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텅스텐 시장동향

2024-07-02

2023년 중국 텅스텐 부존량과 생산량은 각각 전 세계의 52.3%, 80.8% 비중 차지
공급부족으로 텅스텐 정광 및 텅스텐 제품 가격 급등세

텅스텐은 원자번호 74에 해당하는 희소 금속으로, 금속 중 녹는점(3,400℃)이 가장 높으며 고밀도, 고경도, 높은 전도도, 높은 내마모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텅스텐 합금은 기계 가공, 광산 채굴, 자동차, 항공기, 우주선, 전기 등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경제와 현대 국방 분야에서 재생 및 대체가 불가능한 전략적 금속 자원 중 하나다.  

텅스텐의 중국 HS CODE 분류는 산화턴스텐의 경우 HS CODE 2825.9012로, 탄화텅스텐의 경우 HS CODE 2849.9020로 분류한다.

공급동향

미국지질조사국(USGS)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텅스텐 광석 부존량은 전년 대비 15.8% 증가한 440만 톤이며, 그 중 중국의 텅스텐 광석 부존량은 230만 톤이다. 중국은 전 세계 부존량의 52.3% 비중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텅스텐 보유국이다.



중국은 텅스텐 광석의 최대 생산국이기도 하다. 미국지질조사국(USGS)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텅스텐 광석 생산량은 7만 8000톤으로 전년 대비 2.3% 감소했다. 그 중 중국의 생산량은 6만 3000톤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80.8%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베트남, 러시아, 북한의 생산량은 각각 전 세계 생산량의 4.5%, 2.6%, 2.2%의 비중을 차지했다.



채굴 쿼터

중국은 전략물자 관리와 자원보호를 위해 2002년부터 텅스텐 광석에 대한 지역별 채굴 쿼터제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2023년 중국 텅스텐 광석 채굴 쿼터는 11만 1천 톤(WO3(산화텅스텐) 65% 함유)으로 전년 대비 2천 톤 증가했다. 그러나 지속 증가세를 이어오던 채굴 쿼터는 2024년 1차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중국 자연자원부가 할당한 2024년 1차 텅스텐 광석 채굴쿼터는 6만 2천 톤으로 2023년 1차 대비 1천 톤 감소했다. 이는 광산의 품질 하락, 정부의 엄격해진 환경보호 관리 등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4년 1차 채굴쿼터의 지역별 할당량을 보면, 장시성에 2만 3,670톤으로 가장 많이 할당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후난(15,530톤), 허난(7,050톤), 윈난(3,960톤), 광둥(2,616톤), 광시(2,400톤), 푸젠(2,238톤), 간쑤(1,254톤), 네이멍구(1,200톤), 산시(陕西, 780톤), 신장(582톤), 헤이룽장(340톤), 후베이(180톤), 저장(100톤), 안후이(100톤) 순이다. 

2023년 1차 대비 헤이룽장, 안후이, 저장성 할당량이 각각 800톤, 100톤, 100톤 감소되었으며, 그 외 지역은 전년도 1차와 동일 수준이다.


중국 원자재 시장 조사업체 바인인포(BAIINFO)에 따르면, 2023년 중국 텅스텐 광, 텅스텐 철, APT(파라텅스텐산암모늄, 텅스텐 주요 중간원료) 소비량은 각각 10만 1,995톤, 8,080톤, 9만 4,792톤으로 전년 대비 각각 16%, 35%, 20% 감소했다. 


수출동향

중국은 텅스텐의 최대 수출국이나, 정부에서 허가한 업체만이 수출이 가능하다. 2024-2025년 텅스텐 수출 가능한 업체는 전년 대비 1개 감소한 15개 업체이다. 

2015년부터 텅스텐에 대한 수출쿼터제와 수출관세 철폐로 2016년부터 수출량은 점차 증가세를 보이다 2018년 최고점을 찍은 후 다시 하락세로 전환되었으며, 2023년 산화텅스텐 수출량은 전년 대비 52.3% 감소한 2,699톤으로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탄화텅스텐 수출량은 전년 대비 18.7% 감소한 4,433톤을 기록했다.



2023년 중국 산화텅스텐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 러시아, 이스라엘, 한국, 이탈리아로 상위 5개국으로의 수출비중은 87%를 차지했다. 상위 5개국 중 對러시아 수출량이 전년 대비 536.7% 급증하였으며, 그 외 4개국으로의 수출량은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2023년 對한 산화텅스텐 수출량은 전년 대비 73.9% 감소한 358톤으로 전체 수출량의 13.3%를 차지했다.



