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주요 이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견해 및 제언이 담긴 칼럼을 제공합니다.

최근 중국 경제의 리스크 요인 분석과 시사점

김동하 소속/직책 : 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학부 교수 2021-10-29

1. 들어가며

금년 2월 18일, 경제관찰보(经济观察报)는 국내외 금융기관의 경제전문가(수석이코노미스트) 20명을 대상으로 중국경제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당시 다수의 경제전문가들은 2021년 중국경제는 8% 이상 성장하는 가운데 전년도 기저효과 등으로 전고후저(前高后低)의 모습을 전망했다. 특히 이들은 중국경제 리스크 요인을 총 12가지로 꼽았으며, 그중 지방채무 처리, 국유기업 신용채권 부도위험, 높은 레버리지 비율, 부동산 거품, 그림자금융 리스크 등 금융과 관련된 리스크 항목은 5가지에 달했다. 

이들의 리스크 전망은 최근 9월 헝다그룹의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현실로 나타났다. 헝다그룹은 과도한 차입으로 재무구조가 취약한 가운데 부동산 영업여건 악화로 수익성이 저하되면서 디폴트 가능성이 증대되었다. 주요 국제신용평가사도 최근(9.7~15) 헝다그룹 신용등급을 하향조정(Moody’s:Ca, S&P:CC)하여 투자부적격에서 디폴트 임박 수준까지 끌어 내렸다. 게다가 헝다그룹은 9~10월중 지급 예정이었던 달러채 이자(8350만 달러, 4750만 달러, 1억 4813만달러)와 위안화채 이자(2.32억 위안)를 미지급하였으며, 급기야 홍콩증권거래소는 10월 4일에 홍콩 증시에 상장된 헝다그룹과 자회사의 주식 거래를 중지시켰다.1)
 
10월 18일 국가통계국은 2021년 3분기 성장률이 4.9%라고 발표했다. 2021년 1분기 18.3%까지 치솟았던 성장률은 2분기 7.9%로 급락했으며 이어 3분기에는 4.9%까지 떨어진 것이다. 이는 2020년 3분기(4.9%)와 같은 수준으로, COVID-19 사태에 따른 기저효과는 완전히 사라진 것이다. 3분기 성장률은 시장 전망치(5~5.2%)를 하회하여, 다시 ‘중국 리스크론’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게다가 국제 원자재 가격의 고공 행진과 글로벌 공급망 병목 현상에 따른 운임 비용 급등 등 기존 악재에 9월 중순 이후 전력 대란이라는 변수까지 더해졌다. 다른 지표에서도 중국 경제가 처한 어려움이 드러난다. 9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3.1%로 전월(5.3%)보다 크게 둔화했다. COVID-19 발생 초기였던 지난해 3월 이후 최저치다. 올해 1~9월 고정자산투자 누적 증가율은 7.3%로 8월 누적치(8.9%)보다 더 낮아졌다. 

이에 연초 중국 경제 전문가들이 지적한 주요 리스크 요인을 중심으로 그 원인과 배경 그리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주요 리스크 요인

1) 헝다 사태로 불거진 부동산 문제

허난성 출신 쉬자인(许家印. 1958년생) 회장이 설립한 헝다그룹은 부동산개발 사업으로 급성장하였다. 금융, 건강관리, 여행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여 베이징, 상하이 등 139개  도시에서 부동산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업계 2위 규모이다. 쉬 회장은 무한철강학원을 졸업하고 1982년부터 허난성 무양철강 생산라인에서 근무하다가 1992년 광둥성 선전시 중달그룹으로 이직하면서 부동산을 처음 접하게 된다. 그가 헝다그룹을 만들고 부동산업에 뛰어든 1996년 광둥성 광저우는 ‘사회주의 시장경제’가 본격 궤도에 오르면서 건설 광풍이 불던 시기였다. 그는 24년 만에 헝다그룹을 2020년말 기준 자산 및 부채 각각 2.3조 및 1.95조 위안(3,537억 및 2,998억 달러) 규모의 거대 기업으로 키워냈다. 

