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스마트 홈 시장에 ‘새봄’ 이 오다

2024-06-25

2025년 중국 스마트 홈 시장 규모 8526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
샤오미, 화웨이 등 중국 주요 핸드폰 업체, 자체 스마트 생태계 구축에 총력

스마트 홈의 정의

스마트 홈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양한 가전제품 및 기기들을 조합해 주거 환경을 스스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든 시스템을 총칭한다. 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며 사용자 편의를 높이고 에너지 절약을 위해 설계된다. 스마트 홈 시스템 하에선 조명, 난방, 에어컨, 보안 시스템, 주방가전 등 다양한 가정용 기기가 인터넷과 연동돼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홈은 특히 스마트 가전(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등), 스마트 조명(전구, 커튼, 스위치 등), 스마트 보안, 스마트 제어 시스템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시장 규모

중국 스마트 홈 산업협회(이하 CSHIA, China Smart Home Industry Alliance)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스마트 홈 시장 규모는 6516억 위안에서 2023년 7157억 위안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 발전으로 2025년 중국 스마트 홈 시장 규모는 8526억 위안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샤오미(Xiaomi) 그룹 기술위원회 부주석 왕빈(王斌)은 ‘서우후과기(搜狐科技)‘ 기자 인터뷰에서 스마트 홈은 새로운 산물이며, 아직은 소비자 적응 단계에 있지만 머지않아 폭발적 수요와 그에 따른 스마트 홈 시장의 성장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관련 정부 정책

2023년 3월 중국 국무원은 '대규모 설비 업데이트 및 소비재 이구환신 행동 방안(推动大规模设备更新和消费品以旧换新行动方案)'을 발표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중국 상무부 등 주요 13개 정부 부처에서 '가구 및 가전 소비 촉진 관련 조치(关于促进家居消费若干措施的通知)'를 발표하는 등 중앙 및 지방 정부가 관련한 지원 정책을 앞다퉈 발표하면서 스마트 홈, 스마트 가전 등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한편 상하이시 정부도 2024년 3월 '상하이시 녹색 스마트 가전 소비 지원 정책(上海市促进绿色智能家电消费补贴政策)'을 발표했다. 거래 플랫폼 통계에 따르면 해당 정책 발표 직후 당일 오후 6시까지 지원 대상이 되는 가전제품 거래 건이 5000건, 매출액이 4500만 위안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상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4~2029년 중국 스마트 가전 시장 보고'에 따르면 2023년 스마트 가전 시장 규모는 69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 또한 2024년 스마트 가전 시장 규모는 7660억 위안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홈 분야① 스마트 조명

중상산업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스마트 조명 출하량은 약 280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46.6% 증가했으며, 2023년은 3379만 대에 달했고, 2024년에는 3957만 대까지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홈 분야② 스마트 보안

가정용 스마트 보안 시장은 최근 몇 년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 주요 제품으로는 스마트 CCTV, 스마트 도어락, 화재 감지기, 누수 감지기 등이 있다. 이들 제품을 통해 가정 내 보안 및 안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중국 중상산업연구원 보고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스마트 보안 시장 규모는 61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으며 2023년 시장 규모는 약 728억 위안으로 2024년 시장 규모는 809억 위안에까지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 가정용 전자 공업 정보 센터(NAIC, 全国家用电器工业信息中心) 조사에 따르면 현재 중국 스마트 보안 시장에서 보안 CCTV, 출입제어(스마트 도어락 등) 비중이 각각 전체 시장의 49%, 16%를 차지한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최근 몇 년간 로봇 청소기, 스마트 가정용 로봇, 스마트 홈 CCTV, 스마트 조명, 스마트 도어락 등의 스마트 홈 제품이 급성장하고 있는데, 토우바오연구원(头豹研究院)이 2022년 중국 소비자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 CCTV, 스마트 조명, 스마트 도어락을 구매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46.2%, 41%, 35.4%에 달했다.


스마트 홈 분야③ 로봇 청소기

중국 가전 정보조사기관인 아오웨이윈왕(이하 AVC, 奥维云网)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중국 로봇 청소기 소매액은 137억 위안 전년 대비 10.5% 증가했으며, 2024년에 147억 위안에까지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2022년 기준 중국 로봇 청소기 시장에서 중국의 Ecovacs(科沃斯), Roborock(石头科技)사가 각각 39.8%, 21.3%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국제 데이터 회사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가 발표한 '스마트 홈 설비 시장 분기 별 보고'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로봇 청소기 시장 출하량은 1852만 대로 매출액은 78억 달러에 달한다. 중국과 미국 기업들이 2023년 글로벌 시장 약 50%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향후 5년간 글로벌 로봇 청소기 시장 출하량은 매년 평균적으로 6%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8년 글로벌 출하량은 25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 홈 주요 플랫폼

현재 중국에서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스마트 홈 플랫폼은 샤오미(Xiaomi)의 ’Mi Home‘, 바이두(Baidu)의 ’DuerOS’, 알리바바(Alibaba)의 ‘AliGenie’, 화웨이(Huawei)의 ‘HiLink’, 하이어(Haier)의 ‘U+’, 징동(JD)의 ‘JingFish’ 등으로 대부분 2013~2017년 사이에 출시됐다. 현재 기준 샤오미 생태계를 제외하고는 국내외 플랫폼들은 협력 계약을 통해 상호 연결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QuestMobile(중국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데이터 분석 기관)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중국 핸드폰 제조업체 중 샤오미와 화웨이사는 기존 보유하고 있는 거대한 사용자 수를 바탕으로 중국 IoT 플랫폼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기준 샤오미와 화웨이의 사용자 수는 각각 6686만 명, 2889만 명으로 여타 제조업체들에 비해 압도적인 규모를 자랑한다.


적용 사례

2020년부터 중국 정부는 노후화된 주택과 아파트 단지 환경을 개선하는 데 스마트 홈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지 주민들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고시키는 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

상하이 구방관리국(区房管局)은 훙커우구에 있는 바오홍(宝鸿)이라는 거주 지역을 대상으로 스마트 홈 기술을 적용한 환경 개선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해당 구역은 스마트 운동장, 스마트 조명, 스마트 주차장, CCTV 보안, 경보 시스템 등이 구축돼 주민 생활의 질을 효과적으로 향상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시사점

스마트 홈 업계 관계자 W 씨는 KOTRA 상하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중국 정부는 내수 진작 및 소비 촉진을 위해 스마트 가전에 대한 소비 장려 지원 정책을 꾸준히 내놓고 있다“라며 이는 스마트 홈 시장 발전에 좋은 시그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은 스마트 홈 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이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현재 각 스마트 홈 브랜드의 운영체제가 통일돼 있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브랜드의 스마트 가전 제품을 구매할 경우 각 브랜드별 서로 다른 앱(운용체계)을 별개로 다운받아야 사용할 수 있다는 번거로움이 있다며, 향후 중국 스마트 홈 시장이 발전하기 위해선 가장 우선 해결해야 할 숙제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스마트 홈 제품의 운용체계 상호연결은 스마트 홈 산업 발전에도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도 관련 대책을 내놓고 있다. 최근 중국 공신부는 '인터넷+스마트 홈 시스템 플랫폼 연결인증 기술 요구(移动互联网+智能家居系统 跨平台接入认证技术要求)'를 승인해 올해 7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규정은 중국 국내 스마트 홈 제품 플랫폼 간 상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 IDC, QuestMobile, CSHIA, NAIC, 펑파이(澎湃新闻), 중상산업연구원, 토우바오연구원, 서우후과기,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