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주요 이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견해 및 제언이 담긴 칼럼을 제공합니다.

우주공간에서의 미·중 세력 경쟁

김연규 소속/직책 :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21-12-29

2020년 6월 23일 장정-3B 운반 로켓이 쓰촨성 시창 위성 발사 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중국이 자체 제작한 3세대 북두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北斗全球卫星导航系统, Beidou Quanqiu Weixing Daohang Xitong, Beidou-3 satellite constellation)의 30번째이자 마지막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킴으로써 원래 일정보다 6개월 앞서 3세대 네트워크를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관영 매체에서는 이 발사를 "완전한 성공"이자 "중국 우주 개발의 이정표"라고 극찬했다.

최근 미 공군 우주사령부의 데이비드 톰슨 부사령관이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우주능력이 급격히 빨라지고 있어 미국을 앞지를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중국이 최근 우주 분야에서 상업적 군사적으로 세계 제일의 우주분야 초강국이 되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들을 펼치고 있어 미국과 중국사이의 강대국 경쟁이 우주공간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1960-70년대 미국과 소련이 벌였던 우주공간에서의 강대국 경쟁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 재현되고 있으며 1980년대 이후 자리잡은 미국의 우주공간에 대한 독점적 지배가 중국의 우주 능력의 급속한 확대로 도전을 받고 있다(박병수 2021).

2019년 중국은 달 뒷면에 처음으로 착륙한 국가가 되었다. 2020년에는 마지막 Beidou 위성을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려놓음으로써, 미국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도전하게 되었다. 2021년 4월에는 미국에 이어 화성에 로버(rover)를 보낸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미국은 다섯 차례에 걸쳐 화성에 로버를 보냈다(Gan & Westcott 2021).

2019년 트럼프 행정부와 의회는 2002년 이후 문을 닫았던 미 우주군사령부를 재건하고 미 우주군을 독립된 부대로 창설했다. 2021년 6월 나토(NATO) 정상 회담에서 정상들은 처음으로 나토회원국에 대한 우주에서의 공격도 집단 방어를 요구하는 5조 조항 발동여건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Bender & Klimas 2021).  


냉전기간 강대국 우주경쟁

우주 탐사는 미소 냉전 경쟁의 중요한 한 축이었다. 1957년 10월 4일 소련의 R-7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이자 지구 궤도에 올려진 최초의 인공 물체인 스푸트니크("여행자")를 발사했다.  스푸트니크의 발사는 미국인들에게 충격이었다.  1958년 미국은 미 육군이 설계한 자체 위성인 Explorer I 을 발사했다. 같은 해 에 아이젠하워 (Dwight D. Eisenhower) 대통령은 우주 탐사에 전념하는 연방 기관인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를 만드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1959년 소련은 달에 착륙한 최초의 우주 탐사선인 루나 2호를 발사하였고, 1961년 4월 소련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은 캡슐과 같은 우주선 Vostok 1을 타고 지구 궤도를 돈 최초의 사람이 되었다. 

인간을 우주로 보내려는 미국의 노력으로 NASA 엔지니어들은 더 작은 원뿔형 우주선을 설계했다. Vostok보다 훨씬 가벼운 모양의 캡슐에 침팬지를 태운 우주선을 테스트했고 가가린보다 앞서 1961년 3월에 마지막 테스트 비행을 했다. 5월 5일 우주비행사 앨런 셰퍼드(Alan Shepard)는 우주비행에 성공한 최초의 미국인이 되었다.

1961년 5월 말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미국이 10년 뒤 사람을 달에 착륙시킬 것이라고 선언했다. 1969년 7월 20일 미국 우주인 닐 암스트롱 (Neil Armstrong)을 태운 Apollo 11호가 달 착륙에 성공하고 암스트롱은 인류 최초로 달 표면을 걸었다. 그는 그 순간을 "인간을 위한 작은 한 걸음, 인류를 위한 거대한 도약"이라고 불렀다.