2021년 9월 부도 위기설이 대두된 헝다그룹 등 중국 부동산 개발기업의 과도한 레버리지에 대한 우려는 이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이에 중국 정부는 건전성 규제 등을 통해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을 유도해왔다. 헝다그룹 사태는 부동산에 의존해 온 성장모델의 취약성, 누적된 부동산 개발기업의 과잉부채, 기업 한계를 초과한 정부의 규제가 동시에 맞물려 나타난 결과이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 수단으로써 인프라·건설 투자가 증가하였고, GDP 대비 부동산 부문 비중이 지속 상승해왔다. 그간 투자의 GDP 성장 기여율이 연평균(2008년~2020년) 50%에 달했다. 결국 부동산 개발기업의 부채비율이 상승할 수밖에 없었고, 분양시장 둔화로 경영여건이 악화된 것이다. 부동산 개발기업의 부채비율은 396.5%로 제조업의 108.0%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헝다그룹은 그중에서도 특히 높아 2021년 상반기에 478.4%를 기록했다. 

설상가상 이러한 문제를 바로잡기 위한 중국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는 헝다그룹에게 회복할 수 없는 타격이 되었다. 중국정부는 2020년부터 레드라인 규제를 통해 부동산 개발기업의 디레버리징을 유도했다. 2020년 8월 20일 공포된 기준을 보면, 부동산 개발기업은 ① 선수금을 제외한 자산부채율 70% 초과 금지, ② 순 부채율 100% 초과 금지, ③ 유동부채가 현금성 자산보다 배 이상 많아서는 안 된다. 헝다 그룹은 2020년 상반기에는 3개 모두를, 1년 후인 2021년 상반기에도 2개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주요 기관들은 헝다그룹의 디폴트가 발생하더라도 구조조정 과정에서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은 편이라고 본다. 이는 중국정부가 헝다그룹 상황이 구조적 위기로 확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정책 수단이 있기 때문이다. 긍정적인 시각의 근거는 헝다그룹 부실은 중국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로 촉발된 것으로 정부가 사전에 헝다그룹 사태가 미칠 영향을 고려했을 가능성을 들었다. 그 전제 조건은 헝다그룹의 자산 매각이 질서 있게 처리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들도 헝다그룹의 디폴트 위기로 인한 투자심리 악화 및 단기적 시장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했다. 

헝다그룹 사태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중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부동산 관련 부문의 부진에 따라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이다. 헝다그룹 자산 중 미완공 주택(작년말 기준 150만 가구)은 53.8%(1.28조위안)에 달하나 당국의 대응 기조를 감안할 때 주택시장 및 건설투자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 중국정부는 헝다그룹 부동산 프로젝트를 특별관리계정으로 설정하여, 주택구매자의 지불금이 헝다그룹이 추진 중인 주택 프로젝트를 완공하는데 사용되도록 관리·감독하는 한편, 인민은행도 주택구매자의 권익을 보호할 것이라고 발표(2021.9.26.)한 바 있다. 

둘째, 헝다그룹 및 관련업체의 보유자산 매각, 투자심리 위축 등이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쳐 소비 회복세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지방정부의 주요 재원인 토지사용권 판매수입이 줄어들어 재정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관리 가능한 부실채권 규모, 정부의 금융시장 통제력을 감안할 때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 헝다그룹 차입금(금융부채) 규모(5,718억위안, 2021.6월)는 금융기관 전체 대출(193.9조위안, 8월)의 약 0.3%로 감내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비록 중국 당국이 헝다 위기는 통제 가능하다고 밝혔지만 헝다의 디폴트 압박이 다른 부동산 업체들로까지 확산하면서 시장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부동산 업체인 신리홀딩스(新力控股)는 10월 19일 만기 도래하는 채권(2.5억 달러)을 상환하지 못했고, 10월 5일 중국부동산(中國地產)도 2억2600만 달러 규모의 채권 상환에 실패했으며, 중견 부동산 업체 화양녠(花樣年)도 10월 4일 2억600만 달러 규모의 달러채를 상환하지 못해 디폴트 위기에 직면한 상황이다. 이에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은 중국 부동산 기업 신용등급을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무디스는 10월 18일 녹지그룹, 양광성, 오원부동산 등 대형 부동산개발업체 7곳에 대해 신용등급을 끌어내렸다.2)

