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정보
Home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KEITI 중국사무소] 중국 주간 환경뉴스 브리핑(CEB) Vol.166 11월 2주차
2023-11-14
자료이용안내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들을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록 자료의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기관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주요내용 : 중국 탈황산업 주요 정책 및 발전 전망, 탈황설비 수출입규모 및 산업동향, 주요 프로젝트, 물산업 및 고체폐기물 등
[KEITI 중국사무소] 중국 주간 환경뉴스브리핑(CEB) Vol.166 11월 2주차
<탈황산업 : 2023년 중국 탈황 분야 주요 정책, 산업 동향 및 향후 발전 전망 분석>
- 중국 탈황 분야 산업 발전 안정기 진입, 향후 주요 과제는 근본적인 환경 개선과 탄소 저감
- 중국 대기오염방지산업 수요 증가 추세, 2025년 시장규모 5,019억 위안(한화 약 94.2조 원) 전망
<(참고자료#1) 중국 연기탈황·탈질설비 수출입 규모>
- 중국 연기탈황설비(HS코드 84213940) 수출량 2018년 최대치, 수출입금액 2019년 대폭 확대
- 코로나19 기간 수출입 규모 관련 공개 데이터 다소 부족, 2023년부터 다시 확대 전망
<(참고자료#2) 탈황·탈질 : 2021년 중국 탈황·탈질 분야 주요 정책·산업동향 및 2022년 발전동향 분석>
- 2021년 전력산업 주요정책 화석에너지 대체, 에너지 소비 및 탄소배출 감소 등 강조
- 비(非)전력 산업 초저배출 개조 추진, 다중오염물질 협동제어, 탄소배출 지속적으로 감소 등
<(참고자료#3) 대기산업 : 세계·중국 탈황·탈질·집진기술 및 탄소포집기술·VOCs 처리기술동향 비교>
- 중국 탈황·탈질·집진 기술·설비 국제 선진 수준 도달, 탄소포집기술 상업화 단계 도달 파악
- 2020년 중국 탈황·탈질 관련 프로젝트 총 870개, 하북성 113개로 전국 13% 비중 차지
<(참고자료#4) 탈황·탈질 : 2020년 중국 탈황·탈질 산업 발전 동향 및 프로젝트 투자규모>
- 2020년 철강산업 탈황·탈질 분야 반건식·건식 탈황 및 SCR 탈질 기술 중점 적용
- 2020년 중국 탈황·탈질 관련 프로젝트 총 870개, 화동지역에 266개로 전체의 31% 차지
<탄소중립 물산업 : 중국 탄소중립 시대 물산업 발전전망 및 주요 문제점 분석>
- 오수처리산업 온실가스 배출비중 상대적으로 적지만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감축 필요
- 물산업, 비록 에너지·공업 등 분야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 적어도 심도 있는 감축 필요
<고체폐기물 : 2023년 중국 고체폐기물 처리 산업동향 및 향후 발전전망 분석>
- 중국 고체폐기물 자원화 이용률 제고 필요, 미국·유럽은 2010년 전후로 산업 성숙기 진입
- 중국 전역 일반 공업 고체폐기물 2016년 37.1억t에서 2019년 44.1억t으로 증가 추세
<공개입찰 발주기업>
화능국제전력주식유한공사 소개
<발주기업 산업동향>
중국 화력발전 산업 소개
<입찰공고>
강소성, 하북성, 광동성 지역 수처리 입찰공고 3개 수록
[출처] [KEITI 중국사무소] 중국 주간 환경뉴스 브리핑(CEB) Vol.166 11월 2주차|작성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이전글 | [중국] 식품 수출 시 주의해야 하는 식품 표시 기준 종합 공고 | 2023-11-14 |
---|---|---|
다음글 | 꾸준히 성장하는 중국 공유경제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라 |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