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미중 갈등 심화 배경과 우리경제 시사점

이치훈 소속/직책 : 국제금융센터 중국팀장 겸 연구위원 2016-09-23

[이슈]

 

금년 들어 미중 갈등이 과잉생산 및 남중국해를 중심으로 부각된 이후 국내 사드 배치 등 이슈도 가세하면서 양국간 대립 양상이 고조

 

[경제] 미국이 일부 중국산 철강제품에 역대 최대 수준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반도체에 대한 견제 수위도 높이면서 중국이 크게 반발하는 모습

- 중국산 냉연강판과 도금판재류에 522%와 451% 관세를 부과하면서 사실상 금수 조치를 시행<5/17>

- 미국무역위원회는 중국 40개 철강 업체에 대해 가격담합, 무역정보 해킹, 원산지 허위기재 등에 대한 조사와 함께 관련제품의 전면적 수입금지를 검토<5/26>

재무부, 위안화의 지속된 절하 압력에도 불구 실질가치의 절상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환율관찰대상 5개국에 포함<4.29>

- 반도체 산업에 대해서도 WTO에 중국정부의 불법지원 혐의* 조사를 요청
* 국가개발은행 등 8개 국유기업이 주도한 22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 펀드(`20년 목표 560억$)를 정부 보조금으로 해석

지난해 미국 반도체 회사 인수를 불허한 데 이어, 금년 반도체와 관련하여 조정기구에 중국을 제소한 사례가 9건으로 지난해 전체 6건을 상회

- 중국정부는 미국의 조치가 명백한 보호무역주의이며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하고 WTO에 제소할 방침을 표명<5/27>

 

[외교·정치] 미국이 아시아 중시 정책의 일환으로 남중국해 개입을 강화함에 따라, 일대일로 등 중국의 핵심 대외 정책과 마찰을 빚으면서 지정학적 불안이 증대<그림1, 미중의 對아시아 전략>

- 오바마 대통령, 중국과 영토분쟁 중인 베트남을 방문하고 기존 무기 수출금지 조치를 해제. 이에 베트남은 남중국해의 군사적 요충지 깜라이만 사용권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5/23~24>

연이어 일본에서 개최된 G7 정상회의에 참석하여 중국의 남중국해 정책과 과잉생산을 비판하는 성명을 채택한 후, 원폭 피해지역인 히로시마를 방문하여 희생자를 위로하는 등 미일간의 안보 동맹도 강화​1)

8월에는 지난 12년간 논의해온 미국-인도간 군수지원협정도 체결

 

그림 1. 미국의 해상봉쇄 전략

미국의 해상봉쇄 전략을 나타낸 지도임 이미지 

- 중국정부는 G7 회의가 남중국해의 긴장을 고조시켰다고 평가하고, 핵잠수함 등 군사력을 추가하는 강경 방침과 함께 여타 아세안 지역에 대한 회유 정책도 병행

외교부는 G7회의에 대해 개별 국가의 항해 자유를 이유로 중국을 모함하는 것을 단호히 반대한다는 입장 표명하고, 국방부는 남중국해 일대에 방공식별 구역의 선포 계획임을 밝힘

미얀마-라오스-태국-캄보디아 등과의 정상회담에서 200억위안 규모의 지원 (차관+대출)과 함께, 중국-아세안의 연합 해상 훈련을 제의
남중국해 분쟁에 대해 상하이협력기구 회원국​2)의 중국지지 성명을 도출

 

[배경]

양국간 경제이익 및 헤게모니 경쟁이 주된 요인이나, 미국의 국내 정치적 요인도 상당한 영향

 

 미국의 전체 무역적자 감소 추세에도 불구, 대중 적자는 지난해 3,657억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 미중간 일부 산업의 경쟁도 심화

- 전체 무역적자에서 중국의 비중은 `05년 28.3%에서 `15년 67.7%로 확대<그림2>
금년 들어 중국의 수출 위축에도 불구, 1분기 중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 규모가 779.5억달러에 달함에 따라, 금년 전체로 3,000억달러를 상회할 가능성

 

○ 미국 철강협회는 중국의 과잉생산으로 자국의 설비 가동률이 70%에 불과하고, 최근 1년여 동안 1.4만명의 실업자가 발생한 반면, 원인 제공자인 중국기업은 해고자가 거의 없다고 주장

- HSBC는 중국이 미국과 경쟁 중이거나 곧 경쟁할 제품의 비중이 25.9%로 분석

 

