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주요 이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견해 및 제언이 담긴 칼럼을 제공합니다.

스마트제조 발전 통해 제조업 강국 꿈꾸는 중국

곽복선 소속/직책 : 경성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2021-05-31

Covid-19의 강력한 영향 속에서도 2020년 일인당 GDP 10,504달러(2년 연속 일인당 GDP 1만달러 초과), 경제규모 14조 7천3백억 달러(2.3% 성장)를 달성한 중국은 중국경제의 지속적 발전의 중요한 동력으로 제조업 그 중에서도 스마트제조발전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중국제조 2025>를 기반으로 스마트제조 본격 추진

중국은 이미 2010년부터 차세대정보산업을 필두로 중장비제조업 등 전략적 신흥산업을 추진하면서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시동을 일찌감치 건 바 있으며1) , 5년 후인 2015년에는 <중국제조 2025>를 발표하여 중국의 발전방향이 제조업강국이 되는데 있음을 명확히 하였다.2) <중국제조 2025>는 2020년에 기본적인 공업화 실현, 2025년 제조업 전체능력 제고, 2035년 제조업 강국 중등수준,  2050년 제조업강국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데, 중요한 추진 전략의 하나로 스마트제조(중국어로는 지능제조(智能制造)로 표현)를 추진하고 있다.3)

중국정부는 스마트제조(智能製造)를 ‘차세대정보기술과 선진제조기술의 심층적 융합을 기초로 설계-생산-관리-서비스 등 제조활동의 각 단계를 관통하는 자체감지-자체판단결정-자체집행-자체적응-자체학습 등의 특징을 갖추고 제조업의 품질을 제고하며 효율과 이익 및 핵심경쟁력을 제고하는 선진적 생산방식’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중국이 제조강국으로 자리잡는데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고 밝히고 있다. 

특히, 중국정부는 제조강국의 마스터플랜인 <중국제조 2025>에서 중점추진 사항의 하나로 스마트제조를 지목하면서 1)스마트제조발전 전략의 연구 및 제정, 2)스마트제조 장비 및 제품의 발전 가속화4), 3)제조과정의 스마트화 추진, 4)제조영역에서 인터넷 응용심화를 실현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지난 5년간 <스마트제조 발전계획> 추진으로 기초적 성과 거양

이와 관련하여 중국은 공업화신식화부(工業和信息化部) 주도로 13・5 국민경제 사회발전계획과 <중국제조 2025>에 근거하여 2016년 말 <스마트제조발전규획(2016~2020)>을5) 발표하였으며, 이를 차근차근 추진하여 왔다. 

관련 규획(이하 ‘계획’)은 2016~2020년과 2021~2025년의 두 단계로 나누어 발전목표를 설정하였는데 2020년까지 스마트제조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반조성과 견실화, 전통제조업 중 중점영역에서 기본적으로 디지털제조 실현, 기반을 갖춘 중점산업의 스마트제조로 전환에 있어 뚜렷한 진전을 이루도록 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또한, 2025년까지는 스마트제조 유지시스템을 기본적으로 구축하며, 중점산업에서 스마트제조 전환을 초보적으로 실현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중국정부가 관련 계획을 통해 2020년까지 실현할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한  바있다.(나중에 기술하지만 이 목표들은 2025년까지 목표와 대동소이하다.)

1)스마트제조 기술과 설비 분야의 난관 돌파: 연구개발을 통해 스마트제조 핵심기술설비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시장 충족률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리며, 스마트제조의 핵심범용성기술의 장애를 돌파한다. 스마트제조의 기반성 핵심소프트웨어(S/W) 국내시장 충족률을 30% 이상으로 끌어 올린다.   

2)스마트제조 발전 기초 확립: 스마트제조 표준체계를 기본적으로 완비하여 200개 이상 항목의 스마트제조표준을 제정하며, 제조의 공업인터넷망과 정보안전보장시스템을 초보적으로 구축한다.

3)스마트제조 생태계 초보적 형성: 영업수익 10억 위안(한화 약 1,600억 원)을 초과하는 강력한 경쟁력을 갖춘 시스템솔루션 공급업체를 40개 이상 육성하며, 스마트제조 인재군을 기본적으로 형성한다.

