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중국 일대일로 전략과 한중 지방협력 -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정지형 소속/직책 : 제주발전연구원 중국연구센터장 겸 책임연구원 2016-08-05

□ 일대일로(육상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21세기 해상실크로드)는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중국 국가전략이라 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도 추진단계에 있지만 각 중국내 각 지역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 이는 대외적으로는 유럽과 아시아 지역을 통한 경제권 확대, 대내적으로는 중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지역불균형 해소 정책이라 할 수 있음

- 육상 실크로드 경제벨트의 경우 초기에는 기초 인프라 건설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제주의 경우 인프라 시설 참여 및 이와 관련한 기업들이 없는 실정임

- 또한 일대일로는 박근혜 정부가 추진 중에 있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유사한 구상이라 할 수 있지만 제주의 경우 육상철로 연결문제가 존재함

○ 제주특별자치도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과 관광이 핵심 산업임을 감안할 때 우선적으로 21세기 해상 실크로드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

- 중국사회과학원 짱윈링 교수에 따르면 향후 중국의 모든 지역이 일대일로 계획에 포함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며, 제주지역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제기하였음

○ 따라서 제주의 가치를 높이고 잠재력을 현실화시키기 위해서 중국 지방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공동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연계방안 모색이 필요

- 해상실크로드와 연계하여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해 제주를 기점으로 일본, 러시아 등 동북아 노선의 크루즈와 요트 활성화를 위한 거점지역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음

- 이와 함께 해상실크로드 거점지역과의 교류협력 확대가 필요하며, 이들 지역과 인적 및 문화교류, 민간 및 중소기업의 교류를 촉진하는 쌍방향 시장개척과 투자유치 등의 활동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중국 각 지방정부는 ‘21세기 해상실크로드’ 추진에 적극 동참하고 있음

○ 시진핑 주석은 2013년 10월 인도네시아 국회 연설에서 21세기 해상실크로드 공동 건설 제안 후 동남아, 서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국가들과 해상 인프라 구축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 현재 26개 국가 및 지역, 44억 명 인구, 21조 달러 규모의 경제권이 포함되어 있음

○ 이에 따라 중국 연해지역 또한 지역의 비교우위를 활용하여 중앙정부의 해상실크로드 정책에 적극 참여하고 있음

- 21세기 해상 실크로드에는 랴오닝, 허베이, 톈진, 장쑤, 산동, 저장, 상하이, 푸젠, 광둥, 광시, 하이난 등 11개 지역이 포함되어 있음

- 상하이와 푸젠의 경우 해상실크로드의 교두보 역할, 광동은 해상실크로드 건설의 선두자로서 연선국과의 협력, 광시는 육상실크로드와 해상 실크로드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요 거점 형성 등 해상실크로드 거점지역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

- 「실크로드경제벨트와 21세기 해상실크로드 비전과 액션 공동추진(推动共建丝绸之路经济带和21世纪海上丝绸之路的愿景与行动)」(이하 '추진계획’)에는 관광합작 강화·관광규모 확대, 관광홍보주간·홍보의 달 등 공동개최, 실크로드 특색의 관광노선과 관광상품 공동 발굴, 21세기 해상실크로드 크루즈 관광합작 추진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광둥은 2014년 4월 해상실크로드 세계유산 신청, 해상실크로드 관광프로젝트 개발, 해상 실크로드 박물관 및 연구센터설립 등 해상실크로드 관광산업을 발전시키고 있음

… 하이난은 광둥과 연합하여 해양자원 개발 및 관광 마케팅 협력을 통해 해상 실크로드 관광 상품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 특히 하이난은 해상실크로드의 전략거점 지역으로 국제관광도서 개발을 가속화 하고 있으며, ‘추진계획’과 더불어 크루즈항 건설과 크루즈 노선확대가 빠르게 추진될 것으로 예상됨

- 2015년 기준 하이난 크루즈는 460여척, 여행객 수는 80만 명을 넘었음
2014년에는 싼야 펑황다오(三亞鳳凰島), 하이커우 셔우잉강(海口秀英港)의 운항 크루즈는 229척, 19만 2,300명이 방문하였으며, 전년대비 32.1% 증가하였음

- 현재 싼야 펑황다오(三亞鳳凰島)에 제2 크루즈항이 건설 중이며, 이로 인해 10만 톤급 1척, 15만 톤급 2척, 22만 5,000톤 급 1척이 정박 가능할 것임

- 또한 하이커우 셔우잉강(海口秀英港)의 제2항에 8만 톤급 이하의 크루즈가 정박 가능함에 따라 해남성은 2개 크루즈 모항을 운영할 수 있는 중국 내 유일한 지역이라 할 수 있음

