요구된다. 현재 중국에서 가장 비중이 작은 인테리어 방식이나 젊은층을 중심으로 그 비중이 점차 커져가는 추세이다.

(3)  인테리어 진행 시 주요 고려 요인

현재 중국 주택 인테리어 소비자의 약 70%가 26-45세로 젊은층에 속한다. 소비자 전체와 이들 젊은층을 나눠 인테리어 진행 시 주요 고려 요인을 분석해본 결과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우선 소비자 전체 기준 인테리어 시 주요 고려 요인은 전문성(41.4%), 위탁에 따른 편리함(37.0%), 가성비(35.7%), 인테리어 콘셉트의 다양성(30.7%), 맞춤형 인테리어(29.8%) 순이었다. 젊은 소비자의 주요 고려 요인은 위탁에 따른 편리함(39.5%), 인테리어 컨셉의 다양성(38.5%), 전문성(33.9%), 맞춤형 인테리어(31.2%), 가성비(29.4%)였다.

전체적으로 소비자들은 위탁에 따른 편리함과 맞춤형 인테리어를 중요시했고 젊은 소비자들(26-45세 소비자)은 특히 위탁에 따른 편리함과 인테리어 콘셉트의 다양성을 중요시 여겼다.


(4) 인테리어 업체 선정 시 주요 고려 요인

중국 소비자가 인테리어 업체 선정 시 고려하는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자재 질(39.7%), A/S와 서비스 품질(38.5%), 업체의 지명도 및 평가(37.4%), 가성비(37%), 완성도(36.9%), 맞춤형 인테리어 역량(31%), 인테리어 컨셉의 다양성(30.7%), 시공 진행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및 관리서비스(28.1%), 인테리어 근로자에 대한 관리역량(26.8%), 시공기간(24.4%) 순이었다. 소비자 전체나 젊은 소비자나 모두 자재 질, A/S와 서비스 품질, 업체의 지명도 및 평가를 가장 중요시 여겼다. 

다만 오히려 젊은 소비자들이 가성비보다 인테리어 품질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소비자들이 맞춤형 인테리어 역량에 대해 더 중요시 여길 것으로 예상했으나 조사 결과 소비자 전체와 동일한 31%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이 인테리어 업체 선정 시 가장 덜 중요하게 여기는 요인으로는 시공기간, 인테리어 근로자에 대한 관리역량, 시공 진행에 따른 피드백 제공 등이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프리미엄·친환경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관심은 이미 상수가 되었다. 모든 소비자가 연령과 관계없이 인테리어 자재와 서비스 품질을 가장 중요시 여겼다.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는 주요 프리미엄/친환경 인테리어 자재 브랜드와 제품은 아래와 같다.



시사점 및 향후 전망

이제 중국 주택 인테리어 시장에서 저가전략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이제 중국 소비자들은 인테리어 품질과 기업 평판을 가장 중요시 여긴다. 특히 인테리어 자재 질, A/S 및 서비스 품질, 업체의 지명도 등은 모든 소비자가 가장 중요시 여기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중국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친환경 건축자재 시장과도 맥을 같이 한다. 현재 많은 중국들이 새집 또는 새사무실의 포름알데히드 성분을 걱정한다. 회사의 경우 인테리어 후 직원이 포름알데히드 성분 검출을 이유로 출근을 거부하는 사례도 심심치 않게 발견될 정도이다. 따라서 친환경, 프리미엄 인테리어 자재가 영업의 중요 포인트로 작용할 것이다.

한편 인테리어 콘셉트 선정, 자재 선정, 시공, 검수, A/S에 이르는 논스톱 서비스 역시 현재 중국 주택 인테리어 시장의 트렌드이다. 위탁에 따른 편리함은 소비자 전체가 인테리어 시 두 번째로 중요시 여기는 요인이자 젊은 소비자가 가장 중요시 여기는 요인이다. 이때 소비자들이 업체 선정의 중요 근거로 삼는 것이 기업의 평판 및 지명도이다. 업체의 평판이나 전문성이 소비자들의 인테리어 업체 선정 및 인테리어 고려 요인의 가장 중요한 항목인 만큼 따중덴핑이나 메이퇀과 같은 업체평가플랫폼을 통한 기업평가관리 역시 매우 중요해졌다.

이는 현재 중국 소비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인 디지털화와 고객경험의 중요성과도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부분이다. 동이르셩의 쉬졘안 부총재에 따르면 중국 주택 인테리어의 향후 트렌드는 '디지털 라이프'와 '스마트 리빙'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향후 중국 인테리어 산업은 전단계에 걸쳐 집 공간 전반을 인터넷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스마트홈이 중요한 키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 KOTRA 다롄 무역관 자료 종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