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中 새로운 국무원 지도부에 시진핑 최측근 포진

CSF 2023-03-16

□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는 지난 12일 진행된 국무원 선거를 통해 국가 최고 행정기관의 차기 지도부를 선출함. 

◦ 이번 선거에서 딩쉐샹(丁薛祥), 허리펑(何立峰), 장궈칭(张国清) 그리고 류궈중(刘国中)이 국무원 부총리로 선출되면서 앞서 11일 국무원 총리에 오른 리창(李强)이 이끄는 차기 국무원의 지도부가 완성됨.   

◦ 중국의 차기 국무원 인선은 작년 10월 열린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이미 윤곽이 드러났는데, 특히 총리와 부총리 가운데 서열 1위의 부총리 인사도 이미 확정되었음. 
- 이후 나머지 부총리 인사와 국무위원 인선이 수면 위로 드러났는데, 특히 지난해 12월 30일 외교부장이 된 친강(秦刚)이 3개월 만에 국무위원으로 선출되어 빠른 승진을 하면서 눈길을 끌었음.  

◦ 새롭게 꾸려진 중국 국무원 지도부의 가장 큰 특징은 ‘새로운 얼굴’과 ‘새로운 직무’로 볼 수 있음. 
- 작년 20차 당대회가 열리기 전까지 국무원 지도부 인사에 이렇게 큰 개편이 있을 것이라는 예상은 나오지 않았음. 
- 이번 인선은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역대 국무원 인사 개편 중 가장 큰 폭으로 단행된 것으로 평가됨. 
- 특히 리창 총리와 딩쉐샹 부총리(副总理)는 그간 국무원에서 국정을 운영한 경험이 전무하며, 심지어 쉐딩샹은 성급 지방정부나 중앙 부처에서 근무한 경험도 없음. 

◦ 새 정부의 또 다른 특징은 최고 지도자인 시진핑(习近平)과 각별한 관계의 인사들이라는 점임. 
- 저장성(浙江省) 당 비서실장을 거친 리창 총리는 시진핑 주석이 저장성 당 서기를 역임했을 때 핵심 측근으로 활동하였음.
- 딩쉐샹 부총리 역시 상하이(上海)에서 당시 시진핑 상하이시 당 서기를 보좌하였으며, 2017년 제19차 당대회 때 정치국 위원에, 작년 20차 당대회에서는 정치국 상무위원에 오름.  

◦ 또 다른 부총리인 허리펑도 시진핑과 깊은 인연이 있음. 
- 1980년대 중반 허리펑이 샤먼시(厦门市) 판공실 부주임에 있었을 때 시진핑은 샤먼시 부시장을 역임하고 있었음.
- 시진핑 주석이 푸젠성(福建省) 부서기 및 성장(省长)으로 있을 때에도 푸젠성의 관할 행정구역인 원취안시(泉州市)와 푸저우시(福州市)에서 요직을 맡은 바 있음. 
- 2017년에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으로 임명되어 각종 대내외 행사에서 시진핑 주석을 보좌함. 

◦ 나머지 부총리 인사인 장궈칭과 류궈중은 모두 군수 계통 출신임.
- 장궈칭은 중국병기공업그룹(中国兵器工业集团) 총경리를 역임한 후 2013년 충칭시(重庆市) 당 부서기를 거쳐 2020년 랴오닝성(辽宁省) 당 서기에 오름. 
- 류궈중은 헤이룽장성(黑龙江省) 군부 공장에서 근무하다 정부직으로 옮겨온 후에 지린성(吉林省), 산시성(陕西省) 성장 및 당 서기를 역임한 바 있음. 
- 작년 20차 당대회에서 군수 및 항공 우주 분야 출신인 장궈칭과 류궈중이 정치국에 입성하면서 중용되었는데, 이는 최근 중국의 군수 산업과 항공 우주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정치와 국제 정치에서 해당 산업이 긴밀한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됨. 

◦ 이번 국무원 지도부의 또 다른 특징은 리창, 딩쉐샹, 허리펑 등 인물이 오랫동안 중국 동남 연해의 경제적으로 발전한 지역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다는 것임. 
- 이들은 비즈니스 환경 구축과 민영 경제 발전에서 경험이 풍부함.   
- 중국이 경제 성장을 장기적으로 반드시 고수해야 하는 최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만큼, 최고 지도부의 깊은 신뢰를 얻고 있는 국무원 지도부가 향후 중국 경제에서 많은 역할을 할 것임을 예상할 수 있음. 

◦ 한편, 중국은 작년 18차 당대회 이후 정부 차원에서 ‘당이 모든 것을 영도한다’라는 지침을 강조하고 있고, 이에 따라 국가적 정책 결정에서 국무원의 지위가 다소 낮아지고 있음. 
- 원래 국무원이 주도했던 경제 정책 업무를 중앙재경위원회 등 기관이 일정 부분 권한을 가져갔으며, 국무원은 정해진 정책의 집행에 더 치중하는 모습을 보임. 
- 하지만 국무원은 여전히 중국 최고 행정기관이고, 정치국 상무위원 2명과 정치국 위원 4명이 국무원에서 요직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중국 공산당 다음으로 중요한 권력 기관임은 분명함. 

게시글 이동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서구권] 친강 외교부장 기자회견...미·중 관계 긴장 고조 2023-03-1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