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주요 이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견해 및 제언이 담긴 칼럼을 제공합니다.

청년창업 국가, 중국이 안고 있는 숙제

안태욱 소속/직책 : 군산시 청년뜰(청년센터·창업센터) 센터장/창업학박사 2022-03-31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글로벌 국가들은 창업을 국가 아젠다로 삼고 창업 활성화를 위해 정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적인 인재 양성과 창업기업 발굴을 위해서는 기업가 정신 확산과 창업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혁신국가로 성장하는 데 있어 창업 활성화로 인한 성과확산은 검증을 마친 유의미한 정책이다. 글로벌 환경에서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국가는 정부 주도의 창업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사회 ‘大众创业, 万众创新’ 키워드 등장

중국의 경우, 국가 차원에서 창업에 열의를 가지고 집중적인 지원을 펼치고 있다. 시진핑 정부는 2015년부터 대중창업(大众创业)·만중혁신(万众创新)1) 정책을 공표하며 지난 7년 동안 창업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그 결과, 중국 창업환경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현재 중국 국민의 창업 열기는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매년 신규 창업기업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창업 특구 지정을 통해 전국을 스타트업 메카로 육성하고 있다. 특히, ‘중창공간(众创空间)’을 전국으로 확산시켜 공간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이는 창업에 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을 유발하고 혁신을 이뤄내려는 조치이다. 단순히 물리적인 창업 공간을 확보하였을 뿐만 아니라 창업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킹, 자원공유 등을 지원하여 ‘제도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창업플랫폼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렇게 오늘날 중국이 창업 국가로 성장하게 된 요인은 무엇보다 정부 주도의 강력한 정책적 뒷받침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시장가치가 높은 기업이 모두 중국에 진출하였는데, 그 결과,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이 유니콘2) 기업이 미국 다음으로 많은 국가이다. CB인사이트3) 집계를 분석한 결과 2021말 기준 유니콘을 10개 이상 보유한 국가는 11개국이다. 특히, 2019년에는 중국이 미국보다 많은 유니콘 기업을 보유했었지만 2021년 미국에서 새로 등극한 유니콘 기업이 294개를 기록하며 지난 5년간 나온 유니콘 보다 많이 나와 절반이 넘는 488개 △중국 170개 △인도 55개 △영국 37개 △독일 25개 △이스라엘 21개 △프랑스 20개 △캐나다 16개 △브라질 15개 △싱가포르 12개 △한국 11개 순으로 나타났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9년 이후 창업을 통해서 중국 사회 경제 변화와 혁신을 끌어내고 있다는 평가, 2022년 지속해서 중국이 글로벌 창업 선도국으로 유지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중국 대학, 창업생태계 중심 역할

중국 창업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청년 창업가가 해마다 증가한다는 점이다. 

중국 대학은 창업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창업 활성화를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중국 정부는 관계부처 통합에 따라 ‘대학생 창업유도계획’을 2014년부터 실시하였으며 2014~2017년 동안 대학생 창업가 80만 명 양성 정책을 발표하는 등 중국의 미래를 이끌어 갈 창업 인재 양성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한국무역협회(2021)에서 한중 양국의 실제 창업비율을 비교해본 결과, 우리나라와 10배 차이가 났다. 또한, 직업 선호도 측면에서 차이점이 존재했는데, 한국의 대학생은 진로에서 안정성을 추구하는 반면, 중국 대학생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했다(리우원・안태욱・강태원, 2021). 

중국은 2년마다 전국에 있는 유수 대학을 순회하면서 전국대학연합(全国学联) 기관에서 주관하고 있는 중국창업계획경진대회(小挑战杯)를 개최하고 있다(高扬·付冬娟·邵雨, 2015). 무엇보다 실질적인 창업 역량을 함양하는 창업 실무 중심의 교육을 이뤄나가고 있다(吴晓义, 2014). 2010년부터 전국적인 공공 및 민간 주도의 창업인큐베이팅 공간 구축, 창업 규제 간소화 등이 이루어졌다(陈劲, 2015). 칭화대학의 정문에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글로벌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세계 TOP 수준의 창업생태계 구축을 한 중관춘 클러스터를 보유하고 있다(Gauthier, Penzel, and Max, 2017). 