그간, 중국정부의 강경한 부동산 정책으로 미루어볼 때, 헝다그룹에 대한 정부 자금지원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헝다그룹은 자금확보를 위해 우량 자회사 매각 등에 적극 나설 전망이다. 헝다그룹 위기로 수면에 드러난 중국 부동산 리스크는 현재에도 진행중이며 중국정부의 장담처럼 관리가 가능할 지는 그 위기의 확산 정도를 보고 판단해야 할 것이다. 

2) 성장세 둔화 여부

국가통계국이 밝힌 금년 3분기 GDP 증가율은 4.9% 였다. 이는 시장 전망치 5.0∼5.2% 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다. 기저효과가 축소되어도 3분기에는 5%대 성장이 무난할 것이라는 것이 시장 전망이었다. 금년 경제성장률은 1분기와 2분기 각각 18.3%와 7.9%를 나타냈지만 3분기 들어 성장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 

2020년 1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은 –6.8%로 COVID-19 충격에 사상 유례없는 추락을 경험했다. 그라나 곧바로 3.2%로 반등에 성공했고,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4.9%와 6.5% 성장을 기록했다. 이 때문에 중국경제가 올해 '전고후저' 패턴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으나, 3분기 실적 발표 후 너무 빨리 성장 동력이 떨어지는 것 아닌가라는 우려가 나온 것이다. 


이제 두 달 남짓 남은 2021년 4분기는 기저 효과를 보지 못할 전망이다. 여기에 전력난에 따른 제조업 둔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세계 물류 시스템 병목 현상, 회복되지 않는 소비 등 악재가 성장 둔화세를 고조시킬 가능성이 크다. 

3분기 소비자 물가지수는 0.6을 기록하고, 5월 1.3 이후로 지속 하락하는 안정세를 보여 인플레이션 우려는 높지 않다. 다만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동월비 10.7%나 상승했다. 이는 생산 단가 상승을 의미하며 제조업의 채산성 악화를 암시한다. 향후 중국경기를 엿볼 수 있는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6를 나타냈다. 호황 기준선(50) 밑으로 떨어진 것은 COVID-19가 창궐하던 2020년 2월 이후 처음이다.

따라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전력 부족에 따른 제한 송전이 4분기 경제성장률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골드만삭스는 2021년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8.2%에서 7.8%로, 일본 노무라증권은 8.2%에서 7.7%로, 피치는 8.5%에서 8.1%로 하향 조정했다. 내수 소비도 좀처럼 되살아 나지 않고 있다. 3분기 소매판매액은 16.4% 증가한 걸로 나타났으나, 월별로 보면 2021년 3월 34.2%로 정점을 기록한 후, 6월 12.1%, 7월 8.5%, 8월 2.5%, 9월 4.4%로 성장세가 확연히 둔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커창 중국 총리가 연초 밝힌 2021년 경제성장률 목표 6% 이상 달성에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다만 4분기 경제성장률이 급락할 경우 그 여파가 2022년까지 이어진다는 점에서 중국정부는 미세조정 범위 내에서 통화정책 등 다양한 거시조정정책 수단을 사용할 것이다. 거시경제 지표 중 긍정적인 요인은 수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소비자물가와 실업률도 안정선을 유지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실제 9월 도시 실업률은 4.9%로 전월보다 0.2%포인트 낮아졌다. 올해 중국의 도시실업률 목표는 5.5% 안팎이다. 올 3분기까지 도시 신규 취업자는 1045만명으로 연간 목표의 95%를 달성했다. 올해 1인당 소득도 증가했는데, 3분까지 전국 1인당 가처분 소득은 2만6265위안으로 전년동기비 10.4% 증가했다. 도시가구 1인당 가처분 소득은 9.5% 증가했고, 농촌 가구 1인당 가처분 소득은 11.6% 늘었다. 

