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 트렌드
Home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우버차이나 인수한 디디추싱(滴滴出行) 창업자 청웨이(程維)
이정진 2016-08-24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우버차이나를 집어삼킨 디디추싱
○ 지난 8월 1일, 중국 최대 차량공유 서비스 기업인 디디추싱(滴滴出行)은 세계적인 차량공유 서비스 기업인 우버(Uber)의 중국법인 ‘우버차이나’를 인수하였다고 발표함.
- 이로써 디디추싱이 그 동안 우버차이나를 비롯하여 다수의 차량공유 서비스 업체와 벌인 경쟁은 막을 내렸고, 디디추싱의 기업 가치는 350억 달러(한화 약 39조원)로 껑충 뛰어오름.
- 디디추싱은 우버차이나의 브랜드와 업무, 데이터 등 자산 전체를 인수하게 되며, 디디추싱과 우버차이나는 상호 지분을 공유한 공동 주주가 됨.
- 우버 미국본사는 5.89%의 디디추싱 지분을 보유하고 바이두 등 우버차이나 주주는 2.3%에 해당하는 경제수익권을 갖게 되며, 디디추싱 창업자이자 CEO인 청웨이는 우버 미국 본사에, 우버 창업자인 트래비스 칼라닉(Travis Kalanick)은 디디추싱에 이사로 등록됨.
○ 우버차이나가 합병을 받아들인 이유
- 지난 2015년 중국에서 10억 달러 규모의 영업손실을 낸 우버차이나는 합병을 통해 상장하는 것이 중국 시장에서 성공하는 길이라고 판단함.
- 우버차이나는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가 7억 명에 달하고(2016년 5월 통계 기준), 디디추싱 가입자가 3억명(자체 통계)으로 차량공유 서비스 플랫폼이 전체 모바일 차량 서비스 시장을 모두 커버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할 때, 중국 내 차량 공유 서비스 시장의 고속 성장 시대가 막을 내릴 것이라고 판단함.
- 이런 상황에서 이용자들에게 막대한 보조금을 뿌리면서 앱 이용자를 유치했던 종전의 방식을 지속하는 것은 결코 현명한 일이 아니라고 결론을 내리고 합병을 결정함.
- CNIT-Research가 발표한 「2016년 1분기 중국 전용차 시장 연구 보고」에 따르면, 2016년 1분기 전용차 시장은 고속 성장을 이루었음.
- 업체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디디추싱의 전용차 서비스가 85.3%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우버, 이다오융처(易到用车), 선저우좐처(神州专车)가 각각 7.8%, 3.3%, 2.9%를 점유함.
- 우버차이나는 순위에서는 2위를 차지했지만, 1위인 디디추싱의 고객 점유율과의 격차가 너무 크기 때문에 더 이상 따라잡을 수 없다고 판단함.
- 게다가 중국 정부가 '온라인 예약 택시 관리 임시방안'(網絡預約出租汽車經營服務管理暫行辦法)을 공표해 오는 11월부터 차량 공유 서비스를 합법화한다고 선언하면서, 우버차이나는 더 이상 중국 시장에서 디디추싱과 경쟁하기 보다는 합병을 통해 공동으로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더 유리하며, 이것이 이다오(易到), 선저우좐처(神州专车) 등과 같이 무섭게 추격해 오는 후발주자와의 경쟁에서도 살아남는 방법이라고 결론을 내림.
□ 디디추싱의 성장 과정
○ 투자금 유치로 고속 성장
- 디디추싱은 창립 6개월만에 진사장창투(金沙江创投)로부터 300만 달러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고 이후 알리바바, 텐센트, 애플뿐만 아니라 중국투자공사, CICC, 중국핑안, 차이나라이프, 자오상은행, 베이치그룹 등 중국의 유명 국유기업으로부터도 투자 자금을 유치함.
- 지난 8월 16일에는 중국 우정국(中國郵政)과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으면서 디디추싱은 도시 내 택배 배송 시장에도 진출하게 됨.
표. 디디추싱 투자 유치 현황
- 창립 초기 택시호출 서비스로 시작하여 전용차, 콜택시, 카풀, 대리운전, 차량임대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성장한 디디추싱은 현재는 중개 수수료와 광고비로 수익을 내지만 앞으로는 운전기사 서비스비, 버스비, 자동차금융, 자동차보험, 자동차 A/S시장 등 분야에서 수익원을 다각화를 할 것이라고 밝힘.
- 디디추싱의 현재 임직원수는 약 5,000명에 달하고, 400개 도시에서 약 3억명에 달하는 가입자와 1,500명의 운전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1,400만 건의 호출 주문을 처리하고 있음.
- 2015년에는 122억 위안 규모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지만,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5억4천만, 10억2천만, 15억1천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됨.
