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 동향과 전망

임대근 소속/직책 : 한국외국어대학교/교수 2015-09-16

■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 현황


- 2014년 기준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 전체 규모는 1000억 위안으로 추산됨.
  ◦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21세기 이후 지속적이고 큰 폭으로 성장을 거듭하였음.
  ◦ 2010년 470.84억, 2011년 621.72억, 2012년 759.94억, 2013년 870.85억 규모.
  ◦ 2014년 규모는 2013년 대비 14.84% 성장한 수치임.
  ◦ 전 세계 애니메이션 시장 점유율로는 미국(약 40%), 일본(약 10%), 영국(약 5%), 프랑스(약 3%), 독일(약 3%), 캐나다(약 3%) 등을 뒤이어 7위권을 형성하고 있음.
  ◦ 2000년대 후반과 같은 급성장세가 계속된다면 향후 2~3년 안에는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를 제치고 전 세계 3위 규모로 부상할 것임.

 

- 관련 업계 상황
  ◦ 애니메이션 기업 4600여 개, 전문 종사자 22만 명, 관련 종사자 50여만 명.
  ◦ 연간 생산규모 3000만 위안 이상 기업 24개, 1억 위안 이상 대형 기업 13개.
  ◦ 주요 기업: 아오페이애니메이션(奧飛動漫), 화치앙애니메이션(華强動漫), 텅쉰애니메이션(騰訊動漫), 중난카툰(中南卡通), 쉬안둥미디어(炫動傳播), 타오미애니메이션(淘米動畵), CCTV애니메이션(央視動畫) 등.
  ◦ 주요 지역: 광둥, 상하이, 베이징을 중심으로 주장 삼각지, 창장 삼각지, 환발해 지역에서 발전 중.

 

- 성장 요인
  ◦ 문화산업 육성의 주요 전략 분야로서 국가 및 정부의 적극적 지원.
  ◦ 고속 성장하는 시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거대 자본의 적극적 투입.
  ◦ 애니메이션 기지 건설 등 산업지구 및 클러스터 활성화, 관련 마켓 활성화.
  ◦ 관련 인력 양성 규모의 확대 등에 따른 창의적 신진 인력 배출 가속화.

 

■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 구조


- 애니메이션 산업은 수익 구조를 중심으로 크게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애니메이션, 극장 광고(애니메이션 극장 상영에 따른 광고 수익), 홈비디오 애니메이션, 디지털 배급 애니메이션 등으로 구분됨.

 

- 중국 애니메이션 수익 구조
  ◦ 대략 영화 60%, 방송 25%, 극장광고 2%, 홈비디오 6%, 디지털 배급 7% 정도의 분포를 보임.
  ◦ 영화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 산업의 선도 분야로 지속적으로 관련 업계를 리딩하고 있음. 그러나 시장 점유율은 거의 최대치에 이르러 급속히 확장되기는 어려움.
  ◦ 방송 애니메이션은 3D를 중심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음. 고화질 기술의 발전과 TV 시청 가구의 증가 등에 따라 영화 애니메이션과 경쟁 구도 속에서 성장할 것으로 보임.
  ◦ 홈비디오 애니메이션은 유통 환경의 변화(DVD 등 저장매체 이용 환경의 한계, 불법복제물 유통 등)에 따라 정체를 거듭하다가 점차 점유율이 축소될 것임.
  ◦ 디지털 배급 애니메이션은 인터넷 및 모바일 기기의 확산 등 새로운 플랫폼 환경 구축에 따라 급격히 활성화하고 있음. 특히 중국인터넷방송국(中國網絡電視臺), 텅쉰(騰訊), 서우후(搜狐), 아이치이(愛奇藝), 투더우(土豆), 여우쿠(優酷), 러스(樂視) 등이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을 잇달아 개설, 시장 확장 가능성이 가장 클 것으로 예측됨.

 

- 애니메이션 파생 상품 시장
  ◦ 중국 애니메이션 파생 상품 시장은 2014년 기준 약 380억 위안 규모로 성장하였음.
  ◦ 파생 상품 시장 구조는 주로 완구(51%), 출판(16%), 의류(4%), 기타(29%) 등.
  ◦ 2014년 기준 출판 시장의 발전은 주목할 만함. 실례로 중국 최대, 세계 3위 애니메이션 잡지 󰡔지음만객󰡕(知音漫客)은 월간 발행량이 520만부를 기록.
  ◦ 파생 상품 시장의 양적 성장은 양호하게 지속되고 있으나, 실제로 저가 제품이 다수이고, 질적 측면에서는 한계가 분명한 것으로 보임.

 

■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정책 지원 

- 중국 정부는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 추진에 관한 약간의 의견」(關於推動我國動漫産業發展的若干意見: 2006, 국무원), 「텔레비전 만화영화 방송 관리에 관한 통지」(關於加强電視動畫片播出管理的通知: 2008, 광전총국),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 지원에 관한 약간의 의견」(關於扶持我國動漫産業發展的若干意見: 2008, 문화부), 「애니메이션 기업 인증 관리 방법(시범실시)」(動漫企業認定管理辦法(試行): 2009, 문화부 등) 등 일련의 정책 문건을 통해 지속적으로 애니메이션 산업을 관리해 왔음.