국가통계국 역시, 3분기 경제성장률을 발표하면서 거시경제 지표가 모두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회복과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금년 1∼3분기 누계 GDP는 82조3131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비 9.8% 증가했다. 종합하면, 2021년 한 해 전체를 놓고 볼 때 성장세 둔화로 보기에는 어렵다는 판단이다. 


3) 위안화 강세와 수출 영향

경제성장 둔화세가 3분기에 나타난 가운데 10월 20일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가 4개월 만에 최고치까지 치솟았다. 인민은행은 이날 위안화의 달러 고시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238위안 내린 6.4069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0.37% 상승했다는 의미이다. 이로써 고시환율 기준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는 2021년 6월 15일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다시 올랐다.

전문가들은 미국 달러 약세 여파가 위안화 절상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평가이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위안화 강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본다. 중국 중금공사(CICC)는 단기 유동성과 수출 호조가 위안화 환율을 뒷받침할 것이라며 4분기 수출은 여전히 비교적 강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말쯤 테이퍼링을 시행하기 전까지는 당분간 위안화 환율이 요동칠 전망이다. 

급격한 위안화 절상은 중국 수출 경쟁력을 떨어뜨릴 우려가 크다. 특히 이미 원자재가격과 운임비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 업체들에 위안화 강세는 부담일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중국 당국은 위안화의 급격한 절상을 방치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4) 민영기업 위축, 기업 혁신 능력 저하

중국의 국진민퇴(國進民退: 국유는 팽창, 민영은 축소) 현상이 강화될 전망이다. 닛케이아시안리뷰(NAR)는 중국 재정부 자료를 인용해 올해 1~8월까지 대형 국영기업들의 총 이익은 1조7700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비 87%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반면 같은 기간 민영기업 총이익은 1조6400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비 3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중국 3대 국영 정유업체인 중국해양석유(CNOOC), 페트로차이나, 시노펙이 상반기 견조한 실적을 달성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한 원유 시장 호조에 힘입어 CNOOC는 상반기 순익이 3배 이상 급증했다. 반면, 민영 기업들은 중국정부의 전방위적인 규제 강화로 인한 순익 감소에 직면하면서 성장세가 둔화했다.3)

이 추세로라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2년 만에 국영기업의 연간 총이익이 민영기업을 제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민영기업은 중국 GDP의 60% 이상, 세수의 60%, 기술혁신의 70%를 차지한다. 일자리도 80%를 창출하며 중국경제 성장을 이끈 주력이다. 이러한 민영기업의 축소는 중국경제 발전에 걸림돌임은 물론, 취업 불안은 사회 불안정과 직결된다.  

그 배경을 보면 무엇보다 신용문제가 크다. 민영기업은 국영기업에 비해 자금 조달의 기회가 현저히 줄었다. 신용등급이 높은 국영기업은 저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반면 민영기업은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당국이 디레버리징을 위해 중소기업의 중요한 자금원이었던 그림자금융 단속을 강화했고, 앞선 헝다 사태에서 보는 것처럼 강력한 부동산 대출 규제책도 펼쳤다. 이에 따라 올해 8월 국영기업들의 부채는 연초 대비 0.5% 감소한 반면 민영기업들의 부채는 20% 증가했다.

게다가 최근 중국의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 격차가 사상 최대로 벌어지고 있다. PPI와 CPI의 격차가 커지면 원자재를 사다가 제품을 만들어 파는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된다. 생산원가 상승분을 소비자에게 쉽게 전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에너지·소재 방면에 집중된 국영기업보다 소비자·소비재를 주로 다루는 민영기업들이 더 큰 타격을 입는 구조다.  

