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폴리에틸렌 시장 동향

2022-05-17

중국 폴리에틸렌 생산량 증가로 수입 증가율 둔화 예상
한국, 중국 폴리에틸렌 주요 수입국 중 선두


상품명 및 HS Code


폴리에틸렌(이하 ‘PE’로 약칭)은 다기능성과 간단한 구조의 특징으로 농업, 전자, 자동차 및 일용품 등 업종에서 다양한 용도로 적용되고 있다. PE는 크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3대 분류로 구분할 수 있다. PE는 5대 합성수지 중의 하나이며, 현재 중국에서 합성수지 중 가장 많이 생산되고 수입하는 품목이다. 2021년 중국 국내 PE의 생산능력을 확장하여 생산량도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다. 최근 2년간 컨테이너 부족,해운비 인상 등 원인으로 인하여 2021년 중국 PE의 수입량이 2020년 대비 대폭 감소해 2021년 연간 PE 수입 의존도가 40% 아래로 떨어졌다.



시장동향

중국은 세계 최대 PE 소비국으로 전 세계 PE 소비량의 30%를 차지한다. 중국 PE 시장은 생산능력 분포와 주요 소비지역 분포의 불균형 특징을 가지고 있다.그 중에서도 화북, 화동, 화남 지역은 수요량이 많은 지역이며 2020년보다 2021년 화북과 화동 지역의 생산량 비중은 1% 증가했으나 여전히 다른 지역의 수입에 의존해야 자체 수요량을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동북 및 서북 지역은 토지 자원이 광활하여 다수의 기업이 이 지역에 공장을 설립한다. 자체 수요량을 만족키는 것 외에, 다른 지역으로 제품을 수출할 여유도 가지고 있다.


화북, 화동, 화남 지역은 PE의 주요 수요 지역이자 집중지역이자 PE 무역의 순유입 지역이다. SUMIBUY의 실시간 거래량 데이터에 따르면 상해, 절강성 및 강소성이 거래량 1-3위를 차지했으며 화남에 위치한 광동성, 화동에 있는 산동성, 복건성, 안휘성 등 지역은 PE 주요 수요와 거래 지역이다.


최근 몇 년간 중국의 PE 생산량 및 표관 소비량*(Apparent Consumption)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1년 470만 톤의 생산능력을 확장하고 2020년보다 생산량이 약 14.6% 증가한 총 2,328만 톤으로 나타났다. 2022년 전년보다 생산설비 증설 수량이 감소 예정이나 365만 톤을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표관 소비량(Apparent Consumption)=수입량-수출량+생산량



증설 설비 종류가 다르고 기업이 배산하는 제품 모델도 다르기 때문에 품목별의 생산량 변화는 차이가 있다. 2021년 LDPE 총 생산량은 2020년을 대비하여 1.51%를 감소하였다. 단일한 설비에서 LLDE와 HDPE의 생산을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어 2021년 HDPE 생산 설비의 증설을 통하여 2020년보다 LLDPE의 총 생산량은 22.51%, HDPE도 15.90%가 증가했다.

중국 PE 수입 및 경쟁동향

중국 자체 PE의 생산만으로는 국내 소비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워짐에 따라 수입량은 전반적으로 두자릿 수의 수입 의존도가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중국 PE 수입량은 1,853.4만 톤으로 수입 의존도가 50%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그러나 중국 내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최근 몇 년간 컨테이너 공급 부족, 해운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2021년 중국 PE의 수입량은 2020년 대비 394만 톤 감소해 2014년 이후 처음으로 수입 의존도가 40% 아래로 떨어졌다.


SUMIBUY 데이터에 따르면 기타 PE 제품보다 HDPE의 수입량이 약 28.69%로 가장 많이 떨어졌고 LLDPE가 16.60%, LDPE가 9.7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거래 형태별 PE 수입량 통계에 의하면 2020년 일반무역이 1,595만 톤의 수입량, 86.1%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를 통하여 국내 수요를 만족시키는 목적으로 수입한 것을 알 수 있다. 수입가공무역(进料加工贸易) 및 중계무역(转口货物)이 143만 톤, 77만 톤으로 2, 3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주요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UAE 및 한국, 싱가포르 등 국가에서 PE를 수입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및 아랍에미리트(UAE) 3개국의 제품은 총 수입량의 43%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2021년 중국 PE의 총 수입금액은 4,320,083천 달러이며 對한국의 수입액이 267,033천 달러로 6.2%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對한국의 수입액은 2018년부터 하향추세를 나타나고 있다.


중국 2021년 코로나19가 안정화되면서 PE 다운 스트림의 수요량이 회복되고 업스트림의 원자료 가격 상승 등 원인으로 인하여 PE 가격 전반적으로 올라오는 추세를 나타냈다. 룽중쯔쉰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4월 15일~22일 중국 내 PE 시장가격은 CNY 50~200위안을 인상하였으며 품목 및 용도별로 가격대가 CNY 8,530~12,350위안을 기록했다.

중국 국산 PE가 수입산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지 않기 때문에 수입상이 저가의 해외제품에 대해 발굴 및 수입할 의향이 낮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2022년 중국 PE 생산설비를 증설하여 생산량이 대폭 증가할 전망이며 2023년 이후 PE 수입의 의존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PE 산업체인

화경산업연구원 통계에 따르면 필름은 폴리에틸렌의 최대 소비 분야로, 2021년 작년 대비 다소 감소했지만 50%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중국 전자·의료·식품·택배 등 업계의 발전에 따라 필름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관세율 및 신고 서류

2021년 폴리에틸렌(HS Code:3901.10) MFN 세율은 6.5%이고 일반 세율은 45%, 한중 FTA 협정 세율 적용 시 5.9%로 수입 가능하다. 통관 신고하기 전에 제품 품명, 외관(형태, 투명도, 색상 등)과 브랜드명(중문 포함, 없을 경우 “무”로 표시), 모델, 제조사 및 원사지 증명서 등 서류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



시사점

원자재 다양화 및 중국 내 PE 설비 증설에 따라 국내 기업 간의 경쟁 심화로 이윤이 축소되고 생산능력도 과잉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중동 지역이나 미국의 생산량 대폭 확장으로 인하여 수입 제품의 경쟁도 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중국 수입상들이 우수 및 저가의 해외제품에 대해 발굴할 의향이 낮아지지 않아 보인다. 중국 시장 진입하거나 확장하고 싶은 한국 업체들이 중소재선 사이트(www.21cp.com), 91재생 앱 등을 활용하여 회사와 제품 정보를 등록하고 수입상을 발굴할 수 있다. 특히 수요량이 많은 화북, 화동 및 화남 등 지역의 수입상을 중점적으로 소통하면 한다.







자료: SUMIBUY, 중소재선(中塑在线), 쳰전(前瞻), 국가통계국, 화경산업연구원, 중국석유화공연합회, 룽중쯔쉰(隆众资讯), 중국세관, 화경산업연구원, 한국무역협회, 원창력문서(原创力文档), 중국 자유무역국 서비스, KOTRA 하얼빈무역관 종합 정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