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북경사무소

KIEP 북경사무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에서 각종 중국 자료를 요약하여 심층 분석 및 시사점 제공합니다.

[5월 5주차] 코로나19 관련 주요 이슈 및 연구 동향 (1)

KIEP 북경사무소 2020-05-26

1. 2020년 중국 경제는 투자와 도시화가 견인1)

□ 칭화대학의 웨이제(魏杰) 교수는 향후 3년간 도시권(都市圈) 형성이 투자를 견인하는 주요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

-과거에는 도시화 추진에 있어 대··소형 도시의 협동적인 발전을 강조해왔으나 최근에는 도시권의 발전을 더 강조하고 있음.

이는 도시권에서의 투자와 소비의 효율성이 중소도시에 비해 높기 때문임.


□ 도시권 조성을 위한 투자는 창장삼각주(长三角), 주장삼각주(珠三角), 징진지(京津冀), 청위(成渝) 4대 도시권부터 우선적으로 투자를 시작하고 점차 기타 도시권과 도시군(城市群)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

-창장삼각주 지역은 3개 성()1개 도시의 일체화(三省一市一体化)를 가속화하고 징진지와 청위 등 도시권은 원활한 교통망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

-주장삼각주의 경우 역내 도시 간 연결을 더 밀접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음.

광저우(广州)에서 선전(深圳)까지 고속철도만 있고 지하철과 경전철은 없음.

-2021~22년에 4대 도시권 건설을 완료한 후 기타 지역의 도시권을 순차적으로 건설해야 정책적 지원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음.


□ 최근 도시권에 대한 투자가 주목되고 있으며, 도시권의 인프라 건설 추진은 규모도 크고 견인효과도 분명하여 투자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

-인구가 유입되는 지역이 필연적으로 상업, 산업, 자본시장, 부동산 시장 등이 발달하게 됨.

-다수의 전문가들은 향후 5~10년간 도시권과 도시군의 가속화 발전이 중국 경제 발전의 가장 큰 잠재력이 될 것이며 도시권 건설은 경제를 회복시키고 향후 장기간 질적 발전을 지탱해 주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평가

-해외의 경험으로 볼 때, 일반적으로 인구 규모가 100~1,000만 명 수준인 중대형 도시 및 도시군이 국가의 경제 발전을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중국은 인구 밀집 효과가 아직 다른 나라에 비해 크지는 않은 상황

세계은행(WB)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2018년 중국의 전체인구 대비 대도시(100만 이상 규모) 인구의 비중은 28% 밖에 안 되며 이는 일본(65%)과 한국(50%)에 비해 아주 낮은 수준


□ 중국 경제는 1사분기와 2사분기에 일정수준 둔화세를 보이겠지만 하반기에는 성장세를 회복한 후 2021년에는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경제가 타격을 입었으나 경제적 기초가 우수하고 시장 수요가 여전히 크기 때문에 중국 경제는 중장기적인 쇠퇴를 겪지 않을 것으로 전망

-그러나 부채율 상승, 인플레이션 압박 증대, 글로벌화의 후퇴 등 경제 성장을 압박하는 요인들을 무시할 수는 없음.

-특히 최근 상황을 고려하여 경제 회복과 경기 부양의 순서를 혼동해서는 안됨.


□ 중국 경제의 단기적인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경제 회복 단계(20203사분기 까지) 경기 부양 단계 (20204사분기) 개혁 심화 단계(2021) 3단계로 나눠서 순서대로 진행 할 것을 강조

-[경제 회복] 조업·영업 정지로 인해 타격을 받은 경제를 회복시켜야 하며, 경제 회복 단계에 있어서 거시정책의 주요 목표는 6대 보장(六保).

6대 보장은 민생·취업·시장주체·산업체인 및 공급체인·식량과 에너지 안보·기층조직의 운영 보장을 의미

경제 회복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으로는 세금 감면 기업과 개인에 대한 보조금 지원 유동성 유지와 금리 인하를 통한 기업 지원 등이 있음.

