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이슈트렌드] 中 초대형 희토류 국유기업 탄생으로 향후 희토류 가격 협상력 높일 것

CSF 2022-01-06

□ 중국은 세계 최대의 희토류 공급국임. 미국 지질탐사국 데이터에 따르면, 2000년 이래 중국의 희토류 공급량은 줄곧 세계의 69% 이상을 유지하였고, 2010년에는 97%에 육박하기도 함.

◦ 중국의 희토류 매장량은 세계 매장량의 37%에 육박함. 
- 미국 지질연구소(USGS)의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희토류 매장량은 1억 2천만 t이며, 그 가운데 중국의 매장량은 4,400만 t으로 37%에 육박함. 
- 하지만 지난 몇 년간 중국의 희토류 자원의 채굴량과 소모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중국 내 확인된 희토류 매장량은 2010년 대비 20% 감소함.
 
◦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희토류 채굴 총량제를 시행하고 있으나, 여전히 세계 최대 채굴 규모를 자랑하고 있음.
- 2018년 중국의 희토류 채굴량은 14.3% 증가한 12만 t으로, 전 세계 채굴량의 83%에 육박함. 
- 여타 희토류 생산국 대비 과도한 생산량과 이에 따른 환경 문제 등을 이유로 정부 차원에서 희토류 채굴 총량제를 시행하면서 채굴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2020년 기준 연간 채굴량 14만 t으로 여전히 세계 최대 규모임.  

◦ 2016년 이전 중국의 희토류 생산량은 세계 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2017년 이후 미국, 호주 등 국가의 생산량 증가와 중국의 전략자원 채굴 총량제가 겹치면서 중국의 희토류 생산 비중은 지속해서 줄어들어 2020년에는 58%까지 떨어짐. 

◦ 중국은 희토류에 포함된 광물질 17종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임. 
- 중국은 막대한 매장량과 더불어 희토류 활용에 핵심적인 분리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희토류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수출국이자, 희토류에 포함된 광물질 17종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임. 

◦ 희토류는 ‘현대 공업 분야의 비타민’이라 불릴 정도로 광범위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음. 
- 중국 내부적으로도 현대 공업 분야의 지속적 발전으로 희토류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
- 중국 희토류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2006~2020년 중국의 희토류 소비량은 지속 상승하고 있음. 2020년 소비량은 11만 5,400t으로 동기 대비 약 4.5% 증가함. 

◦ 희토류는 주로 자성 소재, 촉매제, 수소저장 소재, 반도체용 연마제, 합금 소재 등 기능성 소재에 쓰임. 
- 중국에서는 희토류 자성 소재에 대한 수요가 가장 많음. 2020년 희토류 자성 소재의 생산량이 20만 t을 넘어섬.

◦ 수요 측면에서, 2020년부터 신에너지 자동차의 희토류 수요 증가에 따른 변화가 시작됨. 
- 현재 시장에 출시된 신에너지차의 99.5%가 희토류 소재의 영구자석 모터를 장착하고 있음. 이에 따라 신에너지차의 희토류 수요는 기존 화석연료차보다 5~10배 증가함. 

◦ 희토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희토류 산업 역시 활황세를 보임.
- 2021년 중국 희토류 산업지수의 누적 상승률은 74%를 기록하였음. 
- 올해 장내에서 거래된 모든 상장지수펀드(ETF) 가운데 희토류 산업지수의 상승 폭이 2위를 기록함.  

◦ 희토류는 재생 불가능한 중요한 전략자원으로 △ 전통산업의 개조 △ 신흥산업 육성 △ 국방기술 발전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핵심 자원임. 
- 전 세계적으로 과학기술 혁명과 산업 혁명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도 ‘일대일로’, ‘중국제조 2025’, ‘인터넷+’ 등 국가적 전략을 이행하고 있으며, 신에너지, 신소재 등 전략적 신흥산업, 첨단기술 산업의 발전에 필요한 동력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향후 중국의 국민경제 및 사회 발전에서 희토류의 역할과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임. 

◦ 희토류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희토류 산업 발전을 위해 중국은 최근 시장 정비에 나섰고, 희토류 산업 공급구조를 개선하고 있음. 중국은 향후에도 국내 희토류 채굴 총량을 지속해서 제한할 것으로 보임. 

◦ 2021년 발표된《희토류 관리조례(稀土管理条例(征求意见稿)》의견수렴안은 향후 중국의 희토류 산업이 더욱 건전하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것임을 시사함. 
- 과거 심각했던 희토류 불법 채굴 문제는 거의 근절되었고, 희토류 공급 또한 기본적으로 안정을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2~3년간 희토류 공급량이 지난 10년간의 수요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임. 

◦ 2021년 말, 중국희토그룹유한회사(中国稀土集团有限公司ㅡ, 이하 ‘중국희토그룹’)가 정식 창립함. 
- 중국희토그룹은 중앙정부 산하의 신규 국유기업으로, 중국의 ‘희토류 왕국’이라 불리는 장시성(江西省) 남부에 소재한 도시인 간저우(赣州)에서 정식으로 창립함. 
- 중국희토그룹은 중국알루미늄그룹(中铝集团), 중국우쾅그룹(中国五矿集团), 간저우희토그룹(赣州稀土集团) 등 기존 대형 희토류 생산 국유기업 3곳, 국유 연구기관 2곳 등 총 5개 기관이 통합하여 출범한 그룹으로, 중국 희토류 자원의 경쟁력과 산업 발전을 위해 만들어짐. 
- 업계 관계자는 “중국희토그룹의 출범으로 중국 내 희토류 산업의 집약도가 더욱 높아져 중국의 희토류 가격 협상 능력도 강화될 것”이라며, “이로써 중국의 희토류 자원의 전략적 지위가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함. 

[관련 정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