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탄소중립 추진하며 내수 중심 성장…우리기업 대응해야"

2022-09-13

"중국, 탄소중립 추진하며 내수 중심 성장…우리기업 대응해야"
"친환경 원료 사용한 고급 소비재 개발해야"…한은 보고서




중국이 '2060년 탄소중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내수 중심 성장구조로 전환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우리나라 기업들이 소비재와 최종재 수출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은행 중국경제팀은 11일 간행물 해외경제 포커스에 실린 '중국 탄소중립 정책 현황 및 공해방지투자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에서 "지난해 말 중국 전력난이 국내 요소수 품귀 사태로 이어졌듯 중국의 탄소 중립도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중국 정부는 2020년 9월 유엔 총회에서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으며, 이후 석탄을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는 등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탄소중립 정책 추진에 따라 공해방지투자액 비중이 1%포인트 오르면 산업구조지수는 약 0.09%포인트 상승한다. 이 지수가 상승할수록 경제구조 내 도소매업이나 통신업, 금융업과 같은 3차산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진다는 뜻이다. 이렇게 중국경제의 서비스화가 촉진되면 중국의 상품 수입구조도 빠르게 변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보고서 분석을 보면 중국경제가 3차산업 비중을 확대해 내수 중심 성장구조로 전환하면서 전체 수입 가운데 소비재 비중은 2011년 6.5%에서 2021년 9.6%로 증가했다. 또 지난 10년간 중국의 소비재 수입 증가율은 연평균 8.9%를 기록하며 5.7%인 중간재 증가율을 웃도는 변화를 보였다.

보고서는 "이런 변화에 대응해 우리나라는 소비재 등 최종재의 대중 수출 비중을 확대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중국의 친환경 소비 지원 정책을 고려해 친환경 원료를 사용한 고급 소비재 개발로 대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탄소중립 정책으로 전기차용 배터리 제조에 필수인 수산화리튬 등 일부 중국산 수입품의 가격이 오르거나 수급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보고서는 "전기차용 배터리에 사용되는 광물의 수입선을 다원화해야 한다"면서 "특히 태양광 제품의 중국 수입 의존도가 90%를 상회하고 있어 수급 차질에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제공]
게시글 이동
이전글 중국 떠나는 대만기업들... 동남아 등지로 이전 2022-09-13
다음글 중국 변속기 시장동향 2022-09-1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