중국, 청년창업 국가

중국의 창업은 청년창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은 제조업 중심 사회에서 많은 국민이 창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혁신하여 국가 성장을 견인하는 창업 국가로 새롭게 거듭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 2015).

중국 청년창업취업기금회와 쩌핑거시 연구팀에서 2021년 8월 공동으로 연구한 자료에 의하면, 중국 청년창업의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한국 창업자의 경우, 50대가 주류를 이룬다. 2021년 1분기 창업기업 동향발표 2021.05.27. 중소벤처기업부. 2021년 1분기 창업기업 동향발표5)에 따르면 50대가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40대가 창업에 많은 관심을 보인다. 반면, 중국에서 창업을 이끌어가는 세대는 한국처럼 중·장년층이 아니라 바로 청년세대다. 특히, 연령 기준으로 볼 때 19~23세가 51.3%를 차지하고 있다. 놀라운 수치가 아닐 수 없다. 전체 인구 연령 분포도에서 20대가 창업의 중심에 서 있는 것이다. 바야흐로 중국은 청년창업 국가 시대에 살고 있다. 중국 창업에 있어서 구체적인 직업적 배경을 살펴보면 대학생이 43.6%, 졸업예정자 13.1%, 대학 졸업 후 미취업자 12%로 합계 68.7%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청년은 왜 창업에 관심이 있는가?

中国青年创业发展报告(2021) 연구에 의하면 중국 전체 창업자 중에서 생애 최초 창업자는 74.3%, 복수 창업자는 25.7%를 차지하고 있다. 사회진출을 위한 진로 차원에서 창업을 선택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된다. 

중국의 청년은 왜 창업에 관심을 가질까? 

창업 동기를 살펴보면 1순위가 ‘자신의 꿈을 실현하고 흥미를 느끼는 일을 하고 싶어서’, 2순위는 ‘경제적 부를 창출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 창출’, ‘시장기회와 사업 전망이 좋기 때문’이라고 한다. 중국 청년은 이상을 실천하기 위한 도전정신과 시장의 경제적 여건을 살피는 실무적 감각을 지니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중국 청년창업, 체질 개선 시급 

중국 청년창업의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 낮은 중창공간(众创空间) 입주율, 기술창업 중심의 우수한 프로젝트 선별 난제, 부가가치가 낮은 일반창업 집중 현상 등 문제가 존재한다. 즉, 많은 중국 청년이 창업에 뛰어들고 있지만, 기술과 자금 문턱이 높지 않은 업종으로 몰린다는 분석이다. 주로 농림축산어업(20.8%), 도소매(15.9%), 교육문화 관련업(14.9%) 등에 집중되어있었다. 그 이유는 대부분 청년 창업가에게 있어 경험, 네트워크, 자기자본금, 사회적 자원 등 모든 것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반면, 중국의 유니콘 기업은 스타트업 참여율과 대규모의 벤처자금, IT 대기업을 지원하는 VC생태계 조성 덕분에 단기간에 성장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년 창업가를 위해 조속히 창업의 질 개선 방안을 세워야 한다. 

청년창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부터 창업교육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창업을 지도하는 교수, 멘토, 전문가들의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창업학 석·박사 과정을 만들어 전공자들을 육성하여야 한다. 최근 중국에서 한국으로 창업학박사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서 유학을 오는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 내 전문가를 Entrepreneurship 해외 연수, 학위과정을 통해서 창업교육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선진국처럼 초, 중, 고등학교 과정으로 확산하여 어릴 때부터 기업가정신을 함양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시장과 창업아이템 변화에 따른 기회포착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향후 중국 펫테크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중국인이 늘어나면서 펫코노미(Pet+Economy)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반려용품 제품에 ICT 기술을 적용한 펫테크 창업이 유망하다. 반려동물 케어 제품에 4차 산업 기술을 접목한 펫테크 스타트 창업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또한, 코로나19 발생 이후 교육 시장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교육 시장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중국 인터넷 개발 보고서(2021)6)에 따르면, 온라인 교육 시장이 전년 대비 20.2% 성장했다. 청년 창업가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에서 교육 아이템으로 창업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서 교육 관련 기술과 아이디어가 창업아이템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제는 홈코노미(재택문화) 시대이다. 중국 소비자의 생활패턴에 다양한 변화가 발생했다. 간편식, 스마트 회의, 홈뷰티 케어, O2O 등 창업 기회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중국 시장에서 뷰티, 건강, 공유경제, 스마트 가전, 반려동물 등이 유망한 창업아이템이다.

