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정보
Home 비즈니스 정보
중국 진출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와 업종 별 최신 시장 동향 분석 및 틈새시장 정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2024년 중국 기업의 해외 진출 성공 사례 분석
2025-01-02
중국 기업 내수시장 수요 부족에 해외 진출 전략 모색
해외 진출 전략의 다양화 및 현지화 전략 수립 필요
유엔(UN, 국제연합 사무국)의 <세계인구전망 2022>에 따르면, 2050년까지 중국 인구는 약 13억 명, 2100년에는 약 8억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노동 인구 감소와 임금 비용 상승으로 인해 중국의 '세계 공장 인건비 이점'이 점차 사라질 것으로 보이며, 기업들은 저임금 국가에 투자해 비용 절감을 모색하며 해외로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 이 외에도 기업의 해외 진출에는 다양한 목적이 있다. 샤광즈쿠(霞光智庫)에 따르면, 기업의 해외 진출 주요 목적은 새로운 시장과 유통 경로(渠道)를 개척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확장하는 것이라고 한다.
<중국 기업 해외 업무 확장 목적>
(단위: %)
[자료: 샤광즈쿠(霞光智庫)]
수급의 관점에서 볼 때, 총인구 감소에 따라 총수요도 감소하면서 기존 중국 시장 규모로는 이전과 같은 수준의 생산 능력을 소화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의 경우, 산업 체인의 업스트림, 미드스트림, 다운스트림으로 세분화된 산업들의 2023년 및 2024년 1분기 가동률은 대부분 2021년 및 2017~2019년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생산 능력의 소비 부진은 다양한 산업에서 주요 모순 중 하나로 꼽히며, 해외 진출은 이러한 모순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많은 중국 기업이 사업 범위를 확장하고 수익을 늘리기 위해 해외 진출을 선택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중국 기업의 해외 진출 현황을 세 가지 주요 산업으로 구분해 살펴보겠다.
크로스보더 이커머스(跨境電商) 산업의 해외 진출 전략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산업의 수출입 총액은 1조2200억 위안(약 240조6000억 원)으로 지난해 대비 10.5% 증가했다. 마케팅 리서치 회사 eMarketer에 따르면, 글로벌 전자상거래 소매의 전체 소매 시장 점유율은 2020년 17.9%에서 2025년 23.6%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산업 수출입 동향>
(단위: 조 위안, %)
[자료: WIND, 중국 해관총서]
중국의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플랫폼이 글로벌 소비자를 끌어들이는 이유는 단순히 글로벌 소비 다운그레이드(消費降級) 추세에 맞춘 것뿐만이 아니라, 강력한 중국 생산 공급망의 이점을 활용하고, 중국 물류 산업과 함께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투(極兔), 순펑(順豐), 중퉁(中通), 위안퉁(圓通), 선퉁(申通), 윈다(韻達) 등의 물류 업체뿐만 아니라, 징둥(京東)과 차이니아오(菜鳥)와 같은 대형 택배 물류 서비스 기업들도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플랫폼 해외진출 동향>
플랫폼 | 비즈니스 모델 | 설립 일시 | 해외영업수익 |
SHEIN | 플랫폼+직영 | 2008년 | 2023년 거래액 400억 달러 (한화 약 56조 원) |
알리익스프레스 (AliExpress) |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B2C 소매 | 2010년 | - |
틱톡숍 (TikTok Shop) | 소셜커머스 | 2021년 | 2023년 매출액 200억 달러 (한화 약 28조 원) |
테무 (Temu) | 일괄 위탁관리 | 2022년 | 2023년 총수입 247억 위안 (한화 약 4조9000억 원) |
[자료: 샤광즈쿠(霞光智庫)]
유럽, 미국, 일본, 한국은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의 주요 해외 진출 목적지로 꼽힌다. 2024년, 이들 지역의 소비자 시장에서는 온라인 소비가 오프라인 소비보다 우세하고, 필수품 소비가 선택적 소비보다 우세한 두 가지 주요 추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속적인 높은 인플레이션 수준은 소비자들이 더욱 이성적인 소비 행동을 보이게 하며, 소비 다운그레이드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앞으로도 소비자는 가성비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소비의 온라인화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모델에서 고품질 제품의 출하를 촉진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산업 체인을 살펴보면, 브랜드 및 물류 창고의 해외 진출이 가장 유망한 분야로 평가되며, 관련 진출 기회는 다음 세 가지로 분석된다.
① 브랜드파워 강화 및 새로운 경로 개척: 해외에 진출한 브랜드의 브랜드파워(品牌力)가 강화되고, 새로운 유통 경로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브랜드에 새로운 성장 포인트를 제공하고 있다.
②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글로벌 확장: 틱톡(TikTok) 및 테무(Temu)와 같은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플랫폼의 출시는 중국 브랜드의 해외 진출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③ 물류 및 해외 창고 서비스의 성장: 크로스보더 이커머스의 급속한 발전은 관련 서비스 지원 산업의 높은 성장을 촉진했으며, 그중에서도 크로스보더 물류 및 해외 창고 서비스가 가장 두드러진 수혜를 누리고 있어 주목할 가치가 있다.
