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中 신에너지와 IT 기술 결합한 에너지전자산업 청사진 수립

CSF 2023-02-02

□ 지난달 17일,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 등 6개 부처가《에너지전자산업 발전을 위한 지도의견(关于推动能源电子产业发展的指导意见, 이하 ‘지도의견’)》을 발표함. 

◦《지도의견》은 에너지전자산업 육성을 위해 중국 정부가 최초로 발표한 공식 문건임. 
- 에너지전자산업은 IT·전자 기술과 신에너지 부문의 수요가 혁신적으로 융합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신흥 산업 분야를 의미하는데, △ 태양광 △ 에너지 저장용 신형 배터리 △ 핵심 단말 설비 △ 핵심 IT 기술 및 제품 등의 영역을 아우르고 있음. 

◦ 중국은《지도의견》을 통해 에너지전사산업을 두 단계에 걸쳐 육성한다고 밝힘.
- 1단계는 에너지전자산업을 에너지 혁명의 중요한 동력으로 육성하는 기간으로, 2025년까지 신에너지의 대규모 응용에 필요한 기반을 확보할 것임. 
- 2단계는 2030년까지 중국 에너지전자산업의 종합 경쟁력을 지속해서 향상하여 국내외 신에너지 부문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산업 규모를 형성할 계획임. 
- 이를 통해 에너지전자 분야의 산업 클러스터와 생태계를 정비, 개선하는 한편, △ 5세대·6세대 이동통신(5G/6G) △ 첨단 컴퓨팅 △ 인공지능 △ 산업인터넷 등 차세대 IT 기술이 에너지 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임. 

◦ 중국은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전자산업이 전방위적으로 상호 연계 발전하고, 그 과정에서 나온 신기술과 제품이 중요 설비 시장에서 대대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6대 과제를 제시함. 
- 특히,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전자 분야의 산업사슬을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기업을 중심으로 △ 태양광 발전 계통 △ 신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 신에너지 마이크로 그리드 등 다양한 스마트 제품과 서비스가 시장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힘. 

◦ 이 외에도 신흥 분야에서의 기술 응용과 보급을 확대할 계획임.
- 분산형 에너지 저장, ‘태양광+에너지 저장’ 등 모델을 통해 에너지 공급의 다원화를 추진하고 이 같은 에너지전자 제품이 5G 기지국이나 전기차 충전소 등 신형 인프라 영역에 심층적으로 응용될 수 있도록 할 방침임. 

◦ 중국의 에너지전자 산업 육성 방침은 최근 몇 년 동안 세계 각국이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친환경 성장을 위해 신에너지의 활용도를 늘려가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음. 
- 이 외에도 경제 사회 전반의 에너지 소비가 전기로 충당되면서 저탄소 전력 생산과 생산 및 소비의 IT화가 진행되면서 관련 분야의 기술, 제품,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음. 

◦ IT 전자 기술과 신에너지 부문의 수요 융합은 증기기관과 석탄, 내연기관과 석유, 전자 컴퓨터와 원자력의 응용에 이은 새로운 산업혁명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지고 있음. 
- 이 같은 기술의 혁신을 기반으로 태양광, 신형 에너지 저장 설비와 핵심 IT 기술을 주축으로 하는 에너지전자산업이 빠르게 형성되고 있음. 

◦ 특히 차세대 IT 기술과 신에너지 간 결합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음. 
- 신에너지가 사용되는 분야가 광범위하게 확대하면서 △ 태양광 △ 에너지 저장 △ 충·방전 등 기술이 사람들의 일상에 깊이 파고들고 있음. 
- 향후 차세대 IT 기술이 ‘만물인터넷’의 시대에 활용되기 위해서도 신에너지라는 동력원과의 결합이 필수 요소가 되고 있음. 
- 가정용 태양광과 같이 분산형 소규모 에너지 발전, 축전지, 연료전지 등 발전 설비와 전력 수요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소프트웨어적으로 통합 관리하는 가상발전소의 개념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신에너지와 차세대 IT 기술이 연계된 가상발전소의 성장 잠재력도 크게 주목받고 있음.   

◦ 전문가들은 에너지전자산업이 중국의 제조강국 전략과 네트워크강국 전략을 달성하기 위해서 뿐 아니라, 신에너지의 생산·저장·사용에 필요한 물질적 기반으로써 탄소중립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바탕이 될 것이라고 분석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