4)중점영역에서 뚜렷한 발전성과를 거양: 제조업 중점영역의 기업들의 디지털화 연구개발설계도구 보급률을 70% 이상으로 끌어올리며, 핵심적인 공업프로세스의 수치제어화률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리며, 디지털화된 작업장/스마트공장 보급률을 20% 이상으로 끌어올려 운영코스트・제품연구제작주기 및 제품불량률을 대폭 감소시킨다.  

이러한 목표의 추진성과는 중국정부가 현재 작성중인 <14・5스마트제조발전규획(十四五知能制造發展規劃)>6) 에서 그 달성 현황을 밝히고 있는데, 이러하 수치들이 정확하다면 중국은 스마트제조 분야에서 초보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제조장비(설비) 국내시장충족률: 50% 이상 도달(목표 달성)
・영업수익 10억 위안의 시스템솔루션 공급상 육성: 43 개사(목표 달성)   
・스마트제조관련 표준체계: 국가표준 285 항목, 이중 중국이 주도한 국제   표준 28 항목을 포함(목표 초과) 
・일정한 영향력을 가진 공업인터넷플랫폼: 70여개 구축
・스마트제조 시범운영 프로젝트 생산효율: 45% 이상 제고
・제품연구개발 및 제작주기: 평균 35% 감소
・제품불량률: 평균 35% 감소
・분산형 스마트제조, 네트웍협력제조, 대규모의 맞춤제조, 원거리제어 유지 서비스 등 다양한 새로운 형태의 업종 출현

이외에도 관련 자료에 따르면7) 스마트제조산업의 생산규모는 2020년(추정)에 2조7천억 위안에 달하였으며, 환발해지역, 장강델타지역, 주강델타지역, 중서부지역의 4개 지역을 중심으로 스마트제조 산업군이 형성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제조개발구도 21개가 형성되었으며(2019년 기준 산동성 4곳, 호북성, 하북성, 강소성 각각 3곳, 북경시, 요녕성 각각 2개, 귀주성, 절강성, 천진시, 광서자치구 각각 1 곳, 개발구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스마트제조“라는 명칭이 있는 산업원구는 537개이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음. 이중 Big data관련 산업원구가 111개로 가장 많고, 그 외 신소재관련 산업원구, 로봇산업원구(68곳)가 다수 존재하고 있음.), 스마트제조 관련 업체의 수량을 보면 광동성(3,000여개), 북경시(2000여개), 상해시(1,000여개) 순으로 분포되어있으며 강소성, 절강성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한편 공업화신식화부가 승인한 스마트제조시험시범프로젝트는 2015년 46개 항목, 2016년 63개 항목, 2017년 98개 항목, 2018년 99개 항목 등 이미 상당 수량에 달하고 있어 스마트제조의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4・5(2021~2025)기간 스마트제조 기반 구축 주력

중국정부는 지난 4월 <14・5스마트제조발전규획(업계의견청구안)>을 발표하면서 2025년까지 스마트제조 목표를 제시하였는데 그 내용을 보면 2020년까지의 초보적인 성과를 기반으로 스마트제조 기반을 확실히 구축하려는 의지가 보인다. 관련 계획안에서 중국정부는 2025년까지 스마트제조의 구체적인 목표로 3가지를 제시하고 있는데 각각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1)(스마트제조)전환 및 고도화에 있어 명확한 성과 거양: 일정 규모이상 제조업기업의8) 스마트제조능력 성숙도가 2급 이상인 기업9)이 50% 초과되도록 하며, 중점업종 및 지역은 3급 이상 기업이 각각 20%, 10% 이상이 되도록 한다. 제조기업의 생산효율, 에너지자원 이용률 등의 대폭 제고 및 제품불량률을 대폭 감소시킨다.

2)(스마트제조 기술 및 장비의)공급능력의 명확한 증강: 스마트제조장비 및 공업S/W기술수준과 시장경쟁력의 현저한 제고, 장비와 기술의 국내시장충족률을 각각 70%, 50% 이상으로 끌어 올린다. 영업수익이 50억 위안(한화 약 8천억 원)을 초과하는 시스템솔루션 공급업체를 10개사 이상 육성한다. 

3)(스마트제조)기반조성 및 견실화: 일군의 스마트제조영역의 창조혁신 분야 및 공공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며, 200개 이상 항목의 스마트제조관련 국가 및 업종표준을 제정・수정한다. 120개 이상의 업종 및 지역별 영향력이 있는 공업인터넷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러한 목표 아래 중국정부는 스마트제조 중점추진 사항으로 4개 방향 12개 분야를 제시하고 있다. 분야별로 추진하는 사항들은 아래와 같다.