2023년 중국 탄화텅스텐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 한국, 독일, 미국, 네덜란드로 상위 5개국으로의 수출비중은 91%를 차지했다. 2023년 對한 탄화텅스텐 수출량은 전년 대비 4.0% 증가한 1,323톤으로 전체 수출량의 29.9%를 차지했다.



한국의 對中 의존도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는 낮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80% 이상을 상회하고 있다. 2022년 산화텅스텐의 대중국 의존도는 82.9%로 전년 대비 9.7%p 감소되었고, 탄화텅스텐의 대중국 의존도는 90.9%로 전년 대비 1.7%p 감소했으나 90%를 상회하고 있다.



가격동향

중국 시장조사업체 WIND와 BAINFO에 따르면, 5월 넷째 주(21~24일) 중국 텅스텐 정광(산화텅스텐 65% 함유)과 APT(파라텅스텐산암모늄, 텅스텐 주요 중간원료) 가격은 각각 톤당 15만 8천 위안, 23만 3천 위안으로 연초 대비 모두 27%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BAINFO에 따르면, 5월 텅스텐 정광(산화텅스텐 65% 함유) 월 평균 가격은 톤당 14만 9,800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18% 상승, 2024년 연 평균 가격은 톤당 12만 8,800위안으로 전년 평균 대비 28% 상승했다. 5월 APT 월 평균 가격은 톤당 22만 600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18% 상승, 2024년 연 평균 가격은 톤당 18만 9,800위안으로 전년 평균 대비 26% 상승했다.

5월 10일부터 30일까지 텅스텐 바 가격은 KG당 372위안으로 2011년 9월(439위안)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5월 넷째 주(21~24일) 텅스텐 파우더 가격은 KG당 348위안으로 2017년 집계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현지 업계는 정부의 채굴 총량 관리 및 환경보호 규제 강화에 따른 공급량 감소를 최근 텅스텐 가격 급등의 주요인으로 분석했다. 태양광 산업 발전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데 반해, 중국 텅스텐 정광 생산량은 2019년의 14만 5천 톤에서 2023년 12만 3천 톤으로 하락했다. 또한, 올 5월부터 중국 텅스텐 주요 생산 기지에서 환경보호 감찰이 실시되면서 공급량에 영향을 미쳤으며 광석 품질 저하, 채굴 난이도 증가, 생산원가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5월 말(28일)에 들어서면서, 급등세를 이어오던 텅스텐 제품 가격이 소폭 하락하기 시작했다. 5월 30일 기준, 텅스텐 정광, APT, 텅스텐 바, 텅스텐 파우더 등 가격은 모두 전 주 대비 하락세를 보였다.



텅스텐 산업의 밸류체인

텅스텐 산업사슬은 업스트림(상류)인 자원 채취, 중류의 제련, 다운스트림(하류)의 가공 단계로 나뉜다. 중류인 제련단계의 주요 제품은 APT(파라텅스텐산암모늄, Ammonium Paratungstate), 산화텅스텐, 등이 포함되며, 가공단계의 주요 제품은 텅스텐 합금, 특수강, 경질합금 등이 포함된다.



전망 및 시사점

중국은 전 세계 텅스텐 공급량의 80% 이상을 통제하고 있다. 또한 텅스텐은 기계, 항공, 자동차, 철강, 전력, 에너지 등 산업용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핵심광물이자 대중 수입의존도가 높은 제품으로 공급망, 가격 등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아울러, 미국의 중국산 텅스텐 품목 관세 인상으로 중국의 대응 조치 및 우리 기업에 대한 영향 모니터링도 중요하다. 지난 5월 14일 미국 무역대표부가 발표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조치에 텅스텐 품목도 포함되는 것으로 파악되며, 중국 관련 업계 관계자는 베이징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은 중국산 텅스텐 품목에 대해 현재 2.8%~25%의 관세를 품목별로 부과하고 있으나, 이를 2025년~2026년에 전체 25%로 통일 인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업스트림 부문인 채굴 단계에서는 중국 국내 광산기업의 기술은 기본적으로 세계 선진적 수준을 대표하고 있으며, 미드스트림 부문의 파우더 제조 단계 관련 기업의 기술은 외국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으나 품질 및 기술력 향상에 힘을 쏟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다운스트림 부문인 가공 단계에서 중국의 고품질 제품 가공 기술은 아직 성숙되지 못해 고성능, 고정밀도의 고급 경질합금은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자료: 국련증권, 중국자연자원부, wind, 바이인포(百川盈孚) 등 KOTRA 베이징무역관 종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