- 디디추싱은 2018년 미국 증시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 때가 되면 기업 가치가 8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디디추싱은 최근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이 선정한 ‘2016년 세계를 바꾼 50대 기업’ 순위에서 중국계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30위에 이름을 올림.
- 디디추싱은 지난 해 하루 평균 100대 가량의 차량 운행을 감소시켜 약 5억 리터의 휘발유를 절약하였고 1,350만 톤 가량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였으며, 택시 서비스로 400개의 공차(空車) 횟수를 감소시켜 택시 운영의 효율성을 높였다고 평가 받음.
□ 창업자 청웨이(程維)가 걸어온 길

<사진 출처: 바이두>
○ 흥미를 찾아 방황하다 마침내 창업의 바다로
- 1983년, 장시(江西)성의 한 농촌에서 태어나 고등학교까지 마친 후 베이징화공대학(北京化工大學)에 입학함.
- 대학에서 행정관리전공을 한 그는 졸업 후 한 발마사지 전문업체에 부매니저로 근무하다가 흥미를 느끼지 못해 1년 만에 그만두고 알리바바의 세일즈맨으로 전향함.
- 알리바바에서 8년간 근무하며 능력을 인정받아 B2B 전자상거래 부문 최연소 지역 본부장에 이어 알리페이(支付寶) 사업부 부사장직까지 오름.
- 알리바바에서 성공 가도를 걷던 청웨이는 29살 때인 2012년 돌연 회사를 뛰쳐나와 자신이 그 동안 꿈꿔왔던 창업의 길로 들어섬.
○ 운전을 못해서 개발한 디디다처 앱
- 회사를 다니면서도 그는 여러 창업 아이템을 놓고 고민하다가 최종적으로 기존에 있던 택시 관련 사업을 선택함.
- 자동차 운전을 못해 주로 택시를 이용했던 청웨이는 좀더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없을까 고민했고, 그 결과물이 바로 디디추싱에서 이용하고 있는 택시호출 서비스 앱인 ‘디디다처(滴滴打车)’임.
- 디디다처는 런칭 6개월만에 하루 평균 주문 건수가 1,000건을 돌파하면서 업계에 돌풍을 불러일으켰음.
- 이후 2015년에 중국 최대의 IT 기업인 텐센트의 투자를 받은 디디다처와 알리바바가 투자한 콰이디다처(快的打車)는 경쟁을 끝내고 합병을 단행하여 사명을 ‘디디추싱’으로 바꾸고 중국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가 됨.
○ 이미 세계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청웨이
- 주변 투자자나 디디추싱 임직원들은 그에 대해 “차가운 이성과 예리한 판단력을 가졌다.”라며, 치열한 경쟁 속에서 우버차이나를 집어삼킬 수 있었던 이유 중에서 그의 성격도 작용했을 것으로 평가함.
- 청웨이는 중국시장에 진출한 미국계 기업 우버에 대해 “2015년 중국에 15억 달러 규모를 투자했지만, 디디의 전용차 서비스는 여전히 전체 시장의 83%를 점유하고 있다.”라며 “미국 기업이 자금력에 의존하는 방식으로는 중국 기업을 이길 수 없을 것이다.”라며 우버와의 경쟁에서 자신감을 피력함.
- 청웨이는 우버의 최대 약점으로 현지화 하지 못했다는 점을 꼽았고, 이 점에 착안하여 디디추싱은 ‘협력’이라는 키워드에 포커스를 맞추어 비즈니스 확장 모델을 구상함.
- 청웨이는 “앞으로 디디추싱의 기술력, 경험, 자본을 공유하고 서비스를 연결하여 글로벌 차량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라는 의지를 밝혔고, “현재 미국의 우버 경쟁사인 리프트(Lyft), 인도 최대 차량호출서비스 올라(Ola), 동남아시아 최대 차량호출서비스 그랩택시(GrabTaxi)와도 광범위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세계시장으로 뻗어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힘.
[참고자료]
滴滴和優步為何合並?對妳有何影響?該如何看待?, 網易科技, 2016-08-01
專訪程維:滴滴仍然活在驚心動魄之中, 蓋世汽車, 2016-08-02
外媒解密程維:從足療店到滴滴,常用愛國歌《精忠報國》鼓勵員工, 投資界網站, 2016-08-12
路透社評滴滴創始人程維:戰勝Uber的愛國主義企業家, 騰訊科技, 2016-08-13
國資頻頻投資滴滴出行,因為這是壹樁穩賺不賠的生意?, 騰訊科技, 2016-08-17
《財富》2016年50家改變世界的公司:滴滴出行上榜, IT之家, 2016-08-22
| 이전글 | 국무원, 실물경제기업 원가절감 방안 발표 | 2016-08-25 |
|---|---|---|
| 다음글 | 中, ‘선강퉁’ 시행 승인, 자본시장 개방 확대 | 2016-08-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