따라서 중국이 더욱 발전적인 방향으로 성장하는 데 있어 청년이 창업에 많은 관심을 가지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다. 하지만 생애 처음 창업에 도전하는 이들의 나이가 대부분 젊은 편이기에 경험이 부족하고, 성공률도 낮으며, 생존율이 낮다. 그러므로 처음 창업에 도전하는 창업가의 성공률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집중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여러 번(N번) 창업하는 경우 첫 창업보다 질이 높고, 전망도 밝다. 정책적으로 창업을 지원하는 관점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생애 첫 창업도 중요하지만 N번 창업가를 위한 지원 정책도 잊어서는 안 된다.

마지막으로 창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창업교육의 질을 개선이 필요하다. 창업교육 전문가 양성에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소상공인, 도매, 소매 등 일반창업보다는 4차 산업 기술을 접목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활용한 기회형 창업, 기술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수립하여야 한다. 중국은 청년창업 국가이다. 지금은 청년들이 마음껏 도전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제공하며, 전폭적인 교육적·제도적·정책적 지원을 함으로써 중국의 청년창업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관심이 필요한 시기이다. 



----
1) 大众创业·万众创新 : 수많은 사람의 무리가 창업하고 아주 많은 백성이 혁신한다는 의미임. 모든 일반 국민이 창업하고 혁신을 추진한다는 뜻으로 특히 중국어의 창신(創新)은 innovation으로 번역되지만 넓은 의미인 창조과 혁신의 의미가 있음.
2) 유니콘 기업(Unicorn):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1조 원) 이상이고 창업한 지 10년 이하인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을 말한다. 스타트업 기업이 상장하기도 전에 기업 가치가 1조 원 이상이 되는 것은 마치 유니콘처럼 상상 속에서나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미국의 우버, 에어비앤비, 핀터레스트, 깃허브, 몽고DB, 슬랙, 에버노트, 중국의 샤오미, 디디추싱, DJI, 한국의 쿠팡, L&P코스메틱, 크래프톤(前블루홀),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야놀자, 위메프, 지피클럽, 무신사, 에이프로젠, 쏘카 등이 있다. [출처 : 위키백과]
3) CB insights는 스타트업 기업 정보, 투자현황, VC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매년 유니콘의 범주에 드는 기업을 선정하여 발표.
4) 김유경 「전세계 유니콘 기업 959개...미국 488개, 중국 170개, 한국은 ?」, 머니투데이, 2022, 01, 12,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11207123215338
5) 2021.05.27. 중소벤처기업부. 2021년 1분기 창업기업 동향발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6) 中国互联网发展报告(2021) 중국인터넷학회가 편찬한 '중국인터넷발전보고서(2021)'가 제20회 중국인터넷대회에서 공식 발표됐다. 이 보고서는 중국 인터넷 분야의 대규모 연대기 연구 보고서이며 중국 인터넷 산업 발전의 충실한 기록자이자 증인이다. 보고서는 2002년부터 발행되어 연간 1권으로 20년 연속 발행되고 있다.

[참고문헌]
- 리우원・안태욱・강태원(2021). 중국 대학생의 창업교육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절강성 소재 대학생 TPB효과 중심으로- 중국지역연구, 8(2): 103-126.
- 중소벤처기업부(2021). 2021년 1분기 창업기업 동향발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 Gauthier, J. F., M. Penzel, and M. Max(2017), “Global Startup Ecosystem Report 2017,” Startup Genome.
- 中国青年创业发展报告(2021)쩌핑거시연구팀, 2022. 3. 3, 
- https://weibo.com/ttarticle/p/show?id=2309404742878714004038
-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2015), 中国国民经济和社会发展第十三个五年规划纲要.
- 吴晓义(2014). 微创业: 概念、作用与扶持机制, 广东科技, 7期, 46-48.
- 高扬·付冬娟·邵雨.(2015). 我国创新创业教育政策历史演变合理性分析及建议, 创新与创业教育, 第6期.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