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중 무역 동향 및 주요 특징

KIEP 북경사무소 2023-05-04

■ 한국의 대중 무역은 31년 만에 무역적자를 기록하였으며, 중국은 한국의 최대 무역적자국이 되었음.
- 한국통계 기준으로 2022년 한국의 대세계 무역수지는 478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해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였으며, 대중 무역수지는 12억 달러 흑자를 나타냄.
- 2023년 3월 한국 세관이 발표한 잠정 통계에 따르면 대중 무역수지 적자는 누계기준으로 78억 달러에 달함. 같은 기간 대세계 무역수지 적자는 228억 달러였음.
- 2023년 3월 누계기준으로 대중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29.7% 감소, 대중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3.2% 증가함. 이는 같은 기간의 대세계 수출증가율(-12.8%)이나 수입증가율(-2.2%)과 대조되는 실적임. 

■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의 조사에 따르면 2020년 코로나19 초기와 비교할 때 한국 상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긍정적 평가는 5%포인트 하락한 54.5%, 부정적 평가는 6.6%포인트 상승한 10%에 달함.
- 한국 상품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로는 △상품의 부정적 평가(35.9%) △국가 이미지(34.6%) △경쟁력 부족(33.6%)이 주를 이룸.
- 한국브랜드가 중국 시장 환경 변화를 따르지 못하면서 일부 브랜드의 경우 중국 현지 브랜드와 큰 차별성을 보이지 못해 소비자의 이목을 끌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음.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부터 양국 간 교역규모가 꾸준히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 상품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2015년 이후 지속해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 한국 상품의 점유율이 하락한 이유로 △중국 과학기술 및 혁신 능력 향상 △중국 수입품 시장의 치열한 경쟁 △대만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증가 등이 꼽힘.
◦ 중국의 국산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한국에서 수입하던 중간재를 국산 중간재로 대체하기 시작함.
◦ 한국의 대중국 중간재 수출이 감소하였지만 중국산 완제품의 수입은 증가하면서 한국은 대중 무역에서 큰 이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로 변화


■ 주요 제품별 중국 시장 내 현황
- 자동차: 2016년 180만 대를 판매하며 10%대의 점유율을 기록하였으나 2022년에는 25만 4,000대 판매에 그치면서 점유율이 1%대로 급락함.
- 화장품: 아모레퍼시픽, 이니스프리의 중국 내 매장 수를 축소하고 있으며, 중국 내 매출도 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신에너지 자동차 배터리 : CATL(宁德时代)와 BYD(比亚迪)가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등 중국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이 60%를 넘어서면서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 SK On, 삼성SDI를 압도함.
- 메모리칩(芯片) 분야는 세계적으로 한국의 시장점유율이 우세하지만 중국의 제조업체들이 시장에 등장하기 시작함.


■ 한중 무역에서 한국의 대중 무역 적자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동시에 중국의 대한 무역에서 적자가 감소하고 있는 양상은 한국 시장 내 중국 제품의 경쟁력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임. 
- ‘쌍십일(双十一)’과 블랙프라이데이 기간에 전자상거래를 통해 중국 제품을 구매하려는 한국 소비자가 급증
- 중국 제품은 가격 측면의 우위뿐만 아니라 기술과 품질도 점차 향상되면서 한국 소비자들의 수요를 증대시킴.

■ 중국 전문가들의 평가
- 리톈궈(李天國) 중국사회과학원 아태글로벌전략연구소 연구원은 앞으로 한중 기업이 협력을 더욱 확대시켜야 한다고 강조함. 중국의 경제력 강화와 기술 발전으로 한중 양국의 비교우위 분야가 변화하였고 일부 분야에서는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 추세에 맞춰 무역구조를 조정하고 새로운 산업에서의 협력 모델을 모색하여 양국 관계의 번영과 발전을 이뤄야 한다고 언급함.
- 스셴진(石先進) 중국사회과학원 세계경제정치연구소 연구원은 중국 시장에서 한국 제품이 다시 주목받기 위해서는 한중 양국의 정치와 경제 흐름 및 한국 상품의 경쟁력 회복이 중요하다고 강조함.
- 천쯔레이(陈子雷) 상하이대외경제무역대학 일본경제센터 주임은 한국이 일부 핵심 제조업 기술과 공업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고, 중국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소비패턴을 보깅고 있기 때문에 양국의 협력 전망은 여전히 밝다고 전망함.



----------
【참고문헌】

「韩国商品为什么在华不吃香了?」, 观察者网, 2023-04-02.
「陈经:对中国逆差大增,韩国企业好日子到头了?」, 观察者网, 2023-04-07.
「韩国贸易逆差极具扩大,多个产业挑战加剧」, 前瞻网, 2023-05-03.
게시글 이동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목록