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주요 이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견해 및 제언이 담긴 칼럼을 제공합니다.

중국 구강관리용품 정책 변화와 산업 현황 및 전망

김정진 소속/직책 : 중국 서남정법대학교 교수 2022-09-26

중국인의 양치 습관과 구강건강

중국은 음식을 요리할 때 다양한 향신료를 사용한다. 음식에 포함된 향신료와 음식 찌꺼기는 구강 악취를 발생시키는데, 중국인은 전통적으로 소금이나 나무껍질, 나뭇잎을 씹어 구강악취 제거와 치아 관리를 하였다. 이러한 습관은 특정 지역이나 민족 등에서 여전히 존재한다. 사실 중국은 1495년 나무막대에 돼지털을 넣어 만든 칫솔을 발명하였다. 칫솔이 구강 관리에 혁신적인 도구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가격이 매우 비싸 전통적 구강 관리 방식인 소금, 나무껍질, 풀잎 등을 쉽게 대체하지 못하였다. 또 가격을 감당하지 못해 칫솔을 사용하지 못하는 중국인 사이에는 칫솔질이 치아 건강을 해친다는 속설도 생겨났다. 이는 현대의 양치 습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듯하다.

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중국인은 구강관리를 위해 현대의 구강 관리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칫솔, 치약, 치실, 가글, 혀클리너 등 다양하다. 구강 관리는 질병 예방은 물론, 사회생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중국위생건강통계연감(中国卫生健康统计年鉴)(2001-2021)에 따르면, 중국인의 양치 및 구강 관리는 여전히 현대화 수준에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구강질환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2020년에는 인구의 절반인 7억 명이 구강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질환은 중국 국민의 주요 건강 관심 중 5위이다.1)



구강 관리 관련 주요 정책

이처럼 중국인의 구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관련 질환자가 증가하면서 중국 정부는 구강 관리와 관련한 주요 정책을 내놓았다. 이는 2016년 국무원이 발표한 「‘건강중국 2030’ 규획요강(‘健康中国2030’规划纲要)」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 「중국 만성질환 예방 및 치료 중장기 규획(中国防治慢性病中长期规划(2017-2025)」을 관철하고, ‘3감 3건(三减三健)’2) 의 건강한 구강 관리를 위해 2019년1월 국가위생건강위원회 판공청(国家卫生健康委办公厅)이 「건강구강행동방안(健康口腔行动方案)(2019-2025)」을 공포하였다. 동 방안에 의하면, 시진핑 시대의 중국 특색사회주의 사상과 당의 19기 및 19기 2중·3중전회 정신을 관철하며, 전국위생 및 건강대회(全国卫生与健康大会)와 「‘건강중국 2030’ 규획요강(‘健康中国2030’规划纲要)」을 통해 국민의 구강건강을 제고하고 구강위생 서비스 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 내용은 구강건강을 위해 아동, 노인,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구강관리 교육을 실시하고 관련 내용을 홍보하는 한편, 구강건강 콘텐츠를 기존의 만성질환과 영양상태 모니터링 체계에 포함해 전국적 구강건강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현재에도 중국 정부는 구강건강과 관련한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통해 양치 습관의 중요성과 바른 구강 관리 방법 등을 홍보 및 교육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자연스레 구강관리용품 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구강관리용품 산업 현황과 규모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국인의 구강 관리 습관에 대한 관심과 중국 구강질환자 수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정책을 통한 국민 구강 건강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구강관리용품 산업에 많은 영향을 미쳐 관련 산업 규모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 경제성장으로 중국의 1인당 소득수준이 증가하고, 건강보험에 구강 건강검진이 포함되어 구강관리용품 산업의 성장잠재력이 향상되고 있다.

최근 5년간의 중국 구강관리용품 시장 규모와 제품별 점유율을 보면, 2021년 중국의 구강관리용품 시장 규모가 521.73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약 4.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치약과 칫솔이 구강관리용품 전체의 약 94%를 점하였다.


구강관리용품 중 치약과 칫솔의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2021년 기준 치약은 339.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0.86% 증가하였으며, 칫솔은 96.6억 위안으로 전년의 108.81억 위안 대비 감소하였다.3) 중국 구강관리용품 산업의 핵심인 두 제품의 특이점을 보면, 치약은 최근 3년간 시장 규모가 증가세를 보인 반면, 칫솔은 감소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이는 치약은 고급화 전략을, 칫솔은 가격할인 전략을 취하고 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구강관리용품 생산관리 및 품질감독 관리체계

한편, 중국은 구강관리용품의 생산관리와 법률체계에 있어 한국과 다른 방식을 취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칫솔, 치간칫솔, 치실, 혀클리너는 「구강보건법」 상 식약처 소관의 의약외품으로 관리되어 오다가 2023년부터 「위생용품관리법」을 적용받을 예정이다. 한편, 중국의 구강관리용품을 분류하는 기준과 근거를 살펴보면, 중국은 구강관리용품을 (1) 구강 청결 관리 용품 (2) 구강 청결 관리 기구 (3) 구강 청결 관리 서비스기로 구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강 관리를 위하여 사용하는 칫솔, 치약, 치실, 의치, 세정제 등의 구강관리용품의 경우, 중국에서는 구강 청결 관리 용품(oral care and cleansing products, 口腔清洁护理用品)과 구강 청결 관리 기구(口腔清洁护理器具)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 이 둘을 합쳐 구강 청결 관리 서비스기(口腔清洁护理服务器)라고 하는 듯하다.