소련은 1969-1972년 사이에 4차례의 달 착륙 시도에도 불구하고 실패하게 됨으로써 1957년 스푸트니크 발사 이후 시작된 미소 우주경쟁은 미국의 승리로 끝났다. 1970년대 이후 미국의 우주개발에 관한 관심과 투자는 다소 감소하는 가운데 미국과 소련은 우주개발에 관해 공동으로 우주정거장을 설치하고 협력하는 단계에 들어갔다.


우주강국 중국의 등장

중국의 우주개발 계획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50년대로 미국과 소련의 우주개발 움직임에 반응하는 차원이었다. 소련과의 로켓 기술 협력이 초기 기반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57년 중-소 로켓 기술협약에 의거하여 중국으로 건너온 소련의 로켓기술을 개량해 중국은 1960년에 최초의 로켓을 발사할 수 있었다. 중국이 처음으로 인공위성을 발사한 것은 1970년이었다. 소련, 미국, 프랑스, 일본에 이어 다섯 번째 국가였다 (Julienne 2021: 27). 

우주 강대국을 따라 잡기 위한 중국의 유인 우주 프로그램은 1992년 9월 프로젝트 921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이것은 '3단계' 개발전략(the “Three Steps” development strategy for manned spaceflight (“三步走”的发展战略)이었다. 1단계는 우주선을 건조하는 것이고 2단계는 유인 우주 실험실을 궤도에 올려놓는 것이었다. 여기에는 extra-vehicular activity (EVA) 기술, 랑데부 및 도킹 등이 중요한 기술이었다. 3단계는 우주정거장 건설이었다. 이를 위해 중국 유인 우주 공학 사무소(The China Manned Space Engineering Office (CMSE)가 설립되었다 (Julienne 2021: 27)

1999년과 2003년 사이에 4번의 선저우(Shenzhou) 무인 우주선 비행 테스트 이후 2003년 10월 중국은 유인 우주선 발사에 성공했다. 선저우 5호에 탑승한 최초의 우주인 Yang Liwei가 최초의 우주비행에 성공한 중국인이 되었다. 미국과 소련이 성공하고 약 40년이 지나서 중국은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한 세 번째 국가가 되었다.  2년 후인 2005년 10월 중국은 2명의 우주인이 탑승한 우주선을 발사했으며 2008년 9월에는 3명의 우주인이 선저우 7호에 탑승했고 그 중 2명이 첫 번째 차량 외 활동(EVA)에 참여했다. 

2011년 11월 우주선 선저우 8호가 자동으로 중국 최초의 우주 정거장 건설을 위한 모듈인 톈궁 1호와의 랑데부 및 도킹에 성공한 데 이어 두 명의 승무원들은 2012년과 2013년에 며칠 동안 모듈에 머무르는 데 성공했다.  2016년 톈궁 2호가 발사되었으며 이제 우주 정거장 건설의 마무리를 위해 2022년 톈궁 3호 발사를 앞두고 있다(Julienne 2021: 28). 


중국 우주정거장 건설

2021년 6월 중국 우주비행사 3명이 아직 공사 중인 중국의 우주정거장에 3개월간 체류하면서 미·중 우주 경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현재 우주 궤도에 있는 다른 유일한 우주 정거장은 미국이 주도하고 러시아, 유럽, 일본, 캐나다와 협력하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이다 (Gan & Westcott 2021).

지난 23년 동안 중국을 제외한 19개국에서 온 200명 이상의 우주비행사들이 ISS를 방문했다. 2011년부터 NASA는 스파이 관련 우려로 중국과의 우주협력을 사실상 금지시켰다. 

이러한 ISS로부터의 중국 배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중국이 자체 우주 정거장인 톈궁을 건설하도록 자극했다. 톈궁은 ISS 폐기 예정인 2024년보다 2년 앞선 내년 말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미국, 러시아 등이 ISS의 운영 수명을 연장하기로 결정하지 않을 경우 중국의 우주 정거장은 우주에서 유일한 유인 전초 기지가 될 수 있다 (Gan & Westcott 2021).