 

- 「12‧5시기 국가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 계획」(“十二五”時期國家動漫産業發展規劃: 2012, 문화부).
  ◦ 애니메이션 산업의 건전하고 신속한 발전의 필요에 따른 조치.
  ◦ 애니메이션 산업 지원 관련 부서의 공통된 인식 기초 마련.
  ◦ 공산당 중앙의 문화개혁 발전 정신을 구체적으로 실천.
  ◦ 애니메이션 강국과 경쟁할 수 있는 역량 강화 목표.
  ◦ 품질 향상, 산업 구조 개선 등을 통해 이윤 모델 창조, 재정 투입, 지적 재산권 보호, 파생 상품 시장 확대 등을 지원.

 

- 「애니메이션 산업 부가가치세와 영업세 정책에 관한 통지」(關於動漫産業增值税和營業稅政策的通知: 2013), 「애니메이션 기업의 애니메이션 개발 생산용품 수입 세수 면제에 관한 임시 규정」(動漫企業進口動漫開發生産用品免徵進口税收的暫行規定: 2011) 등을 공포하여 애니메이션 산업 부가가치세, 영업세 등을 감면하는 지원 정책을 실시 중.

 

■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전망

 

- 전체 산업 규모는 성장하고 있으나 공급 과잉 추세임.
  ◦ 산업 규모와 달리 생산량 기준으로 보면 2010년 기준 일본을 제치고 세계 제1위를 차지하였음.
  ◦ 이로 인해 최근 제작 편수를 조정하려는 경향이 있음. 실례로 2013년 기준 방송 애니메이션은 358편(204,732분)으로 2년 연속 감소하였음. 영화 애니메이션은 2014년 기준 411편(220편 완성)으로 전년 대비 13.4% 감소하였음.
  ◦ 시장 경쟁 격화에 따라 중소 규모 기업의 성장이 한계에 부딪쳤음을 보여줌.
  ◦ 양적 공급 지원에서 질적 수준 제고로 정책 지원 방향 전환에 따른 현상임.

 

- 뉴미디어 기술 발전 가속화에 따른 업종 간 융합 활성화.
  ◦ 인터넷과 모바일을 대표로 하는 뉴미디어 애니메이션이 향후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 성장의 주축이 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
  ◦ 4G 등 인터넷 기술 발전에 따라 애니메이션과 게임 산업 결합 등에 따른 새로운 시장이 급성장 중임. 2014년 기준 애니메이션 게임 시장 규모는 23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배 성장, 2016년 기준 400억 위안 규모로 성장 예상.
  ◦ 이른바 ‘삼망융합’(三網融合), 즉 전신망, 방송망, 인터넷망이 서로 결합하는 환경에서 시나(新浪), 텅쉰, 성다(盛大) 등 대형 인터넷 기업 또한 온라인 만화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애니메이션 산업 또한 상호 결합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

 

■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에의 시사점

 

-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매우 큰 저력을 가진 문화산업 분야임.
  ◦ 중국 애니메이션은 1930년대부터 다양한 전통을 보유하여 왔으나, 사회주의 시기 전통이 단절되었다가 2000년대를 전후로 급속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다른 문화산업 분야와는 달리 자본, 인력, 기술 등의 분야에 있어서 공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분야임.
  ◦ 당정의 지원 및 중점 육성을 위한 전략 분야이기도 함.
  ◦ 탄탄한 내수 시장은 물론 최근 해외 시장 진출에도 성공적임.

 

- 따라서 한국과의 산업 교환 요인이 크지 않은 상태이므로 관련 특성을 잘 파악할 필요가 있음.
  ◦ 완성품 수출의 경우, 중국 정부의 규제 정책 및 상이한 문화코드로 성공 가능성이 낮음
  ◦ 한중 공동제작의 경우, 한국 측은 기술력을 제공할 수 있음. 그러나 이 또한 장기적으로는 중국 또한 충분히 한국을 추월할 수 있는 요건들을 갖추고 있음.
  ◦ 중국 정부의 해외 애니메이션 수입 규제 조치(배급업은 금지돼 있으며, 주로 제작 및 파생 상품 생산‧판매 분야만 허용)를 이해하는 전제 위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 한국 애니메이션 파생 상품(캐릭터 등) 등을 현지화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임.
  ◦ 중국 애니메이션의 수입을 통한 이윤 창출 또한 중‧장기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

 

※ 참고문헌
- 王珏殷 외, 「2014年度中國動漫産業發展報告」
- 「“十二五”時期國家動漫産業發展規劃」
- 「關於動漫産業增值税和營業稅政策的通知」
- 「動漫企業進口動漫開發生產用品免征進口稅收的暫行規定」
- 『2013 애니메이션 산업 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 『​2013-2014 중국문화산업 정책연구 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