5) 전력난

최근 중국은 전력난으로 동남부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생산시설 가동 등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이번 전력난은 중국의 최대 석탄 수입국인 호주와의 외교 갈등으로 인한 석탄부족 현상과 206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국정부의 친환경 정책 추진이 원인이다. 중국 전력난은 겨울철 난방수요 증가와 친환경 정책기조 유지 등으로 단기간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으로, 장기화시 글로벌 공급망 및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이 불가피해 보인다. 중국경제의 핵심축인 광둥성, 저장성, 장쑤성 등을 중심으로 전력공급 제한조치가 발효 중이다. 이들 지역은 2020년 기준 중국 GDP의 27.4%를 차지하는 수출기지로 전력난이 지속되면 거시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이번 전력난은 호주와의 외교 갈등으로 인한 석탄 교역 중단과 중국내 석탄 부족에 따른 화력 발전량 저하가 표면적 원인이다. 중국은 연간 석탄 수입량이 세계 최대(2020년 3억407만톤)로 전력생산의 2/3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로 석탄 발전이 감소 추세여서, 2011년 77.8%에서 2021년 67.6%로 10년간 10%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반면, 세계경기 복원 과정에서의 수출 등 경제활동 증가로 2021년 8월까지의 연간 누적 전력소비량이 전년비 14.7% 증가한 것도 전력난 가중요인이다.4)

앞서 호주가 COVID-19 조사를 촉구하자 중국은 호주산 물품에 대한 수입중단 조치를 단행하였고, 이에 중국 석탄수입량의 1/4을 차지하는 호주산 석탄 수입(2019년 7696만톤)이 중단되면서 전력 파동이 시작되었다. 호주산 석탄수입은 2020년 4분기부터 급감해 2020년 12월 이후 전무한 상태이다. 게다가 2021년 9월 미국 주도의 안보파트너십인 AUKUS(미·영·호주)에 호주가 가입하고 핵잠수함 개발을 지원하기로 함으로써 양국간 냉각 기류가 연장될 전망이다. 

탄소중립 추진과정에서 지방정부 조치도 영향을 주고 있다. 중국정부는 2030년 탄소배출 피크와 206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각 성별로 에너지단위당 소비와 소비총량 목표치를 배정했다. 중국정부는 지난 8월 각 성별 중간점검 결과를 발표하면서, 20개 지역이 목표 미달임을 환기하고, 광둥성, 장쑤성, 푸졘성 등에 경고를 보냈다. 이에 각 지방정부가 3분기 이후 평가등급 개선을 위해 제조업 공장가동 조절 및 송전 제한 등의 대처에 나섬에 따라 중국 전력수급에 영향을 준 것이다.  

문제는 전력난에 따른 효과가 중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미친다는 점이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과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 최종수요를 위해 해외 중간재를 수입하여 생산된 생산물 중 중국에서 조립·가공되는 비중은 11%(2018년)에 달한다. 또한, 아시아 최종수요를 위해 중국에서 조립·가공되는 비중은 34.2%에 달해 중국의 전력난은 우리 기업들의 공급망에 심각한 영항을 끼칠 것이 우려된다.5)
  
6) 그림자금융과 지방정부 채무

중국금융안정위원회에서는 ‘그림자금융(Shadow Banking System)이란 은행시스템 외부의 실체 또는 행위가 관여된 자금중개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림자금융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면, ① 신용중개활동이 은행감독시스템 외부에 존재, ② 복잡한 거래구조와 높은 레버리지, ③ 제한적 정보공개, ④ 리스크 측정 곤란, ⑤ 높은 집중환매압력(리스크 노출시 군중심리 작동)을 꼽을 수 있다. 

중국의 특성은 이에 더해 ① 은행 중심, ② 원금 보장형 위주, ③ 규제회피를 꼽을 수 있다. 이는 은행 자산이 전체 금융 자산의 90%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금융환경을 반영한다. 따라서 그림자금융의 자산·부채(자금원, 고객)도 은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투자가 제한(부동산개발, 오염유발기업 등)되거나 신용 위험이 높은 고객에 대한 대출이 주를 이룬다. 또한 고위험 상품을 팔기 위해, 리스크 발생시 재매입을 약정하거나 원금을 보장한다. 아울러 감독규정의 회색지대를 활용하거나 인가 받지 않은 금융업 분야에 대한 변칙 영업(대출을 투자자산으로 둔갑)을 시도한다.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중국은 태생적으로 그림자금융이 탄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2000년부터 은행 시스템 외부에 신용중개활동이 등장했다. 그림자금융이 급증한 시기는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후이다. 내수진작을 위한 대규모 통화공급으로 유동성이 증가하였고 금융회사의 대출관련 규제가 완화되었다. 이후 택지조성, 인프라 건설비용 증가로 지방정부 융자플랫폼을 중심으로 그림자금융 부채가 증가하게 된다. 이들은 지방정부 산하 도시건설투자공사, 개발공사, 자산경영공사 등으로, 부동산‧인프라 개발을 위한 자금조달 통로로 활용되었다. 최근에는 인터넷금융상품, P2P 등 인터넷대출이 그림자금융의 새로운 유형으로 등장했다. 