2020년 10월 12일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 산하의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国家标准管理委员会)에서 공포한 「구강 청결 관리 용품의 통용 안전 기술 요구(口腔清洁护理用品通用安全技术要求)」4)에 의하면, 구강 청결 관리 용품(oral care and cleansing products, 口腔清洁护理用品)을 세척, 양치, 도포, 스프레이, 문지르기(고무 재질 제품에 손가락을 넣어 치아를 닦는 기구 등), 부착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람의 치아, 구강 점막 또는 의치의 청결, 냄새 경감, 단장, 유지 보수하기 위한 일용품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2022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 산하의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国家标准管理委员会)가 공포한 「칫솔 및 구강 기구 안전 통용 기술 요구(牙刷及口腔器具安全通用技术要求)」에서는 일상 구강 청결 관리 기구(日用口腔清洁护理器具)를 칫솔, 치간칫솔, 치아세척기(가정용 스켈일링 기구), 혀클리너, 이쑤시개, 치실, 영유아 치아갈이 기구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 이들에 대하여 ‘제품(产品)’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의료기기’나 ‘의약외품’ 등으로 설명하고 있지 않다. 중국의 ‘일상 구강 청결 관리 기구’는 한국의 「구강보건법」과 「위생용품관리법」 상의 ‘구강관리용품’과 매우 유사하다.

구강관리용품의 제품품질은 「제품품질법(产品质量法)」에 따라 국무원 시장감독관리 부문(国务院市场监督管理部门)(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의 관리감독을 받게 된다. 제품품질감독체계는 중앙의 시장감독관리 부문이 각 지방정부의 제품품질감독 부문과 통일적 관리체계를 이루고 있다. 즉, ‘통일 관리·분급(分级)·부문별 분업 관리(分部门管理)’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구강관리용품에 제조, 사용, 설계상의 결함이 있는 경우, 소비자는 「소비자권익보호법(消费者权益保护法)」에 따라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또 제조기업은 「제품품질법(产品质量法)」에서 규정한 의무에 따라 리콜, 제품보증(A/S), 손해배상 등을 이행해야 한다. 현재 중국은 구강관리용품에 대하여 국가 표준을 엄격히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최근(2020년 12월) 한국의 LG생활건강에서 판매한 전통 칫솔이 제품품질감독검사의 표본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것은 매우 좋은 교훈이 될 것이라 본다.5)


구강관리용품 산업의 발전 및 전망

양치 습관으로 인한 중국인의 구강 악취가 국내외에서 개인위생관리 문제로 제기되면서 중국정부는 구강건강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다. 하지만, 구강건강은 극히 개인위생의 영역이기 때문에 정책 실현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중국정부가 구강건강을 건강검진으로 포함하고 구강건강의 중요성을 홍보함으로써 구강관리용품 산업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강관리용품의 주요 제품인 치약은 점점 고급 제품으로, 칫솔은 전동 방식과 기능형 칫솔로 전략화함으로써 산업 성장을 이끌고 있다. 한국의 구강관리용품도 중국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어 중국 시장 진출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구강관리용품에 관한 중국의 생산관리와 품질관리 등이 엄격해지고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우리 기업이 중국 시장에 진출함에 있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중국의 국가 표준과 제도 및 법률을 정확히 이해하고, 국내 생산제품에 대하여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제품 생산 및 유통 관리와 법률체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1) 丁香医生(2021). “2021国民健康洞察报告(Health Insights Report)”, 研究报告书, 丁香医生数据研究院, p.36에의하면, 2020년중국 국민의 건강 관심도는 1위정서 문제(53%), 2위 피부 상태(45%), 3위몸매 관리(45%), 4위수면 문제(42%), 5위 구강 문제(35%)로 나타났다.
2) ‘3감3건(三减三健)’이라 함은 ‘염류 섭취 줄이기(减少盐类摄入)’, ‘당류 섭취 줄이기(减少糖类摄入)’, ‘기름 섭취 줄이기(减少油脂摄入)’, ‘건강한 구강 만들기(倡导健康口腔)’, ‘건강한 체중 만들기(倡导健康体重)’, ‘건강한 골격 만들기(倡导健康骨骼)’를 말한다.
3) “2021年中国口腔清洁护理用品市场规模、销售额及重点企业经营情况“, https://www.sohu.com/a/560831674_120928700(접속일: 2022.09.11.).
4) 기술표준의 성격: 동표준의 기술적 내용은 강제적이다. 본 표준은 ‘GB/T 1.1-2020(표준화업무지침 제1부: 표준화 구조와 편제, 标准化工作导则第1部分: 标准的结构和编写)’에 따른다. 본 표준의 일부 내용은 특허와 관련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 기준서의 발행기관은 이러한 특허를 식별할 책임을 지지 않으며, 공업 및 정보화부에 제출하고 취합한다.
5) 이에 대하여는 “电动牙刷质量抽检不合格名单出炉 屈臣氏销售产品在列”, https://baijiahao.baidu.com/s?id=1685590632111527674&wfr=spider&for=pc(방문일: 2022.09.11.) 참고.



<참고문헌>
1. 丁香医生(2021). “2021国民健康洞察报告(Health Insights Report)”, 研究报告书, 丁香医生数据研究院。
2. “2021年中国口腔清洁护理用品市场规模、销售额及重点企业经营情况“, https://www.sohu.com/a/560831674_120928700(방문일: 2022.09.11.)
3. “电动牙刷质量抽检不合格名单出炉 屈臣氏销售产品在列”, https://baijiahao.baidu.com/s?id=1685590632111527674&wfr=spider&for=pc(방문일: 2022.09.1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