그림 2.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 규모 및 비중

1992-2015년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 규모 및 비중 그래프임 이미지 

11월 대선을 앞두고 미국경제의 회복세에도 불구, 별다른 개선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는 계층간 격차 등 구조적 불균형에 대응할 필요

- 고용지표가 개선되었으나, 히스패닉·흑인·저학력자를 중심으로 높은 실업률을 보인 반면, 이들의 인구(유권자) 비중은 증가

히스패닉·흑인·중졸 이하 학력자의 평균 실업률이 7.5%(전체 5.0%)에 달해 사회불안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표1>

전체 인구에서 백인의 비중이 `10년 63.7%에서 `14년 역대 최저인 62.1%로 감소한 반면, 여타 인구의 비중은 증가(히스페닉 16.3%→17.4%, 흑인 12.6%→13.2%, 아시아 4.8→5.4%)<표1>

 

표 1. 계층별 실업률(%)

계층별 실업률 그래프임 이미지

 

Ÿ- 지난 `08년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양적완화(QE) 시행 후, 부(富)의 쏠림현상이 심화되면서 계층간 위화감도 증대

상위 1%에 대한 부의 편중도는 `08년 37%에서 `14년 42% 내외로 상승

-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인구 고령화가 경제 회복력을 제약하면서, 복지비용 증가 등 세대간 갈등 여지도 확대

39세 이하의 인구의 비중이 `00년 57.0%에서 `14년 52.8%로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은 16.3%에서 20.3%로 증가<그림3>

- 특히, 대선 과정에서 보호무역주의 성향​3)이 강한 트럼프의 선전으로 보다 적극적인 대외 정책 유인이 증대

클린턴과 트럼프의 양자대결 여론조사 결과, 지지율 격차가 금년 3월 이후 빠르게 축소되어 오차 범위내에서 접전 중<그림4>

 

왼쪽은 미국 연령대별 인구 비중 변화 그래프로 19세 이하, 39세 이하는 감소세, 60세 이상은 증가세임 이미지

[전망]

앞으로 대내외 현안에 대한 대립과 갈등이 지속되는 한편, 경제협력 관계는 오히려 점진적으로 강화될 전망

중국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구조개혁 및 지속성장을 위해 미국과의 직간접적인 협력이 더욱 긴요

- 양국간 경제의 질적 격차가 큰 상황에서 중국이 산업고도화 등 개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미국의 기술협력과 우호적인 관계 유지가 중요

- 특히, 미국과의 “시장경제지위 부여” 및 “최혜국대우 유지” 협상 등을 통해 대미 수출뿐만 아니라 EU​4) 등 여타국가와의 협정에도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필요

중국은 `01년 WTO 가입시, 최소한 15년간 非시장경제지위를 감수키로 합의. 금년 말로 최소 기한이 만료함에 따라 시장경제지위 획득을 위해 적극 노력

중국은 과거부터 대만 등 일부 핵심 사항을 제외하고, 보복관세·환율 등 대미 분쟁에 있어 강경한 입장을 보이면서도 유화적인 모습 견지

시장경제 지위란  한 국가의 임금·환율·제품가격 등이 정부의 간섭없이 시장을 통해 결정되는 시스템이 구축된 나라에게 부여 이미지 

미국의 경우, 대선 결과와 별개로 중국의 국제적 위상 제고로 강경 대응 부담이 커졌고, 중국내수시장 진출 등 경제협력관계 구축의 필요성도 증대

- 미국에 있어서도 중국의 인프라·정부조달·친환경 사업 등은 향후 중장기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중요한 사안

`15년 PPP 기준, 중국의 GDP 규모가 미국을 추월한 데 이어 전세계 소비시장에서 중국의 비중도 `15년 8.7%에서 `20년 12.0%로 상승할 전망<그림5>

- 대중 부채(국채) 등 중국과의 경제 관계뿐만 아니라, 향후 북핵 등 다방면의 국제 현안에 있어 협력이 긴요

최근 중국의 대북제제 동참 등 입장변화에도 불구, 전략적 가치를 지닌 북한을 포기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

- 특히, 중국 진출 미국기업의 이해관계 등으로 인해 통상마찰 수준을 넘어서는 강력한 경제제재의 여지는 크게 제한적

글로벌기업의 대부분이 중국에 진출해 있는 상황에서, 저렴한 중국산 제품의 수입으로 미국내 저소득층 지원효과가 상당

대중 경제제재를 크게 강화할 경우에도 여타 대체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하는 풍선효과가 발생할 가능성