1)(스마트제조의) 시스템적 창조혁신 가속화, 융합발전을 위한 동력 증강
①관건이 되는 핵심기술의 난관 돌파: ⓐ설계・생산・관리・서비스 등 제조 전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시뮬레이션・모델혼합구축 등 기초 기술 난관 돌파, ⓑadditive manufacturing10)・초정밀가공 등 선진공업기술 개발 및 응용, ⓒ스마트센서・고성능제어・사람과 기계 일체화 생산・공급사슬 협력 등 범용성기술 난관 극복, ⓓAI・5G・빅데이터・Edge computing 등 공업분야의 응용기술 연구개발
 
②시스템통합기술 난관 돌파 가속화: ⓐ설비・단독기계・작업장・공장 등 제조가 이루어지는 곳에 제조장비・생산관정과 연계된 디지털사전 및 정보모델 구축과 생산프로세스의 범용데이터통합 및 플랫폼간・작업영업간을 상호 연결시키는 기술의 개발, ⓑ산업사슬・공급사슬과 관련하여 기업간 멀티소스의 정보 상호교환 및 전체 사슬의 협력・고도화 기술 개발, ⓒ제조 전과정에 대해 스마트제조의 시스템계획 및 설계・모델구축 및 시뮬레이션・분석 및 고도화 기술의 난관 돌파

③창조혁신 네트웍 구축 가속화: ⓐ관건이 되는 공업기술・기계제작 기계11) ・Digital twin12)・공업지능 등 중점영역에서 일군의 제조업창조혁신센터 등 작업 실체를 건설하여 관건이 되는 범용성 기술의 연구개발 전개, ⓑ산업화촉진기구 건설 추진, 스마트제조 창조혁신 성과 전이 가속화, 시험검증플랫폼 구축을 통해 스마트제조 장비 및 시스템의 확산 및 응용 가속화, 기업이 창조혁신 플랫폼 주도 장려 등을 통하여 창조혁신 자원의 집중 촉진
    
2)(스마트제조의) 확산 및 응용 심화, 전환 및 고도화 신규 방안 개척
①스마트제조 시범공장 건설: ⓐ차세대정보기술과 제조전과정・전요소의 심층적 융합 가속화, 제조기술난관 돌파・공예 창조혁신 및 업무흐름 재조직화,유비쿼터스 센서・전프로세스 디지털화・통합연결・사람과 기술 일체화 및 분석고도화 실현, 디지털 네트웍화・지능화시범공장 건설, ⓑ공급사슬을 주도 하는 기업이 협력플랫폼을 구축토록 유도하여 업스트림-다운스트림 기업들도 동시에 (스마트제조)고도화 추진 ⓒ각 지역 및 업종의 여러 작업공간에서 다차원의 (스마트제조)응용시범실시 장려, 창조적 설계・네트웍 협력제조・대규모 맞춤형제작・예측적 유지보수・원거리 제어 운영 및 유지보수서비스 등 신규 모델 육성
 
②업종간 디지털화 네트웍화 발전 가속: ⓐ장비제조・전자정보・원자재・소비품 등 영역이 세분화된 업종의 특징과 약점을 대상으로 스마트제조실시 로드맵 제정, 단계적 디지털화・네트웍화 개조 추진 ⓑ기초적 조건을 갖춘 기업에 대해 기술개선투자를 확대하고 공업공예혁신・장비고도화・생산과정 스마트화 지원 ⓒ중소기업 디지털화 전문지원활동을 통해 중소기업의 디지털화・네트웍화 발전수준을 적극적으로 제고 ⓒ업종전환 촉진기구 구축・데이터・표준・ 솔루션 심화응용 가속화 ⓓ(스마트제조)경험교류・수급연결활동을전개하여 스마트제조 신기술・신장비・신모델을 종합적으로 추진