반려동물 관련 산업의 해외진출 전략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중국의 반려동물 제품 수출량은 28만3200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1% 증가했으며, 수출액은 11억81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4% 증가했다.
중국, 유럽, 미국 및 기타 국가의 반려동물 산업 발전 역사를 검토한 결과, 다수콰징(大數跨境,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인터넷 플랫폼)은 중국 반려동물 산업이 주로 위탁 생산 제품 해외 진출(代工產品出海), 자본 해외 진출(資本出海), 유통 경로 해외 진출(渠道出海), 브랜드 해외 진출(品牌出海) 등 네 가지 수출 모델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중국 반려동물 산업은 위탁 생산 제품 해외 진출, 자본 해외 진출 및 유통 경로 해외 진출이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다양한 수출 모델이 공존하는 단계며, 글로벌 시장에서 위탁 생산 역할에서 브랜드 역할로 전환하는 과정에 있다고 평가했다.
위탁 생산 제품 해외 진출 | 해외 수요의 증가에 힘입어 중국의 위탁 생산 기업의 생산 능력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으며, 핵심 경쟁력은 저렴한 원자재 및 인건비로 인한 비용 이점에 있다. 수출 품목은 주로 반려동물 식품이다. |
자본 해외 진출 | 무역 장벽이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중국 반려동물 기업들은 해외 공장 설립 및 해외 브랜드 인수 등의 방식을 통해 해외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
유통 경로 해외 진출 | 해외 이커머스 경로가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중국 반려동물 용품 브랜드는 가성비, 디자인, 스마트화 등의 장점으로 아마존 등의 채널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
브랜드 해외 진출 | 프리나(普瑞納), 로열(皇家) 등 중국 반려동물 브랜드는 글로벌화를 통해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
반려동물 장난감 산업을 예로 들면, 구글 트렌드 데이터는 반려동물 장난감의 글로벌 검색 열기는 2024년 내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한다. 글로벌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2023년 90억 달러에 달했으며, 2032년까지 연간 복합 성장률(CAGR) 6.7%를 기록해 시장 규모는 15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수콰징에 따르면, 반려동물 산업의 규모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 미국의 반려동물 산업 시장 규모에 따르면, 2022년 미국과 중국의 반려동물 산업 시장 규모는 각각 4674억 위안(약 93조 원)과 847억 위안(약 17조 원)이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복합 연간 성장률(CAGR)을 보면, 미국은 8%, 중국은 15%로, 중국의 성장세가 더 높았다. 향후 2023년부터 2027년까지, 미국과 중국의 반려동물 산업 시장 규모는 각각 4%와 10%의 복합 연간 성장률(CAGR)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족 반려동물 소비는 증가하고 있으며, 2018~2027년 중국, 일본, 미국의 가구당 평균 반려동물 소비량은 서로 다른 발전 추세를 보였다.
미국 | 2027년 가구당 평균 반려동물 소비량은 4415위안(약 87만7000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안정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
일본 | 가구당 반려동물 소비량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중국 | 중국의 가구당 평균 반려동물 소비량은 2018년부터 2027년까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7년에는 가구당 269위안(약 5만3000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
<중국 일본 및 미국의 가구당 평균 반려동물 제품 소비량>
(단위: 위안/가구)
[자료: 다수콰징(大数跨境)]
난징의 한 반려동물 제품 제조 기업은 KOTRA 난징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지역은 반려동물 제품의 소비가 원래 많아 주요 진출 목적지가 되고 있으며, 동시에 동남아의 반려동물 산업도 급속한 발전기에 들어서 해외 진출의 중요한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다수콰징에 따르면, 미래의 반려동물 산업은 맞춤형, 녹색화, 의인화(擬人化), 스마트화의 4가지 주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진정 효과를 가진 제품 및 스마트 제품이 더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질 것으로 전망된다.
