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해양경제, 블루오션을 잡아라

옌란(晏然) 소속/직책 : 중국 공업경제연합회 주임 2016-06-15

최근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추진에 힘입어 선박공업, 해양플랜트, 해저자원개발, 해양재생가능에너지, 해양레저 등 해양산업이 막대한 성장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해양경제 분야에서 중국 연해지역 및 그 중심지대가 해양경제벨트를 통해 해양 실크로드 해안국가들과 긴밀히 협력하면서, 향후 거대한 경제적 니즈가 창출될 것이다.

「전국 해양경제발전 12차 5개년 규획(全國海洋經濟發展“十二五”規劃)」은 해양경제권을 북부, 동부, 남부 등 3 구역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우리는 관련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일대일로 전략이 전면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중국 해양경제 발전의 새로운 잠재력에 눈을 떠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아시아 및 동북아를 예로 들어보자. 최근 한국과 일본간의 비자(visa)관련 규제정책이 완화되고 있고, 중국인들의 해외 출국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향후 동아시아 지역에서 유람선 관광 및 관련 항구시설, 숙박 등 관련 서비스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또 한 예로, 동남아시아 및 인도양을 살펴보자. 상대적으로 정치 기반이 안정되어 있는 이들 도서(島嶼) 국가를 대상으로, 섬을 연결하는 교통 통합솔루션을 제공하거나 섬 자원 종합 개발 또는 활용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과거에는 진입이 어려웠던 프로젝트 수주도 고려해볼 수 있게 되었다.

해양의 의미는 인류 경제 발전의 통로 혹은 해운 등 인류 이동의 매개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일대일로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해양 자체가 지닌 경제적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하고 있다. 과거 해양산업에서 '국제적 요소'라 불릴만한 것은 수출입에만 국한되었었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다르다. 해양산업은 중국 해외진출의 핵심분야로 자리매김 하였으며, 교역상대국의 인프라건설 및 산업화를 추진하는 핵심 원동력으로 부상하였다. 연안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풍력발전과 전력공급솔루션 제공, 선박공업 특히 선박수리업 관련 기술 제공, 생산력 이전 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양어업을 활용한 수산품 확보나 해수양식업도 육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관광, 조선, 항구 관련 산업 간 교류를 통해 양자간 정치관계의 강화도 꾀할 수 있다. 이처럼 해양경제는 무한한 개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해양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 리스크를 감당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국제관계 및 정치적 갈등이 불거질 수도 있다. 한동안 미국, 일본, 동남아 일대의 남중국해 주권을 주장하던 국가들은 중국의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저지하고 반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적대적으로 대하기까지 했었다. 뿐만 아니라 21세기 해상실크로드 주변국가들 중 대다수가 정권 교체로 인한 사회적 불안정, 극우세력 및 테러리즘 창궐, 해적 등 수많은 정치적 문제와 非전통적 안보 리스크를 안고 있다. 한편, 중국 정부의 관련 부처가 일부 지역에서 중국자본의 해외진출 속도에 발맞추지 못하여 경영 리스크도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해양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금융서비스 차원의 지원 외에, 정치 및 외교적 차원의 '보호'가 더욱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향후 대륙경제와 해양경제는 더욱 긴밀하게 연계될 것이다. 대륙경제와 해양경제를 모두 '아우르는' 해외진출전략은 분명 중국 해양경제 발전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대륙경제와 해양경제를 구분하는 기존의 전통적 관념을 고수한다면, 대륙과 해양 자원에 대한 투자가 분산될 것이고, 이는 중국의 해양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해양경제의 종합 계획을 수립이나, 대륙경제와 해양경제를 아우르는 구체적인 계획이나, 해양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토탈 공공서비스 지원이나, 아니면 자체적인 해외역량을 빌어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거나, 중요한 것은 해양사업 주관부처가 일대일로 전략의 전체 추진 계획에 따라 해양경제에 대한 경영역량 및 공공서비스 기능을 부단히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해외진출프로젝트를 통해 상대국의 현대화를 촉진시키고, 장기적으로 중국 내 관련 산업들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해야 진정한 의미에서 해양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인민일보, 2016-06-13

※본 글의 저작권은 인민망에 있으므로 인민망​​의 허가 없이는 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원문은 첨부파일을 참조해 주십시오.

게시글 이동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