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중국 저가 수출 장기화 우려… 물류애로 이미 심화”

2024-07-30

“중국 저가 수출 장기화 우려… 물류애로 이미 심화” 
무협, ‘중국 저가 수출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발간



중국이 낮은 수준의 단가로 수출을 지속하는 가운데 이러한 상황이 안정된 수출 채산성을 바탕으로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 우리 기업의 대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7월 23일 발간한 ‘중국 저가 수출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달러 기준 수출단가는 2023년 1월부터 올 4월까지 16개월 연속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8월에는 중국의 수출단가가 전년동월비 13.9% 하락하며 통계가 집계된 2000년 이래 월간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년 1~4월에도 수출단가가 전년동기비 10.2% 하락하면서 주요국 대비 하락폭이 컸다. 하지만 같은 기간 수출물량은 8.7% 늘어나 중국의 저가 수출 밀어내기가 더욱 확산되는 양상이다.

일반적으로 수출단가가 하락하면 수출물량은 늘어날 수 있지만 수출 채산성은 악화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중국은 수출단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약세와 낮은 생산자물가를 바탕으로 수출 채산성이 양호한 상황이다. 보고서에서 추산한 올해 1~4월 기준 중국의 수출채산성지수는 107.4로 2017~2021년 평균인 99.8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중국의 전년 동월 대비 생산자물가증가율도 2022년 10월부터 2024년 6월까지 21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보고서는 중국이 안정된 수출 채산성과 저렴한 제조원가를 바탕으로 저가 수출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미 중국의 저가 수출은 우리 수출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의 박리다매식 수출로 컨테이너 해운수출 수요가 공급을 웃돌아 해상운임이 상승하고 선복량 확보가 어려워짐에 따라 우리 기업들의 물류 애로가 심화 중인 상황이다. 

특히 반도체·컴퓨터·무선통신기기 등 항공운송 비중이 높은 5대 IT품목을 제외한 우리 수출의 88.8%는 해상 운송에 의존하고 있어 중국의 저가 수출 확대에 따른 운임 상승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원빈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풍부한 광물 자원 기반의 수직계열화와 거대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중국 기업의 수출단가 인하는 이어질 것”이라며 “우리 기업은 주요국의 대중국 견제 조치 속에서 기회를 탐색하는 한편, 우리가 기술우위를 점하고 있는 프리미엄·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수출 포트폴리오를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무역신문 제공]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