-[경기 부양] 2020년 경제성장을 위한 주요 동력은 투자가 될 것이므로 경기 부양의 핵심은 투자의 확대임.

구체적인 투자 방향으로는 정부가 직접 공공재에 투자하고, 신형 인프라 건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하며, 기업은 경영적인 측면에서 투자를 확대할 것을 강조

공공재 투자의 경우 특히 4대 도시권 내 전통적인 인프라 구축과 공중보건의료시스템의 구축에 우선 투자해야 함.

신형 인프라 건설에 대한 투자는 정부의 공공투자가 주체가 되어야 함.

4사분기 경기 부양책이 발표되고 자금조달이 실시되면 2021년 상반기에는 투자의 견인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

-[개혁 심화] 중국의 경제 발전은 궁극적으로 개혁에 달려있는 만큼 2021년 하반기 경제운용의 핵심과제는 개혁의 심화가 될 것

개혁의 방향은 시장경제, 혼합경제, 법치경제를 중심으로 이뤄질 것

중국 경제는 회복과 부양 단계를 거쳐 반드시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며 이에 따라 20212사분기와 3사분기에는 빠르게 개혁의 심화를 추진해야 함.


2.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에 따른 중국 공급망의 위기와 기회2)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중국의 글로벌 공급체인은 중대한 영향을 받고 있음.


중국의 수출이 큰 충격을 받으면서 수출 기업과 외국인 투자자가 불확실성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고 이에 따라 대외무역 공급체인의 안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

-수출실적을 보면 20201-2월 중국의 상품수출 규모가 전년동기대비 15.9% 감소, 제조업PMI중 신규수출주문지수는 1월의 48.7%에서 2월의 28.7%로 하락

2월말부터 코로나19가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 신속히 확산되면서 일부 산업에서의 생산이 중단되거나 심지어 기업도산이 발생함. 따라서 외수는 점점 더 악화될 것이며 2사분기 수출도 계속해서 하락할 것으로 예상

-현재 코로나19사태가 심각한 지역들은 중국의 수출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 2019년 미국, 일본, 한국, 독일, 영국,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이란을 포함한 9개 국가에 대한 중국의 수출규모의 비중은 총 37%.

앞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된다면 거의 40%에 달하는 수출 주문량이 감소되거나 지연될 수 있음.

-해외 수요가 감소됨에 따라 중국의 수출은 큰 압력을 받고 있음.

20201-2월 중국 전자기계 제품, 의류, 방직품, 비닐제품, 가구의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16.2%, 20%, 19.9%, 16%, 22.8% 감소했음.

-수출 기업의 신규 주문은 거의 없고 기존의 주문도 납기가 연장되거나 취소되면서 수출이 냉각기에 들어섰음. 수출 기업의 조업정지로 인해 중국 내 6,000만 명 관련 종사자들의 실업을 겪고 있으며 또한 원자재 공급부족으로 인해 국내 공급체인이 충격을 받고 있음.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으로 인한 조업정지는 중국 내 수입에 의존하던 일부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기업들의 조업이 중단되는 연쇄반응을 초래할 수 있음.

-20201-2월 중국의 일반무역 수입규모는 전년동기대비 2.4% 감소했음.

최근 많은 나라들이 엄격한 방역조치를 실시함에 따라 세계 각지에서 조업중단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중국 수입의 불확실성을 확대시킴.

2019년 중국이 미국, 일본, 한국, 독일, 영국,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이란으로부터 수입한 비중은 각각 5.9%, 8.3%, 8.4%, 5.1%, 1.2%, 1.6%, 0.4%, 1%, 0.6%에 달했으나 20201-2월 미국과 스페인을 제외한 기타 7개국으로부터의 수입규모는 전년동기대비 모두 감소했음.

- 중국이 코로나19사태가 심각한 9개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상품중에 전자기계 설비, 광학의료설비, 차량 등 운송설비, 비닐제품, 화학제품 등 제품이 총 수입의 30%이상을 차지함.

특히 그중에 일본, 한국, 독일, 이란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수출보다 높음.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 코로나사태가 비교적 잘 통제되고 있어 반도체 제품에 대한 영향은 작을 것으로 예상함.