이에 중국정부는 2017년초부터 그림자금융 감독 미비점을 보완하고 미인가, 불법금융활동에 대한 본격적 단속을 시작했다. 이후 그림자금융은 증가세를 멈추었다. 2019년말 기준 중국내 광의의 그림자금융은 84.8조위안으로, GDP의 86%, 은행업 총자산의 29% 이다. 협의의 그림자금융은 39.14조위안으로 전체 그림자금융의 46.2% 수준이다.6)

중국정부는 그림자금융을 금융 리스크의 주범으로 인식하고 규제를 지속 강화하고 있다. COVID-19에 따른 기업 자금 경색, 저신용기업의 자금난에도 불구하고 중국정부는 규제를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다. 이는 그림자금융이 정부정책에 반하는 분야(부동산개발, 에너지 과소비, 오염유발 등)의 자금 통로로 이용되고 있다는 인식에 기반 한다.7)
 
7) 인플레이션, 물가, 기업 수익성

중국의 인플레이션은 소비자 물가(CPI)가 아닌 생산자물가(PPI)로부터 유발될 가능성이 높다. 금년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동기비 10.7% 올랐는데, 이는 국가통계국이 1996년  통계를 작성한 후 최고치이다. 이러한 생산자물가 상승은 중국 제품의 수출 가격을 높여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확산시키고 중국 내에서는 기업들의 이익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국 PPI 급등에는 경기 회복세와 철강·원유 등 원자재 값 급등, 반도체 칩 공급 부족, 물류비용 상승 등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월별 PPI 상승률은 1월 0.3%에 불과했지만 2월 1.7%, 3월 4.4%, 4월 6.8%, 5월 9.0% 등으로 가속화 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중국의 전력대란이 물가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생산비는 오르지만, 소비 부진을 우려하여 판매 가격을 올릴 수 없는 기업들에게는 경영 악화 요인이다.8)
  
반면 경기 회복세 둔화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낮은 상태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기비 0.7% 상승에 그쳤다. 이는 전월(0.8%)보다 오히려 낮다. 이로써 중국의 PPI와 CPI의 격차는 더 크게 벌어졌다. 이러한 상황은 원자재를 사용하는 기업들에게 직격탄이다. 자동차·선박·항공 부문 상당수 업체의 수익률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PPI 중 특히 전력난 등 여파로 일부 에너지 업종의 생산이 제한되면서 가격이 크게 올랐다.  석탄채굴 및 세광 업종 가격이 전년동기비 74.9% 급등했다. 석유와 천연가스 개발업 가격도 43.6% 상승했으며, 철금속 제련가공업 가격은 34.9% 상승했다. PPI는 원자재와 중간재의 가격, 제품 출고가를 반영하는 만큼 경제 활력을 가장 잘 들여다볼 수 있는 선행지표다. PPI 상승률이 높아지면 시차를 두고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인플레이션에도 가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중국 PPI 급등세는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에 부채질을 할 가능성이 높다. 세계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PPI가 상승하면, 국제적으로 중국 제품의 수출 가격을 높여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확산시키기 때문이다.

