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세미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한 중국의 입장

김주혜 소속/직책 :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중국지역전략팀 전문연구원 2023-10-30

☐ 중국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해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국가와는 다르게 하마스에 대한 직접적인 규탄을 피했고 △‘두 국가 해법’ 1)의 이행 △조속한 휴전 △민간인 보호 △평화회담 재개 등 원론적인 입장을 견지해 왔으며, 최근 이스라엘의 반격을 비판.2)

-[원론적·중립적 입장] 10월 8일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무장정파 하마스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 없이, ‘두 국가 해법’을 이행하여 팔레스타인이 독립된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 분쟁의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언급함.3)

 ㅇ 중국의 입장 표명에 대해 주중 이스라엘 대사관 고위 관리는 이스라엘의 우방국인 중국이 하마스에 대해 강력히 비판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는데4) 이에 중국 외교부는 다시 한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모두 중국의 친구이며 양측의 평화적 공존을 희망한다고 언급함.5)

- [이스라엘 비판] 10월 14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파이살 빈 파르한 사우디 외교부장과의 통화에서 이스라엘의 행동이 자위권6)의 범위를 넘어섰다며, 가자지구에 대한 집단적 처벌을 중단하라는 국제사회와 UN 사무총장의 요구를 경청해야 한다고 밝힘.7)

☐ 중국정부는 중동지역에 특사를 파견해 적극적으로 중재 외교를 추진 중

 - 자이쥔(翟隽) 중국정부 중동문제 특사는 이집트,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사우디 등 중동지역 외교 관계자들과 현재 상황에 대해 전화로 소통하며 분쟁의 확대를 막아야 한다고 촉구.8)
-10월 19일부터 카타르와 이집트에서 주요 관계자들과 회담을 진행.9)


☐ 중국은 중립적인 입장이라 표명하고 있으나 사실상 친팔레스타인 성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데,10) 이는 중국이 중동지역에서 특히 아랍국가들과 정치적으로 연대를 강화하고 경제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려는 의지로 풀이됨.

 - 중국정부는 미국과 동맹국의 대중국 견제에 대응하기 위해 2023년 2월 「글로벌 안보 이니셔티브 개념 문건」을 발표하고, 중동지역을 포함한 우호국과의 전략적인 연대를 강조11)

ㅇ 2023년 3월 베이징에서 사우디와 이란은 중국의 중재로 관계 정상화에 합의했고, 중국과 3국 간 베이징 협정(국제 관계의 기본 규범 수호, 국제·지역의 평화와 안보 촉진)을 체결12)

ㅇ 2023년 6월 중국은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을 베이징으로 초청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약속하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갈등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 밝힘.13)

- 중동지역은 2022년 EU를 제치고 중국의 최대 교역지역이 되었고(무역액 기준)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이하 BRI)’에 기반한 중국의 최대 투자지역이며, 특히 중국의 전체 원유 수입에서 중동이 약 50% 이상(사우디 14.4%, 이라크 8.6%)을 차지해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도 중요함.14)

- 시진핑 주석은 중동 최대 교역국인 사우디와의 관계를 중동 외교의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2022년 사우디 순방에서 ‘BRI’와 사우디의 ‘비전 2030’ 15)을 연계한 경제협력을 강조했으며, 최근 인프라, 에너지, 산업 분야에서 전방위적인 협력을 추진 중16)


☐ 자국 중심의 글로벌 안보 질서 재편을 추진 중인 중국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 국제사회에 중재자로서의 정치적인 영향력을 보여주길 원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나오고 있음.

 - 중국 내 전문가들은 중국이 휴전을 추진하고 위기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책임 있는 대국의 역할을 했다고 평가하며, 이번 전쟁으로 아랍국가와 이스라엘 사이의 긴장 관계 완화(사우디와 이스라엘 수교 등)를 추진하는 미국의 전략이 지연될 것 이라고 전망17)

- 로이터 통신은 워싱턴 스팀슨 센터의 중국 프로그램 전문가, 이스라엘 국가안보연구소 중국연구원 등의 의견을 종합해 중국은 평화의 중재자 역할 보다는 경제적 이익에 더 방점을 두고 있다고 평가18) 




----

1) ‘두 국가 해법(two-state solution)’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분쟁 해결 방안 가운데 하나로 "두 그룹의 사람들을 위한 두 개의 국가" 방안을 말하며, 요르단 강 서쪽에 이스라엘과 공존하는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를 수립하는 것을 의미. 자료: 위키백과.

2)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外交部发言人就巴以冲突升级答记者问」(2023. 10. 8 ~ 10. 20);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王毅同沙特外交大臣费萨尔通电话」(2023. 10. 15).

3)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外交部发言人就巴以冲突升级答记者问」(2023. 10. 8).

4) 「Israel expected 'stronger condemnation' of Hamas from China, Beijing embassy official says」(2023. 10. 3), Reuters.

5)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外交部发言人就巴以冲突升级答记者问」(2023. 10. 9).

6) 외국으로부터 불법적 침해를 당할 경우, 자국의 권리와 이익을 방위하기 위해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국제법상 인정되는 권리.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7)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王毅同沙特外交大臣费萨尔通电话」(2023. 10. 15).

8)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外交部发言人就巴以冲突升级答记者问」(2023. 10. 13).

9)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中国政府中东问题特使翟隽访问卡塔尔」(2023. 10. 20);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中国政府中东问题特使翟隽会见俄罗斯总统中东和非洲国家事务特别代表、外交部副部长博格丹诺夫」(2023. 10. 20);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中国政府中东问题特使翟隽出席巴勒斯坦问题开罗和平峰会」(2023. 10. 22);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中国政府中东问题特使翟隽会见阿盟秘书长盖特」(2023. 10. 22);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中国政府中东问题特使翟隽访问埃及」(2023. 10. 23).

10)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外交部发言人就巴以冲突升级答记者问」(2023. 10. 8);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 「外交部发言人就巴以冲突升级答记者问」(2023. 10. 9); 「Israel-Hamas war tests China’s Middle East ambitions」(2023. 10. 15), Financial Times; 「In China’s Calls for Mideast Peace, Hamas Assault Goes Unmentioned」(2023. 10. 16), Wall Street Journal 등

11) 김영선(2023), 「중국, 글로벌 안보 공동체 구축 구상 발표」(2023. 3. 7), KIEP 동향세미나.

12) 「伊朗外交部:中国为推动伊沙关系正常化发挥建设性作用值得赞赏」(2023. 4. 11), 金台资讯.

13) 国际热评:巴勒斯坦总统五度访华,中国为地区和平注入信心与能量」(2023. 6. 14), 央广网.

14) 서상현(2023), 「중동 지정학 변화와 중국 영향력 확대」, CSF 중국전문가포럼.

15) 사우디의 자원의존형 경제 탈피에 목적을 둔 경제개혁 플랜. 자료: 외교부, 「[경제동향] [사우디아라비아] Vision 2030 발표」(2016. 5. 13).

16) 김영선(2022), 「시진핑 주석, 사우디아라비아 순방 동향 및 전망」, KIEP 동향세미나; 김영선(2023), 「중국, 대사우디아라비아 경제 협력 가속화」(2023. 10. 12), KIEP 동향세미나 

17) 「“中东已经濒临深渊”,多国加大斡旋力度(环球热点)」(2023. 10. 21), 人民网

18) 「Israel-Hamas conflict tests limits of China's approach to the Middle East」(2023. 10. 12), Reuters.







게시글 이동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