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세미나]최근 중국 회사채 디폴트 급증의 특징과 향후 전망

조고운 소속/직책 :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중국경제통상팀 전문연구원 2020-12-14

☐ (현황)‘20년 11월 들어 즈광그룹, 화천자동차, 융청석탄 등 국유기업들의 채권 디폴트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중국의 신용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음.

- 11월 16일 즈광그룹(紫光集团有限公司)에 13억 위안 규모의 디폴트가 발생한 후 모회사인 칭화홀딩스의 채권 가격도 급락함.

ㅇ 칭화홀딩스는 칭화대학이 국무원의 승인을 받아 설립한 국유기업임.

- BMW와 합작계약을 체결하여 주목을 받기도 하였던 지방국유기업(랴오닝성)인 화천자동차(华晨汽车集团控股有限公司)는 11월 20일에 10억 위안 규모의 채권이 디폴트 처리됨. 

- 11월 23일에는 허난성에 기반을 둔 지방국유기업인 융청석탄(永城煤电控股集团有限公司)의 채권 디폴트가 발표됨.

ㅇ 융청석탄은 디폴트가 발생하기 불과 20일 전에 10억 위안 규모의 3년 만기 중기어음 발행에 성공하였고, 3사분기 화폐 자산이 469.68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된 기업이라 시장에 더 큰 충격을 줌.

- 11월 들어 위와 같이 AAA등급의 국유기업 디폴트가 이어지자 여타 우량등급 기업들의 신용등급 및 채권가격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채권 발행이 취소되는 사례도 급증함.

☐ (특징)‘20년 11월 이후 중국 회사채 디폴트 규모는 ’20년 전체 디폴트 규모의 27.9%를 차지했으며 신용등급 AAA급 이상, 첨단산업의 국유기업들이 포함된 점이 특징임.

- 중국 회사채 디폴트 규모는 2018년에 전년 대비 4배 가까이 증가한 이후(1,209.61억 위안) 3년 연속 1,000억 위안 이상을 기록하고 있음.

- ‘20년 중국 회사채 디폴트 규모(12월 3일 기준)는 1,520.64억 위안으로 2019년의 1,496.04억 위안을 이미 초과하였음.

- ‘20년 4/4분기와 ‘21년에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 금액이 크기 때문에 이 기간 디폴트 리스크가 아직 남아있음.

ㅇ 중저등급 이하 신용채의 분기별 만기도래 금액은 ’20년 4/4분기 3,651.58억 위안, ‘21년 1/4분기 3,078.20억 위안, 2021년 2/4분기 2,596.02억 위안, 3/4분기 2,949.27억 위안, 4사분기 2,325.29억 위안임.

- ’20년 중국 회사채 디폴트(12월 3일 기준)에서 11월 이후 디폴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금액 기준 27.9%, 건수 기준 21.4%를 차지함.

- 또한 신용등급이 AAA급 이상인 국유기업들의 디폴트가 급증했다는 점이 특징임.

- 디폴트 기업의 업종은 제조업, 정보기술, 에너지, 소재 등 첨단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함.

ㅇ 제조업 중에서도 자동차, 반도체장비, 가전 등 중국 정부의 지원업종들이 포함됨.



☐ (배경) 중국 금융당국은 최근의 디폴트 급증이 △경제주기의 요인(周期性) △시스템적 요인(体制性) △시장참여자 행위의 요인(行为性)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평가함.1)

- (경제주기 요인) 중국은 ’20년 하반기 들어 코로나 19로 인한 경기부진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그동안 과도하게 풀린 유동성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정책방향을 전환하고 있음.

- (시장참여자 행위 요인) 중국 당국이 국유기업의 디폴트를 용인하는 것은 본격적인 금융시장 개방을 앞두고 중국 국유기업들의 방만한 경영관행을 바로잡아 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짐.

- (시스템적 요인) 11월 이후의 디폴트 급증은 신용평가가 기업의 리스크를 잘 반영하지 못하는 등 중국 채권시장의 구조적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으며, 중국 당국은 채권시장에서의 리스크가 통제 불가능할 정도로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

☐ (전망) 중국 당국이 최근 금융 리스크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있어 국유기업 디폴트는 향후에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회사채 디폴트 급증이 중국 금융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지지 않도록 개혁의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됨.

- 중국 내부에서는 중앙·지방정부가 국유은행을 통한 만기연장 또는 자금공급 등의 방식으로 국유기업 디폴트 리스크를 축소시켜온 관행을 깨고 신용등급이 기업의 실제 펀더멘털을 더 정확하게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음.

ㅇ 이를 위해서는 중국 신용평가 시장의 개혁이 필요하며, 최근의 중국 금융시장 개방 확대 추세와 맞물려 향후 외국계 기업의 중국 정크본드 시장 및 신용평가 시장 진출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음.

- 중국 당국은 11월 21일 개최된 금융안정위원회나 2020년 금융안정보고서 등을 통하여 신용 리스크에 대해 질서있게 처리해나가되 고의부도에 대해서는 ‘무관용’원칙으로 단호하게 처리해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힘. 

ㅇ 고의부도 의혹이 있는 융청석탄과 정보공시 위반 혐의가 있는 화천그룹의 경우 불법행위에 대한 조사에 착수함.

- 중국 당국은 디폴트 기업에 대한 융자지원, 기업회생 허용, 중기유동성창구(MLF)를 통한 유동성 확대 등의 조치를 취하며 채권시장 개혁의 속도 조절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회사채 디폴트 급증이 시스템 리스크까지 이어지도록 용인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됨. 

ㅇ 중국인민은행은 MLF를 통하여 11월 16일 8,000억 위안, 11월 30일 2,000억 위안의 유동성을 공급함.



-----
1) 이 세 가지 요인은 2020년 11월 22일 중국 국무원 금융안정발전위원회에서 제시되었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