③지역별 제조업 디지털화 전환 촉진: ⓐ지방별 창조혁신 정책체계를 개선토록 장려하며 특색을 갖추고 있는 지역별 스마트제조발전 경로를 탐색 ⓑ지역간 스마트제조 관건 기술의 창조혁신・수급연계・인재육성 등 합작 추진 ⓒ지역・업종조직・선도기업 등을 연합하여 선진기술・장비・표준・솔루션을 널리 확산시키며 스마트제조 산업클러스터화・산업원구화 가속화 ⓓ뚜렷한 산업특색・ 긴급한 (산업)전환수요・양호한 기초조건을 갖춘 지역에 스마트제조 선도지역을 조성토록 지원하며, 스마트제조기술 창조혁신 전략창출지역・시범응용 클러스터・핵심장비 및 솔루션 수출지역 조성  

3)(스마트제조의) 자체공급 강화, 산업체계 신규 우위분야 확대
①스마트제조설비 적극 발전: ⓐ감지・제어・결정・집행 등 프로세스에서 부족한 부분(약점)에 대하여 산업계・학계가 연합한 창조혁신을 강화하여 (스마트제조)기초 부품 및 장치에서 겪고 있는 ‘병목현상’ 돌파13) ⓑ선진공예・정보기술과 제조장비의 심층적 융합 추진 ⓒ스마트 작업장/공장건설을 통해 범용・전용 스마트제조 장비 14)의 연구제작 가속화 및 순차적 고도화 추진 ⓒDigital twin・AI 등 신기술의 창조혁신적 응용 추진 및 일군의 선진적 신형 스마트제조장비 연구제작

②공업S/W제품 협력발전: ⓐ소프트웨어기업・장비제조상・고객・과학연구소의 협력을 강화하여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및 제조 프로세스 전과정의 각 단계별 핵심 S/W연합개발 지원, 삽입식 공업S/W 연구개발 및 개발환경 통합, 세분화된 업종에 대한 통합적인 공업S/W플랫폼 연구제작 ⓑ공업지식의 소프트웨어화 및 (공업지식의) 프레임구축 및 소싱 추진, 공업S/W클라우딩화 가속화 ⓒ중점 프로젝트 및 주요 중심기업에 의지하여 안전하고 제어가능한 공업S/W 응용시범 실시15)

③시스템솔루션 적극 조성: ⓐ스마트제조 솔루션공급상과 고객간 상호연결강화・창조혁신 연합 장려, 공예・장비・S/W・네트웍의 시스템통합과 심층적 융합 추진, 전형적 작업장과 세분화된 업종별 솔루션 개발 ⓑ중소기업의 특징과 수요에 맞추어 경량화・용이한 유지보수・저비용의 솔루션개발 ⓒ스마트제조시스템솔루션 공급상의발전을 규범화하여 전문화・고수준・원스톱의 통합서비스 제공 유도 

4)(스마트제조의) 기반공고화, 스마트제조 신규 보장체계 구축
①표준화업무 심화추진: ⓐ표준의 톱레벨설계 지속, 국가스마트제조표준체계 및 업종응용표준체계 구축 통합진행 ⓑ기초적인 범용기술 및 핵심기술표준의 제정 및 수정, 스마트장비・스마트공장 등 분야 국가표준・업종표준・단체표준・기업표준에 있어 상호협조・상호보완의 표준그룹 형성 추진 ⓒ국제표준화업무 적극참여, 기술진전도가 높은 국가표준과 국제표준 동보발전 추진

②정보기초시설 완비: ⓐ공업인터넷망・IoT・5G・1000Mb광케이블망 등 신형 네트웍 기초시설 배치 및 규모화 가속 추진, 기업의 내외부망 고도화개선 장려, 작업현장에서 감지 및 데이터 전송능력 제고 ⓑ공업데이터센터・스마트컴퓨터센터 등 계산기초시설 건설강화, AI 등 신기술응용 공고화 ⓒ대기업집단・공업원구의 내부자원 통합・제품 라이프싸이클 관리・산업사슬-공급사슬의 협력 지원, 특색을 갖춘 공업인터넷플랫폼 구축, 전 생산요소・전 산업사슬데이터의 유효한 통합 및 관리 실현 