그러나 자동차 부품, 기계설비, 화학제품, 항공기 부속품, 약품과 의료설비 등 수입의존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상품은 과학기술 함량이 높아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외로부터의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중국의 관련 산업이 붕괴되거나 가격이 인상되는 등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전 세계의 항공·해상 운송 등의 물류가 제한받게 됨에 따라 물류비용이 급등하면 공급체인의 붕괴 리스크가 더 확대될 것임.

- 중국의 수출물류 비용이 인상되면서 미국, 유럽, 중동, 일본과 연결되는 항공운송 비용은 춘절 전에 비해 2~3배 증가함.

- 항공운송 비용의 지속적인 상승은 글로벌 물류의 중단 리스크를 확대시킴으로써 중국 산업체인은 국제운송 물류의 압력에 직면하고 있음.


코로나19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정확한 공급체인 전략과 정책이 필요함.

- 산업 별 공급체인을 분류하고 적절한 정책을 실시해야함.

민생과 관련된 물자의 공급체인에 대해서는 안전 보장을 우선으로 고려하여 주민들의 일상 소비재에 대한 장기적·안정적 운행을 보장해야함.

응급·방역 물자는 생산을 가속화하고 국내 각 지역에서 대한 배분을 보장해야함.

석유 등 전략물자에 대해서는 비축을 강화하여 해외 공급 중단으로 인한 국내 공급 부족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첨단기술 산업에 대해서는 제품비축을 확대하는 동시에 국내 생산을 추진

- 기업의 공급체인 재편과 스마트 전환을 촉진

·다운 스트림의 생산력을 분석하고 핵심기업과 함께 공급체인의 안전성에 대해 평가를 진행, 역량이 약한 부문에 대해서 비상 계획을 세우고 공급을 다원화하는 조치를 실시하여 공급체인의 안정성을 확보

핵심기업은 공급체인의 디지털화를 가속화하고 투명한 공급체인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급체인의 리스크에 대해 식별·방지·통제가 가능하도록 보장함.

- 일부 외향성 공급체인에 대해서는 국내 공급으로 대체

고부가가치 산업에 대해 국산화 대체가능성을 모색하고 국내 혁신기술 산업의 발전을 지원하며 국제적인 인수합병을 추진하며 해외 기업이 중국으로 이전되도록 촉진함으로써 완비한 국내 산업시스템을 구축

- 물류, 전자상거래의 발전을 가속화하여 더욱 견고한 공급체인의 구축을 촉진해야함.

중국은 물류와 전자상거래가 중국 경제에 대한 받침작용에 대해 중시해야 하며 물류산업의 기초적·선제적·전략적·견인적 산업가치를 충분히 발굴하고 특별 계획정책을 제정하며 물류와 전자상거래의 대국건설을 가속화해야 함.

- 비즈니스 환경을 고도화함으로써 글로벌 공급체인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중추적 지위를 확고히 해야 함.

현재 중국은 제일 먼저 코로나19 위기에서 벗어나고 있어 글로벌 산업 발전을 위한 지역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음.

글로벌 제조중심, 무역중추, 물류대국으로서 더 좋은 비즈니스환경을 조성한다면 외국기업의 투자를 더 많이 유치할 수 있으며 첨단 산업·기술·자본·서비스·인재 유치를 강화하면 공급체인중에서 중국의 중추적 지위는 더 확고해 질 수 있음


1) 王延春,魏杰今年拉动GDP靠投资都市圈是最大机会,财经(2020.05.17); 514, 칭화대 경영학부 중국기업발전과 인수합병·재편 연구센터의 주최로 열린 화상회의에서 칭화대 문화경제연구원 웨이제(魏杰)원장의 발표를 발췌하여 정리함.

2) 「专家观点魏际刚刘伟华疫情全球冲击下中国供应链的危与机(2020. 4. 3), 󰡔国家邮政局发展研󰡕(https://baijiahao.baidu.com/s?id=1662966127544470540&wfr=spider&for=pc)를 참고하여 정리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