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칼슘제 시장 전망

2023-03-21

중국인에 칼슘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칼슘제 종류 다양해 소비자 선택에 어려움 존재

중국에서는 칼슘 결핍 현상이 눈에 많이 띈다. 중국 영양소 섭취량 참고 기준에서는 성인은 하루 평균 800㎎의 칼슘, 그중 50세 이상은 1000~1200㎎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국민의 영양 및 건강 상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사람의 하루 평균 칼슘 섭취량은 388.8㎎에 불과하다. 어린이의 40%, 중장년층의 60%가 칼슘이 부족하며 칼슘 보충이 필요한 인구가 수억 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보건의료에 지출하는 금액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인다. 2013년부터 중국인의 1인당 보건의료 지출 금액은 2020년을 제외하고 10% 이상의 증가율을 유지했다. 1인당 연간 칼슘제 구매에 200위안을 소비한다고 가정하면 노인과 어린이만 대상으로 한 칼슘제 시장 규모가 수백억 위안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中 칼슘 섭취가 시급한 시대

중국의 대규모 국가 역학 조사 및 연구에 따르면 중국인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12.4%이고 관련 환자수는 1억 7,000만 명을 초과했으며 매년 약 700만 명의 골다공증 환자가 새로 생기고 있다. 또한, 2021년 말 기준 중국의 60세 이상 노인 인구가 2억 6,7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8.9%를 차지했으며 2035년경에는 4억 명을 돌파해 전체 인구의 30%를 넘는 심각한(重度) 노령화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의 헤이룽장성, 길림성, 야오닝성, 산둥성, 강서성 등 12개 성이 이미 노령화 중간 단계에 돌입했다.

질병, 인구 노령화 심화는 칼슘제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킨다. 이외에도 칼슘을 보충해야 한다는 사람들의 인식 변화로 칼슘제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많은 소비자들이 칼슘 섭취의 중요성을 인식함에 따라 칼슘 보충은 선택 소비에서 필수 소비로 전환되었다. iResearch 설문조사에 따르면 35세 이상의 사람들 중 90% 이상이 뼈, 관절, 근육 건강에 관심이 있으며 34세 이하의 관심도도 85% 이상이었다. 뼈 건강을 위해 70%가 영양제를 섭취하는 방식을 선택했고 복합 기능성으로 제작된 칼슘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요인으로 중국 칼슘제 시장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2021년 중국 칼슘제 시장 규모는 2017년의 214억 4,500만 위안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고 2026년에는 736억 1,600만 위안으로 2021년보다 6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연천하(觀硏天下)에 따르면 중국 칼슘제 산업의 지역별 시장 규모는 지역 경제, 노령화 인구 및 어린이 인구와 정비례 관계에 있으며 경제가 가장 발달한 화동(華東)지역의 시장 점유율이 34.51%로 1위, 화중(華中)과 화남(華南)이 각 15.10%, 14.31%의 점유율로 2위와 3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 기능성 칼슘제 선호

<2022 영양 및 건강 트렌드 백서>에 따르면 칼슘에 비타민D, 비타민 K를 첨가한 제품의 2022년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52% 늘었으며 칼슘에 DHA를 첨가한 제품의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71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쉽게 복용할 수 있는 미니 정제, 드링크제 및 젤리형 칼슘제의 판매액 증가율도 눈에 띄게 증가해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제품 가격과 브랜드 영향력 외 복합 기능성 성분 함유 여부와 제품 맛 등도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현재 중국 시장에 중국산과 수입산 칼슘제 종류는 400개가 넘는다. MAIGOO 사이트는 2023년 칼슘제 브랜드 TOP 10을 발표했는데, 그중 3개가 미국 브랜드로 Caltrate가 1위를 차지했다. 호주 브랜드 1개, 중국 브랜드 6개, 헤이룽장성 의약 대표기업인 하야오그룹(HPGC) 소속 브랜드 3개가 Top 10에 올랐다.


많은 브랜드 중에서 어떻게 두각을 나타내며 시장을 차지할 것인가는 모든 기업이 직면한 문제이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발전이 기업과 소비자에게 편리함과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며 쇼트클립, 온라인 생방송 등을 활용해 홍보·판매하는 브랜드가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중국의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정책의 혜택을 받아 해외 건강식품, 특히 아직 등록, 비안되지 않은 제품이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해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일반 식품이나 건강식품 형태로 일반무역을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비해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를 통하면 시간이 짧게 걸리고 시장 진출이 쉽다. 

Roland Berger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중국 1·2·3선 도시 소비자의 40% 이상이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를 통해 해외 건강식품을 구매하고 있으며 소비 규모와 인원 수가 급속한 증가 추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wisse 중국 CEO Suceka는 인터뷰에서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의 발전은 건강기능식품, 뷰티, 육아용품 등에 좋은 판매 경로를 제공했다. Swisse는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를 통해 판매되는 제품 종류가 가장 많다"고 말했다.


시사점

사람들의 건강관리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관리 식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빠른 생활 리듬에 고효율을 추구하는 현대 젊은 사람들은 전통적인 식이요법에 비해 간편하고 빠르며 맛이 좋은 건강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Herbalife 중국 CEO 곽목(郭木)은 "앞으로 중국 건강식품 시장은 모든 연령대와 마케트 레벨에서 큰 기회가 있고 기업은 명확한 포지셔닝을 하고 제품 연구개발, 브랜드 구축, 디지털화 등에 투자를 늘려 소비자의 수요를 깊이 발굴하고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중국 시장 진출에 관심을 가지는 업체들은 건강식품 관련 박람회에 참가해 중국 및 글로벌 제품 트렌드 등을 연구하고 이를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자료: KOTRA 하얼빈 무역관 자료 종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