③안전보장 강화: ⓐ스마트제조 안전 수요와 관련 네트웍안전・정보안전・기능안전 구축분야의 협력추진을 통해 비밀번호기술 심층응용 추진 ⓑ네트웍안전과 공업데이터 분류 및 등급화관리 강화, 공업데이터처리 및 관리 추진 ⓒ국가・지역・기업에 걸쳐 다단계 정보안전 감시측정예비경보 네트웍 완비 ⓓ네트웍안전산업 공급확대, (안전분야)전용제품시범응용 추진 ⓔ공업안전서비스기구 육성을 통해 진단・자문・설계・실시 등 서비스 능력제고 ⓕ기업이 (스마트제조)안전 분야에서 주체적 책임을 지도록 하며, 정책과 표준이 요구하는 기술시스템과 안전관리제도를 갖추도록 유도

스마트제조 분야에서 중국과 협력 가능분야 발굴 및 시장진출 추진 시급

이상에서 간략히 살펴보았지만 중국은 이미 10여 년 전부터 공업의 고도화를 위해 노력해왔으며 2015년부터는 스마트제조를 제조강국이 되기 위한 핵심추진분야로 설정하여 이를 적극 추진하여오고 있다. 

앞에서 보았듯이 (비록 불완전한 통계이지만) 2020년 현재 중국은 스마트제조의 기초적 체계를 형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년부터 향후 5년간 추진하는 제2차 스마트제조발전계획이 금년 말 확정되면 중국정부와 업계가 모두 스마트제조에 전력 질주할 것으로 보여 2025년이 되면 중국이 상당한 스마트제조 기반을 구축 및 견실화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에게 상당한 위협과 기회를 동시에 가져다 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스마트제조 분야 움직임을 우리 정부・업계・학계・연구소 등에서 예의주시하여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수집된 정보와 비즈니스 협력기회를 적극 활용하여 우리나라 역시 국내 스마트제조 기반 공고화는 물론 고도화를 기해야 할 것이다. 



-----
1) 전략적신흥산업육성 및 발전에 관한 결정(国务院关於加快培育和发展战略性新兴产业的决定, 国发〔2010〕32号 2010.10.10.)을 발표하여 신흥산업 육성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중국정부는 2년 넘게 전략적신흥산업에 포함시킬 제품과 서비스분야를 검토하고 2013년 2월 ‘전략적신흥산업 중점 품목 및 서비스 지도목록(战略性新兴产业重点产品和服务指导目录 2013.2)’을 발표하고 에너지절약 및 환경보호산업, 차세대 정보기술산업, 바이오산업, 첨단장비제조산업, 신에너지산업, 신소재산업, 신에너지자동차산업 7개 산업 24개 분야 125개 항목 3,100여 세부 품목 및 서비스를 발표하고 추진에 들어갔다.

2) 国务院关于印发《中国制造2025》的通知,国发〔2015〕28号, 国务院 2015.5.8.)

3) <중국제조 2025>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전략으로 ①중국제조업의 창조혁신능력 제고, ② 심층적인 정보화 및 공업화 융합 추진(스마트제조), ③공업기초능력 강화, ④품질, 브랜드 구축 강화, ⑤녹색제조(그린 매뉴팩쳐링) 전면적 추진, ⑥중점 영역(차세대정보기술산업, 고급수치제어선반과 로봇, 우주항공장비,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 선박, 선진적 궤도교통장비, 에너지절약 및 신에너지 자동차, 전력장비, 농기계, 신소재, 생물의약 및 고성능의료기계),󰊏제조업 구조조정 심층추진, 서비스형 제조와 생산형 서비스업 적극 발전, ⑨제조업국제화발전수준 제고를 제시하고 있다.

4)스마트제조의 장비 및 제품의 발전 가속화와 관련 <중국제조 25>에서는 ① 고도감지(하이센싱)・스마트 판단 및 결정・자동집행 능력을 갖춘 고급수치제어선반, 공업용로봇, AM(Additive Manufacturing 增材製造. 대표적 사례가 3D 프린팅)제조 장비 등 스마트제조장비 및 스마트생산라인 연구개발, ②신형센서・스마트측정기기・공업제어시스템・서보(servo)전기기기 및 구동기기와 감소기기 등 스마트핵심장치의 공정(工程)화 및 산업화 추진, ③기계・항공・선박・자동차・경공업・방직・식품・전자 등 업종의 생산설비 스마트화 개조가속화를 통한 정밀제조・신속제조 능력제고, ④스마트교통공구, 스마트공정기계, 서비스로봇, 스마트가전, 스마트조명전기, 웨어러블설비 등 제품의 연구개발 및 산업화 추진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5) 工业和信息化部财政部关于印发智能制造发展规划(2016-2020年)的通知,工信部联规〔2016〕349号 2016.12.8

6) 2021.4.14.~2021.5.13.일 기간 각계 의견을 구하는 <十四五知能制造發展規劃(征求意見稿>를 공업화신식화부가 배포한 바 있다. 관례대로 보면 발전계획이 정식 작성되어 최종 발표되는 것은  2021년 말에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13・5스마트제조발전규획>의 경우 똑같은 절차를 거쳐 2016년 12월에 정식 발표되었다.