신에너지차 해외 진출
난징증권연구원(南京證券研究所)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약 1418만 대, 침투율은 16%에 달했다. 그중, 중국 내수 판매량은 841만 대로 전체의 약 59%를 차지했으며, 침투율은 33%로 세계 최대 신에너지차 시장이 됐다. 반면, 유럽의 신에너지차 시장 침투율은 21%, 북미는 9%에 불과했으며, 다른 지역은 이보다 더 낮은 수준을 보였다. 침투율을 기준으로 볼 때, 해외 신에너지차 시장은 여전히 성장할 여지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해외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관세 정책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중국 신에너지차 기업들은 해외 현지 생산 능력 확충을 가속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BYD(比亞迪), 상하이자동차(上汽), 창청(長城), 체리(奇瑞), 지리(吉利), 창안(長安) 등 주요 자동차 기업은 해외 생산 능력 배치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때는 현지 시장 상황에 맞춰야 하며, 소비자가 자동차를 구매할 때 고려하는 주요 요소는 구매 비용과 사용 비용이다. 예를 들어, 영국의 높은 전기 요금으로 인해 전기차(純電車) 충전 비용이 내연기관차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하이브리드 차량이 영국 신에너지차 시장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완성차 수출은 중국 신에너지차의 대표적인 해외 진출 모델로 자리 잡았으며, 최근에는 더 많은 신에너지차 기업들이 공급망의 핵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외 공장 건설을 선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규모의 경제 효과에 따른 비용 절감과 효율성 향상을 위해 '현지 공장 건설 + 브랜드 직영' 해외 진출 모델이 점차 주류로 자리 잡고 있다. 완성차 수출뿐 아니라, 중국 국내 관련 부품 업체들도 기술력과 원가 경쟁력에서 해외 업체를 앞서고 있어, 해외 시장이 제2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국 신에너지차 해외 진출 방식>
해외 진출 방식 | 특징 | 대표 기업 | 장점 | 단점 |
완성차 수출 (제품) | 중국 생산 제조 후 완성차 직접 수출 | 대다수의 자동차 기업은 해외 진출 초기 단계에서 많이 채택 | 자동차 기업 해외 진출 초기 단계 적용, 빠른 해외 진출 가능 | 고율관세 등 무역장벽 |
현지 공장 건설 (산업 체인) | 해외에 생산 공장 건설 | BYD | 현지 정부 및 정책 지원을 받는 국가 및 해외 시장 점유율이 큰 자동차 업체 적용 | 높은 투자원 및 긴 건설 주기 |
투자매수 (자본) | 해외 자동차 브랜드 투자 또는 매수 | 지리 | 유럽과 미국 등 성숙한 시장과 상대적으로 자금이 풍부한 자동차 업체 적용 | 재무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높음 |
브랜드 직영 (브랜드) | 직영 위주의 '직영+' 신소매 모델 | 니오(NIO), 샤오(Xpeng) 등 신세력 자동차 업체 | 브랜드파워 구축에 유리, 신세력 자동차 업체 많이 채택하고 있음 | 재무 부담이 상대적으로 큼 |
[자료: 샤광즈쿠(霞光智庫)]
중국 기업의 해외 진출 현지화 전략 및 사례
중국 기업 브랜드가 해외 시장에 정착하고 융합하기 위해 현지화 전략을 세우는 경우가 있다. 즉, 이러한 전략을 고려하는 브랜드는 해외 진출 시 현지 시장과 인구의 차별화된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며 현지화에 적응해야 한다. 중국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현지화 전략은 다음과 같다.
<현지화 전략 및 기업별 사례>
기업 사례 | |
제품 현지화 | 미쉐빙청(蜜雪冰城)이 동남아 시장에 진출했을 때, 동남아 소비자들은 단맛을 선호하기 때문에 음료의 맛을 중국 내 '설탕 감소' 트렌드와 다르게 조정해 설탕 함량을 30% 증가시켰다. |
생산 현지화 | 메이디(美的) 에어컨은 산업 4.0을 벤치마킹해 태국에 디지털 지능형 녹색 공장을 건설하고, 로봇과 자동화 장비를 적용해 생산, 연구, 판매가 일체화된 해외 기지를 구축했다. |
고용 현지화 |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의 각 산업에는 기본적으로 현지 노동자 고용 비율에 대한 요구 사항이 있다. 예컨대 핀테크 산업은 현지 노동자 비율이 80% 이상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우디에 진출한 많은 기업은 높은 현지 고용 비용을 큰 해결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
마케팅 현지화 | Ulike의 해외 공식 홈페이지는 해외 소비자의 미적 선호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간결함을 기본 원칙으로 해 유쾌하고 즐거운 온라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
유통경로 현지화 | 앤커(Anker)는 월마트, 세븐일레븐과 같은 해외 현지 오프라인 유통망에 진출했으며, 지역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또한, 앤커는 중동의 현지 서점인 Jarir Bookstore에 입점해 오프라인 공간을 활용해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다. |
소비자 현지화 | 위엔치썬린(元氣森林)은 미국 시장에 진출해 중국인 슈퍼마켓부터 Costco까지 입점했으며, 중국인을 겨냥하는 것에서 시작해 아시아인, 나아가 현지 주류 인구를 목표로 하는 '인구 현지화'를 점진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
[자료: 샤광즈쿠(霞光智庫)]
시사점
현재 글로벌 경제 통합의 배경에서 해외 진출은 중국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 기업에게도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전략을 고려하는 것은 해외에 진출하는 기업이 시장 리스크를 분산하고 새로운 성장 포인트를 얻으며 브랜드 인지도와 영향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 소비자들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으므로, 해외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들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중국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가 우리 기업들에게도 참고가 되길 바란다.
자료: eMarketer, WIND, 다수콰징(大数跨境), 샤광즈쿠(霞光智庫), 중국 해관총서, 톈펑증권(天風證券), KOTRA 난징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이전글 | 중국, 쓰레기 침출수 처리 관련 정책 강화와 기술 발전 추진 | 2025-01-07 |
---|---|---|
다음글 | 중국에서 커널형 이어폰 대체재로 부상하는 오픈형 이어폰 | 2025-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