이미 중국 정부와 우주 관련 관리들은 우주 정거장이 완공되면 외국 우주비행사를 환영하고 싶다는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중국은 또한 2035년까지 달의 남극에 공동 연구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러시아와 손을 잡고 있다.  

한편, 미국은 안전하고 책임 있는 달 탐사를 위한 기본 원칙을 수립하기 위해 자체 국제 연합을 구축하고 있다. 나사(NASA)는 미 국무부와 협력하여 2020년 아르테미스 협정(Artemis Accords)의 설립을 발표했다. 아르테미스 협정은 1967년에 맺어진 달과 우주를 포함한 우주 공간의 탐사 및 이용에 관한 국가 간 조약 (the 1967 Treaty on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간략히 Other Space Treaty 라고도 한다)을 강화하는 것이다 (Strickland 2021). 
 
우리나라는 2021년 5월 27일 공식적으로 아르테미스 협정에 가입한 10번째 국가가 되었으며 현재 영국, 호주, 캐나다, 일본 등 주요 동맹국을 포함해 12개국이 서명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서명하지 않았다. 

중국은 우주개발의 기술면에서는 미국에 뒤지지만 양적인 면에서는 미국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뉴욕타임즈紙 보도에 의하면 현재 우주에는 군사용을 포함해 약 3000개의 인공위성이 있다 (Broad 2021). 미국 위성 수는 약 1,425개이고 중국은 382 개로 2위, 러시아가 172개로 3위이다. 매년 신규 발사하는 인공위성 수는 중국이 39개로 미국을 앞질렀다(Broad 2021).



3세대 북두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

Beidou-3는 초기 1세대 및 2세대 Beidou 위성 항법 네트워크와 주목할 만한 차이가 있다.  Beidou-3의 완성은 중국의 군사 능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미국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러시아 GLONASS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Beidou는 원래 군사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은 Beidou-3를 주로 상업적 및 과학적 목적을 위한 민간 주도 프로그램으로 홍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왔다. 그러나 Beidou-3는 전반적인 군사 지휘하에 있다. 

Beidou는 또한 유라시아에서 중국의 외교적, 지정학적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Beidou는 일대일로(BRI)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중앙 및 남아시아 전역의 국가들을 Beidou 서비스 권역 안으로 편입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종종 "정보 실크로드"(信息丝绸之路, Xinxi Sichou zhi Lu), "디지털 실크로드"(数字丝绸之路, Shuzi Sichou zhi Lu), 또는 "Space Silk Road"(太空丝绸之路, Taikong Sichou zhi Lu)라는 이름으로 디지털 공간을 넘어 아시아 전역, 유럽, 아프리카를 우주공간으로 연결하고 있는 것이다.




----
1. 박병수. 2021. “미 우주사령부 “중국 우주능력, 10년 후 미 앞지를 수도,” 12.06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siapacific/1022100.html#csidxed18a12049fef5da882bf992c850430
2. Bender, Brian & Jacqueline Klimas. 2021. “Space war is coming — and the U.S. is not ready,” Politico, April 6 (https://www.politico.com/story/2018/04/06/outer-space-war-defense-russia-china-463067)
3. Broad, William. 2021. “How Space became the Next Great Power Contest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New York Times, May 6, 2021 (https://www.nytimes.com/2021/01/24/us/politics/trump-biden-pentagon-space-missiles-satellite.html).
4. Gan, Nectar & Ben Westcott. 2021. “US-China rivalry is extending from Earth into space: That poses a challenge to American dominance,” CNN, June 21 (https://edition.cnn.com/2021/06/21/china/china-us-space-race-mic-intl-hnk/index.html)
5. Julienne, Marc. 2021. China’s Ambitions in Space: The Sky is the Limit. January, IFRI (French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ffairs).
6. Strickland, Ashley. 2021. “NASA's new Artemis Accords govern how we cooperatively and safely explore the moon and Mars,” CNN, May 18 (https://edition.cnn.com/2021/06/21/china/china-us-space-race-mic-intl-hnk/index.html)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