3. 시사점

첫째, 헝다 사태를 기점으로 중국의 부동산 문제는 ‘공급-수요-금융’ 3자의 정상 궤도 진입을 최종 목표로 한 경착륙이 시작될 전망이다. 이런 맥락에서 2022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및 2022년 시진핑 주석의 연임여부 결정을 앞두고 안정 성장을 강조하는 중국정부가 부동산정책 기조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위기에 직면할 부동산 기업들의 단계적 구조조정을 유도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일시적 부동산 투자 둔화로 인해 전방 산업(가전제품, 가구, 상업서비스, 금융)과 후방산업(철강, 비철금속, 건설기계, 도료, 유틸리티)에 대한 영향이 예상되는 바, 중국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셋째, 최근 중국을 둘러싼 거시경제 환경을 분석해 보면, 내년(2022년) 중국경제는 수출, 투자, 소비 중 어느 한 부문에 집중적으로 자원을 투입하기 어려운 상황인 바, 14·5규획 기간(2021~2025) 중국의 경제성장 연평균 목표치(전문가 예측)인 5% 이내로 안정적인 성장을 목표로 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넷째, 분석 결과 전력난은 비시장적 행위(외교, 지방정부의 행정)에 의해 유발된 측면이 강한 바, 중국정부의 의지에 따라 향후 정상적인 상태로 전환될 전망이다. 

다섯째,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2010년부터 본격화 된 ‘국진민퇴’가 한계 상황에 빠진 민영기업 인수 위주로 진행이 되었다면, 2022년 이후 등장할 ‘국진민퇴’는 민영 기업이 주도권을 쥔 산업에 대한 통제 강화로 등장할 전망이다. 이는 최근 벌어진 알리바바 등 빅테크 기업에 대한 통제와 사교육에 대한 규제를 통해 확인 된 바 있다. 여섯째, 그림자금융은 앞서 전문가들이 지적한 12대 리스크 중 하나인 지방정부 채무와 바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향후에 중국정부는 그림자금융에 대한 관리·감독과 규제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
1) 중국 내 언론에 따르면 이중 달러채 이자 8350만 달러를 수탁 기관인 씨티은행에 송금했다며 채권 보유자들이 10월 23일 전에 돈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되었다. (증권시보. 2021.10.22).
2) 아주경제(2021.10.19.)
3) 아주경제(2021.10.19.)
4) 이원호(2021), 중국 전력난의 배경과 향후 영향, Weekly KDB Report(2021.10.18.), KDB 미래전략연구소. 
5) 강내영 외(2020.8),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우리의 대응-중국을 둘러싼 공급망 분석을 중심으로, Trade Focus (2020-28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6) 중국 금융당국은 은행시스템 외부의 자금중개활동 전체를 ‘광의의 그림자금융’으로, 이중 시스템 리스크 유발 가능성이 높거나 적극적 신용중개 관련 활동을 ‘협의의 그림자금융’으로 구분한다. 
7) 금융감독원 북경사무소(2020.12.25.), 「중국 그림자금융 현황과 전망」. 
8) 아주경제 (2021.10.14)

<참고문헌>
강내영 외(2020.8),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우리의 대응-중국을 둘러싼 공급망 분석을 중심으로,「Trade Focus (2020-28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금융감독원 북경사무소(2020.12.25.), 「중국 그림자금융 현황과 전망」. 
이원호(2021.10.18.), 중국 전력난의 배경과 향후 영향,「Weekly KDB Report」, KDB 미래전략연구소. 
한국은행 북경사무소(2021.9.28.), 최근(8~9월) 중국경제의 동향과 전망,「동향분석」. 
한국은행 북경사무소(2021.9.22.), 중국 부동산개발기업 헝다(恒大)그룹 디폴트 우려 확대,「현지정보」. 
한국은행 조사국 중국경제팀(2021.10.15), 헝다그룹 사태가 중국경제에 미치는 영향,「국제경제리뷰」, 2021 – 22호. 
한국은행 홍콩주재원(2021.9.21.), 중국 헝다그룹(에버그란데) 이슈에 대한 홍콩내 금융기관들의 견해,「현지정보」. 
经济观察报(2021.2.18.), 预见中国经济:稳字当头 改革可期. 
赵同录(2021.10.19.), 经济运行继续保持恢复态势, 中国经济网 
国家统计局(2021.10.18.), 前三季度国民经济总体保持恢复态势. 
国家统计局(2021.10.18.), 国家统计局新闻发言人就2021年前三季度国民经济运行情况答记者问. 
国家统计局(2021.10.19.), 2021年三季度国内生产总值(GDP)初步核算结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