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북경사무소

KIEP 북경사무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에서 각종 중국 자료를 요약하여 심층 분석 및 시사점 제공합니다.

[3월 5주차] 코로나19 관련 주요 이슈 및 연구 동향

KIEP 북경사무소 2020-03-31

1. 코로나19가 중국 서비스무역에 미치는 영향1)

□ 2003년 발생한 사스(SARS)는 서비스무역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평가
- 2000~09년 중국의 서비스무역의 추이를 볼 때 2003년 발생한 사스는 서비스무역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그림1 참고).
- 사스가 한 분기에 걸쳐 비교적 효과적으로 통제됨으로써 서비스무역에 미치는 영향도 단기적이었음. 
- 또한 사스 당시 서비스무역 활동과 관련된 토지, 자본 등 생산요소의 보유량 및 이용 효율은 악영향을 받지 않았고 노동시간만 유일하게 영향을 받았으나 이 역시 사스 종식 후 바로 회복됨.

.

□ 그러나 코로나19는 사스와 달리 전 세계 서비스무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며, 특히 발병·확산 기간이 서비스무역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
- 중국의 확산 추이는 이미 호전되었으나 해외에서 확산이 거세지면서 글로벌 서비스무역에 미치는 영향은 더 커질 것으로 예측
◦ 만일 서비스무역 활동이 단기에 정상화된다면 토지, 자본의 보유량과 생산요소의 이용 효율 등 기본 상황은 변화가 없겠지만, 장기화될 경우 도산 기업의 속출, 자산 및 자본 보유 상황의 변화 등으로 국경 간 서비스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음. 
- WTO가 2020년 1사분기에 발표한 󰡔글로벌 서비스무역 바로미터(barometer)󰡕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전 세계 경제에 타격을 주었고, 글로벌 서비스무역 성장세도 둔화된 것으로 나타남. 
- 결론적으로 코로나19가 글로벌 서비스무역에 미치는 영향은 방역 조치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는 능력과 확산 기간에 달려있음.

□ 특히 서비스무역의 공급 유형 중 자연인 이동과 해외소비의 타격이 비교적 클 것이며 2020년 중국의 서비스무역은 서비스수입이 줄면서 수출입 격차가 축소될 전망
- 서비스무역의 4가지 유형 중 사람의 국경 간 이동과 관련이 있는 자연인 이동과 해외 소비가 단기적으로 큰 충격을 받을 것임.
- 코로나19가 춘절 성수기에 발병하면서 관광서비스가 가장 큰 타격을 받았는데, 관광은 계절적 영향이 크기 때문에 성수기를 놓치는 경우 회복이 매우 어려움. 
◦ 관광서비스 무역은 중국 서비스무역 총액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로 2019년 기준으로 중국인의 해외관광객은 총 1억 5,500만 명으로 집계, 그 중 춘절기간 해외관광객은 7,000만 명으로 전체의 45%를 차지
◦ 2020년 춘절기간 해외관광 예약은 전년대비 65% 줄었으며, 입국 관광객도 72%감소 
- 또한 관광서비스의 경우 중국 전체 서비스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로 매우 크기 때문에 전체 서비스무역에도 어느 정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

□ 한편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은 코로나19가 서비스무역에 미치는 악영향을 일부 완화시키고 신흥 서비스무역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
- WTO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서비스무역 중 절반 이상이 디지털화됨. 이는 일부 서비스무역의 손실을 어느 정도 완화시키고, 자연인 이동이나 해외 소비에 의한 서비스 무역을 인터넷을 통한 국경 간 지불 방식으로 대체 가능함을 의미
◦ 예를 들어 코로나19이후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교육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뤄짐.
◦ 또한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은 서비스무역의 원가를 절감시키고, 코로나19 기간 국경 간 원격 서비스무역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짐으로써 관련 기업들에게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
- 한편 코로나19로 확대된 사이버 공간의 서비스 규모는 계속해서 확대될 것이며 ‘현지시장 효과(로컬마켓 효과)’도 강화되면서 중국 서비스기업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는데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전망
◦ 중국의 게임과 동영상(클립 영상)의 국제적인 영향력은 중국의 거대한 인터넷 사용자 및 시장 규모로 생기는‘현지시장 효과’에 기인
◦ 올해 춘절기간 모바일 게임 사용자 규모가 하루 평균 30% 증가하였고 1인당 하루 이용시간은 17.8% 증가함. 또한 생방송 업계의 경우도 생방송 플랫폼 사용자 수가 크게 증가(그림2 참고)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