7) 一文了解中國知能制造發展現況, 中國工業新聞网 2019.9.21.

8) 제조업의 경우 연평균 영업수익(그 기업의 주요 업무 영업수익)이 2000만 위안(한화 약 35억 원 이상) 

9) 중국정부는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國家市場監督管理總局),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國家標準化管理委員會) 주도로 국가표준인 <스마트제조능력성숙도 평가방법(智能制造能力成熟度評고방법)>(GB/T 39117- 2020)을 2020년10월1일 제정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설계, 생산, 물류, 판매, 서비스, 자원요소, 인터넷연결, 시스템통합, 정보융합, 신규업종형태 등 10개 방면을 점수화하여 기업의 스마트제조능력성숙도를  1급(계획단계), 2급(규범단계:단일 업무 데이터 공유), 3급(통합단계: 기업이 장비, 시스템 등을 통합하여 서로 다른 업무 간 데이터 공유), 4급(우위단계: 기업이 인원, 자원, 제조 등 분야에서 데이터 발굴, 지식, 모델 등을 구축하여 핵심업무에 대한 정확한 예측 및 고도화 실현), 5급(선도단계: 기업이 모델에 기초하여 업무의 고도화, 혁신화를 지속 추진하여, 산업사슬상의 협력을 실현하고 새로운 제조모델 및 상업모델을 실현)으로 나누고 있다. 

10) 중국어로는 증재제조(增材製造)라고 하며 기존의 소재를 절삭하여 제조하는 방식에서 소재를 지속적으로 첨가하면서 제조하는 기술을 말하며, 대표적인 샘플이 3D 프린팅이다.

11) 스마트제조에 필요한 기계를 만드는 기계(工作母機) 초정밀 수치제어 선반,그라인더, 가공센터 등을 말한다.

12) 수치를 통해 가상공간에 실물과 같은 입체를 실현하여 시뮬레이션하는 것 등을 말한다.

13) 나노차원의 위치추적센서, 연성촉감센서, 초고해상도시각센서, 고정밀도servo구동시스템, 인간과 기계간 상호 교신하는 웨어러블 설비, 스마트수치제어 시스템 등을 일컫는다.

14) 스마트 입식/와식 5축 가공센터・선반복합가공센터・고정밀수치제어그라인더 등 기계제작 기계, 스마트 용접로봇・스마트이동로봇・반도체로봇 등 공업로봇, 고정밀 검사측정장비 등을 말한다.

15) 연구개발설계분야S/W(CAD, CAE, CAPP, CAM, PLM, PDM 등), 생산제조분야S/W(MES, APS, EMS, PHM, 안전관리 시스템 등), 경영관리분야S/W(ERP,SCM, CRM, QMS, APM 등), 제어집행분야S/W, 업종별전용S/W, 신형S/W(공업APP, 클라우딩S/W 등)


<참고자료>
关于《中共中央關於制定國民經濟和社會發展第十四个五年規劃和二〇三五年遠景目標的建议》的說明,習近平, 人民日报 2020.11.04. 

國民經濟和社會發展第十四個个五年規劃和二〇三五年遠景目標綱要, 新华社,   2021.03.12.

国务院关於加快培育和发展战略性新兴产业的决定,国发[2010]32号,国务院      ,2010.10.10. 

国务院关于印发《中国制造2025》的通知,国发〔2015〕28号,国务院.   2015.5.8. 

工业和信息化部财政部关于印发智能制造发展规划(2016-2020年)的通知,工信部联规〔2016〕349号 2016.12.8

一文了解中國知能制造發展現況, 中國工業新聞网 2019.9.21.

十四五知能制造發展規劃(征求意見稿), 工业和信息化部 2021.4.14

工业和信息化部辦公廳關於開展2018年知能制造試點示範項目推薦的通知, 工业和信息化部 2018.9.27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