- 해남성 관광위원회 주임 루쯔웬(陸志遠)에 따르면 ‘환남해(環南海: 남중국해 순환노선)’ 다국적 크루즈 노선을 적극 개발할 것이라고 언급함

이를 통해 베트남, 필리핀, 대만, 홍콩, 하이난 등 남중국해 주변 국가를 연계하는 노선 개발 추진과 국제 크루즈 선사와의 합작을 통해 크루즈 노선을 확대할 계획임

- 하이난 크루즈 산업 발전 계획에 따르면 향후 5년 내 크루즈 10척이 하이난을 모항으로 하여, 매년 300척에 달하는 크루즈가 정박할 수 있을 것임

□ 제주특별자치도는 ‘21세기 해상실크로드’를 연계한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함

○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우 섬이라는 특수성으로 육상 실크로드와 직접적 연계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21세기 해상실크로드 추진 계획 중의 국제관광섬 확대와 연해도시의 항만건설 강화, 관광합작 강화, 실크로드 특색 관광상품 개발 등에 대한 연계방안 모색이 필요

○ 중국은 해상실크로드 실현을 위해 ‘1선3점(一线三点)’​1)을 중심으로 하는 크루즈 관광발전계획을 구상하고 있으며, 크루즈항 건설과 크루즈 노선 확대 등을 인해 크루즈산업이 더욱 활성화 될 것임

- 특히 하이난을 기점으로 한 동남아 노선과 향후 해남-대만-상해·천진-한반도-일본-러시아 등 동북아 노선 확대가 예상됨

… 현재 하이난은 싼야/하이커우-베트남, 홍콩-싼야-베트남-홍콩노선 중심으로 운항되고 있으며, 크루즈 노선은 비교적 적은 편임
또한 현재 크루즈 수용의 한계로 싱가폴,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남아 노선 및 미주, 유럽 노선은 없는 실정임

- 제주는 제주외항에 2개(14만 톤급 1선석, 8만 5,000톤 급 1선석) 선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민군복합항에 동시접안이 가능한 2개의 선석이 추가 확보될 예정임

○ 현재 제주를 기항하는 중국 크루즈는 대부분 천진과 상해를 기점으로 하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하이난을 기점으로 하는 ‘환남해’ 노선과의 연계방안 모색을 통해 동남아시아 크루즈 노선 개발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해상실크로드에 포함되어 있는 인도-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서부노선 확대에도 협력할 필요가 있음

- 이와 함께 한반도와 제주를 거쳐 일본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동북아 크루즈 노선 개발에도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음

- 하이난의 경우 현재 제주와 유사한 섬 지역이자 자매도시로써 2015년 한중 테마도시 선정과 함께 양 지역에서 각 각 ‘제주의 날’, ‘하이난의 날’ 등 교류를 추진해온 만큼 최우선적으로 해양산업 활성화를 위한 연계방안 모색이 필요함

○ 해상실크로드는 해상 수송이 핵심이며, 향후 항구기능강화를 통한 해운무역과 에너지 자원 수송 루트확보를 위해서는 국가 간 항구협력이 중요함

- 중국과 해양 인접국가 간 국제항구 투자와 운영에 대한 협력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제주특별자치도는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

○ 현재 중국 각 지방정부들은 지역의 특성에 따라 일대일로에 적극 동참하고 있어 제주특별자치도가 선제적으로 해상실크로드와의 연계성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주요 거점지역과의 협력구조 고도화와 이를 위한 정책방향 도출 및 전략 마련이 필요함​

-----------------------------------------------------------------------------------------------------------------------

​1) 북부지역의 텐진과 다롄을 중심으로 한국, 일본, 시베리아 동해안 위주의 노선, 중부지역의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국, 일본, 대만, 홍콩, 마카오 위주의 노선, 남부지역의 샤먼, 싼야를 핵심으로 동남아와 중국-대만 위주의 노선

[참고문헌]
- 陈立群, 海南邮轮旅游发展策略探讨, 旅游纵览(下半月), 2015. 9, p132-133
- 彭穗华, 海上丝绸之路与广东海洋旅游, 新经济, 2014. 6, P.26-31
- 周义龙, 琼粤“海上丝绸之路“旅游合作与发展策略, 南方论刊, 2015年 第8期,p11-13
-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http://www.sdpc.gov.cn/
- 中國旅遊報 : http://www.ctnews.com.cn
- http://www.ctnews.com.cn/zglyb/html/2014-10/17/content_97087.htm?div=-1
- 정지형, 중국 일대일로 정책과 제주의 시사점, China Issue Brief 제주발전연구원, 2015.12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