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북경사무소

KIEP 북경사무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에서 각종 중국 자료를 요약하여 심층 분석 및 시사점 제공합니다.

[6월 2주차] 코로나19 관련 주요 이슈 및 연구 동향 (1)

KIEP 북경사무소 2020-06-10

1. 코로나19와 중국의 식량안보1)

□ 코로나19로 인해 각국의 공중위생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확산되는 가운데 식량안보에 대한 관련국들의 우려도 높아지고 있음.

-코로나19의 충격으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는 식량 공급에 대한 불안이 확산

이는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일 뿐 아니라 2008년 글로벌 식량위기에 대한 공포의 기억임.

2008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호주, 아르헨티나에서 가뭄이 발생하고 전 세계 곡물 가격이 1년 넘게 상승하였음. 이러한 영향으로 세계 27개국이 식량위기를 겪었고, 8억 명의 빈곤 인구가 기아 위협에 시달림.

이번 글로벌 공중위생 위기는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이미 식량 수출제한 조치와 그 외 엄격한 방역 조치로 인한 물류 중단, 거래 중단 등 차질을 빚으며 글로벌 식량시장에 불안을 가중시킴.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식량 공황을 야기하는 촉매제가 됨.

325일 블룸버그가 발표한 여러 국가의 식량 수출 금지라는 제목의 기사는 짧은 내용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으로 공항을 초래함.

중국의 경우 전반적으로 곡물 가격에 변동이 없었으나 일부 농업관련 주식, 선물, 현물 시장에 오름세가 나타났고 일부지역에서는 주민들의 곡물 사재기 현상이 발생하기도 함.

-또한 일부 국가의 메뚜기 재해는 글로벌 식량시장의 불안을 가중시킴.

최근 70년 내 최악의 메뚜기 피해로 에티오피아, 케냐, 소말리아, 남수단, 우간다, 탄자니아 등 아프리카 국가의 식량 생산이 타격을 받았고, 이들 국가의 식량안보에 위협을 가해 글로벌 시장에 불안을 가중시킴.


□ 코로나19가 향후 글로벌 식량시장에 주는 영향은 주요 식량 생산국의 코로나19 관련 확산·방역 조치·영향 범위·식량 생산·무역 등의 충격에 따라 좌우될 것

-코로나19가 전 세계 식량 생산과 무역에 미치는 충격은 더욱 확대될 것

코로나19로 많은 나라의 경제가 침체된 상황이며 아직 관련 국가의 농업생산에는 뚜렷한 충격이 없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해당 농축산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이미 나타나고 있음.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미국의 주요 육류 가공업체인 타이슨 푸드, 가즈사 등은 최근 일부 직원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되어 일부 공장의 운영이 잠정 중단되는 등 육류 제품에 대한 공급에 차질이 생기고 있음.

코로나19의 영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 일부 농산물 수출국은 더욱 엄격한 방역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정상적인 물류활동이 제한되어 국제 식량 가격을 상승시키게 될 것으로 전망

-향후 방역에 일정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일부 국가의 메뚜기 재해 등 영향으로 식량 생산에 타격을 입는다면 글로벌 식량시장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음.

-투기자본의 투기로 인해 글로벌 식량위기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음.

전 세계 식량위기를 불러온 국제 투기자본의 투기는 2008년 글로벌 식량위기의 교훈임.

현재 식량 수급의 모순은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특히 이번 코로나19로 인한 식량 시장의 이상 현상은 다른 원인과 경로를 통한 것이기 때문에 향후 진정한 위협은 국제투기 자본이 식량시장에 투기하는 것이 될 것임.


□ 현재 중국은 식량안보 보장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전 세계 식량안보 위험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중국은 다음 세 가지 측면의 식량안보 보장시스템을 보유: 주요 곡물을 중심으로 한 국내 식량 생산 시스템 각종 돌발 사건과 비상사태에 대비한 비축 시스템 국제 식량시장과 농업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글로벌 공급체인

-또한 식량안보 보장 능력에 대한 지속적인 강화 추진

국내 식량 생산 능력을 강화하고 농지기반시설 건설과 과학기술 투자를 확대

2004년부터 중국의 식량 생산은 연속해서 16년간 풍작을 이루면서 연 생산량은 2003년 약 4.3억 톤에서 2019년 약 6.6억 톤까지 증가함. 특히 2015년 이후 5년 연속 식량 생산 능력은 6.5억 톤 이상 수준으로 안정화됨.

-국내외 농업자원 배치 총괄 시스템인 국내 공급+수입 보충자원배치 모델을 구축하고 있음.


□ 향후 전 세계 코로나19가 효과적으로 통제가 되지 않으면 글로벌 식량시장의 이상 현상은 식량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나, 식량위기가 발생할 경우에도 중국은 식량안보 보장시스템을 의연하게 대응이 가능함.

-국제 식량시장의 가격 변동성이 높아지더라도 중국 국내시장이 입는 타격은 제한적일 것임.

반대로 만약 국내 식량가격이 일정 정도 상승된다면 농민의 적극성을 높이고 당해 식량생산 안정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누적된 곡물 재고를 소화하는데도 도움이 되어 농업의 공급측 구조 개혁을 추진하는 데에도 유리할 것임.

-또한 향후 국제 투기자본의 투기로 전 세계 식량 가격이 상승하는 위기를 맞이하더라도 중국은 완벽한 식량 비축 조정 시스템과 응급 관리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시장을 안정시키고 식량 공급의 안정적 목표 달성을 해낼 수 있을 것임.


□ 중국의 식량안보 보장능력 강화를 위해서는 식량 생산 능력의 강화 국가 식량 안전 보장 리스크 관리시스템의 구축 주요 농산물 비축 시스템의 강화 및 개선 농산물분야 글로벌 공급체인의 관리 강화 국제적 정책공조 강화 등이 필요  


1) 程国强,关注粮食安全|疫情冲击的粮食安全忧思与应对(2020. 6. 3),中国发展观察(https://baijiahao.baidu.com/s?id=1668454953286876894&wfr=spider&for=pc)을 참고하여 작성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