 

정치∙외교적인 측면에서 무력 충돌과 대립보다 협력의 편익이 우세한 만큼, 상호견제가 지속되더라도, 양국 관계가 되돌리기 어려운 상황으로 악화될 가능성은 상당히 낮은 편 <붙임3, 미중 경제사회 지표 비교>

- `15년 중국의 군사비 지출은 4,380억달러로 미국 5,960억달러에 이어 세계 2위<스톡홀룸 국제평화연구소SIPRI,그림 6>. 낮은 인건비 및 증가율(`15년 中 7.4%>美 -2.4%)을 감안할 때 실질 지출과 잠재력이 매우 높은 수준<그림6>


왼쪽은 2000-2020년 전세계에서 중국의 소비시장 비중으로 지속 상승세임 이미지 

[시사점]

 

■​​ 미중관계 경색으로 인한 보호무역주의 확산 및 국제경제 불안에 유의해야 하나, 다른 한편으로 G2간 경제협력에 따른 우리의 상대적 소외 가능성에도 대비할 필요

 

앞으로도 양국간 주도권 경쟁과 이해관계 충돌이 지속되어 국제금융시장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이는 보호무역주의 등의 형태로 우리나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소지

- 미중 외교·정치적 갈등은 일본의 대외 정책과도 긴밀히 연결되어 장기화될 전망

- 최근 미국의 트럼프*뿐만 아니라, 프랑스(르펜)·영국(존슨)·오스트리아(호퍼) 등 극우성향 인사들의 예상 밖 선전은 주요국의 자국 우선주의가 확산되고 있음을 반영
 * “트럼프의 당선”은 “브렉시트”와 함께 금년 글로벌 2大 지정학적 리스크로 평가

 

한편 차이메리카(Chimerica)​5) 시대에 양국의 경제협력이 철저한 자국 이익 우선 원칙에 따라 진행 가능성에도 주목

- 정부조달 등 양국 또는 복수국가에 적용되는 협정 등의 진전상황을 보다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우리나라의 입장이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

최근 양국의 갈등 고조에도 불구, 지난 수년간 지지부진하던 미중 상호투자협정이 조만간 친환경 분야 등을 중심으로 체결될 조짐

 

최근 사드배치 결정에 따른 한중관계 악화 조짐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경제 협력은 지속하여 관련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노력도 제고

- 한중 경제의 상호 의존도 등으로 중국이 우리나라에 대한 전면적인 경제보복 가능성은 크게 제한적​6)

- 다만 과거 일본∙대만 관계에 있어 중국이 정경 동조화 성향을 보였다는 점을 감안하여 한중간 선린관계를 유지를 통해 경제적 부작용을 최소화할 필요<그림7>

- 중국 내수시장 진출, 요우커 등 중국과의 경제협력은 우리나라의 중장기 성장 중요한 사항<표2, 그림8>

 

왼쪽은 미중의 대아시아 지역 전략 그래프임 이미지

 

표 2. `15년 주요국의 중국관광객 및 GDP 대비 대중 수출 비중(%)

2015년 주요국의 중국관광객 및 GDP 대비 대중 수출 비중임 이미지 

 

 

----------------------------------------------------------------------------------------------------------------------------------------------

1) 오바마 대통령의 5월 아시아 순방은 중국 봉쇄를 위한 외교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분석
2) 정부간 협력기구로 2001년에 설립하여 매년 1회 정상회담를 개최. 회원국(6개): 러시아·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 옵져버: 몽고·이란·인도·파키스탄  등​​
3) 트럼프는 FTA·NAFTA 재검토,TPP 추진 중단,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등 무역정책을 공약으로 제시. 인디아나주 유세 중에는 중국의 무역흑자는 강도질에 빗대어 표현(6/1)
4) 무역분쟁에 있어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는 우호적인 EU의 경우, 금년 의회가 중국에 대한 시장경제지위를 부결하는 등 보수적인 움직임이 증대
5) “차이메리카(Chimerica)”는 미국과 중국의 상호 견제와 협력을 동시에 내포
6) 중국의 △대외분쟁 확대 부담 △일대일로 등 아시아 경제주도권 저해 △전자∙석유화학제품의 對한국 의존도 등이 경제보복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

게시글 이동
이전글 중국 싱글족 경제 2016-09-26
다음글 사드 이후 한류 문화산업에 대한 시사점 2016-09-22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